안락사에 대한 가치정립의 문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죽음의 가치
2.안락사의 정의와 그 정당화
3.마치며

본문내용

한다. 또 우리는 우리의 삶이 과연 살 만한 삶인가를 따져 보아야 한다. 모두가 잘 살고, 모두가 행복을 느끼고 산다면 죽음은 그다지 두려워 할 것이 아니다. 하지만 행복은 누구에게나 있는 것이 아니듯, 그 삶이 살만한 것인가 아닌가 하는 것도 서로 다를 것이며, 그 사회를 모두가 좀더 행복하게 잘 살수 있는 곳으로 만들어야 하는 것이 우리 모두의 몫이다. 앞서 말한 것처럼 죽음에서도 행복을 도입할 수 있는 것도 "내가 얼마만큼 잘 살다 가는가"라는 자문자답에서 비롯될 것이다. 즉 '삶과 죽음에 관한 응용 윤리는 무엇이 살만한 삶인가를 규명하기 위한 담론의 과정
) 앞의 책, p.278에서 발췌 및 인용
'이라 할 수 있으며 우리는 이러한 철학을 통해 '우리의 삶은 어떠해야 하는가'라고 하는 자문(自問)과 자답(自答)으로 보다 값진 삶을 영위하여야 할 것이다.
<끝>
참고 문헌
- 응용윤리학(담당교수: 김양현) 보충자료집 중 「죽음의 문제」,「안락사(제10장)」
-『도덕의 담론』 이진우, 문예출판사, 1997
-『삶과 철학』「7장 환경과 기술 문명」,「8장 과학과 자연」한국철학사상 연구회 지음, 동녘, 1994
전남대학교 철학과 9771041 정충관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1.02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1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