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생활속의 자아제시
2. 인상관리 이론
3. 고프만의 연극학 이론
※ 고프만의 일상생활에서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과정
※ 공연의 3요소
※공연자와 관객의 구분
※ 무대-<전면과 후면>
2. 인상관리 이론
3. 고프만의 연극학 이론
※ 고프만의 일상생활에서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과정
※ 공연의 3요소
※공연자와 관객의 구분
※ 무대-<전면과 후면>
본문내용
로서의 개인의 자기표현 행위를 분석한다.
※ 무대-<전면과 후면>
공연에서 정보의 통제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분리이다.
*전면(front)
공연이 행해지는 동안 사람들이 일반적이고 고정된 양식으로 상황정의를 내릴 수 있도록 잘 짜여진 공간을 의미한다. 즉 전면은 무대 그 자체임과 동시에 개인이 공연 중에 의도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표현방법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의 요소들로는 무대배경, 외모, 몸가짐 등이 있다.
무대배경은 공연자가 공연을 펼칠 수 있도록 해주는 배경 및 무대를 위해 공급되는 일련의 요소들로 공연자가 무대배경을 쫓아가야 한다. 또한 외모는 전면 구성 당시에 공연자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것이며, 몸가짐은 앞으로의 상황에서 기대되어지는 공연자의 상호작용 즉 역할을 경고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무대배경과 달리 외모와 몸가짐은 관객들로 하여금 확고한 일관성을 기대하게 만든다. 따라서 전면은 무대의 배경이자 배우 자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정된다. 관객은 전체의 전면영역을 점검할 수 있으며 공연자들은 이 전면영역에서는 자신의 행위를 감출 수가 없다.
*후면영역(back region)
관객의 어느 누구도 침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고히 기대되는 장소로서 전면영역을 제외한 어떤 장소든 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영역에서는 공연자들이 긴장을 풀거나 가면을 벗기도 하며, 자신에게 기대되는 행동을 수행하지 않을 자유가 주어지는 공간이다. (소연 발표 예: 파티가 이루어지는 연회장과 파티장에서와는 달리 긴장이 풀리고 행위의 제약이 덜한 자기 방의 공간적인 분리는 전면과 후면의 분리에 대한 고전적인 예이다.)이러한 후면영역들은 공연장소와 분리되어 있으며 공연을 위한 준비와 휴식의 공간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무대의 후면이 관객에게 노출된다면 공연자는 공연을 통해 획득한 인상에 대한 불일치를 유발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후면영역을 통제하는 것은 공연의 또 다른 중요한 작업 중의 하나이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의 공연은 전면영역과 후면영역이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공연자든 관객이든 전면과 후면을 동시에 취할 수는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목 차
1. 사회생활속의 자아제시
2. 인상관리 이론
3. 고프만의 연극학 이론
※ 고프만의 일상생활에서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과정
※ 공연의 3요소
※공연자와 관객의 구분
※ 무대-<전면과 후면>
※ 무대-<전면과 후면>
공연에서 정보의 통제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분리이다.
*전면(front)
공연이 행해지는 동안 사람들이 일반적이고 고정된 양식으로 상황정의를 내릴 수 있도록 잘 짜여진 공간을 의미한다. 즉 전면은 무대 그 자체임과 동시에 개인이 공연 중에 의도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표현방법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의 요소들로는 무대배경, 외모, 몸가짐 등이 있다.
무대배경은 공연자가 공연을 펼칠 수 있도록 해주는 배경 및 무대를 위해 공급되는 일련의 요소들로 공연자가 무대배경을 쫓아가야 한다. 또한 외모는 전면 구성 당시에 공연자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것이며, 몸가짐은 앞으로의 상황에서 기대되어지는 공연자의 상호작용 즉 역할을 경고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무대배경과 달리 외모와 몸가짐은 관객들로 하여금 확고한 일관성을 기대하게 만든다. 따라서 전면은 무대의 배경이자 배우 자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정된다. 관객은 전체의 전면영역을 점검할 수 있으며 공연자들은 이 전면영역에서는 자신의 행위를 감출 수가 없다.
*후면영역(back region)
관객의 어느 누구도 침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고히 기대되는 장소로서 전면영역을 제외한 어떤 장소든 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영역에서는 공연자들이 긴장을 풀거나 가면을 벗기도 하며, 자신에게 기대되는 행동을 수행하지 않을 자유가 주어지는 공간이다. (소연 발표 예: 파티가 이루어지는 연회장과 파티장에서와는 달리 긴장이 풀리고 행위의 제약이 덜한 자기 방의 공간적인 분리는 전면과 후면의 분리에 대한 고전적인 예이다.)이러한 후면영역들은 공연장소와 분리되어 있으며 공연을 위한 준비와 휴식의 공간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무대의 후면이 관객에게 노출된다면 공연자는 공연을 통해 획득한 인상에 대한 불일치를 유발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후면영역을 통제하는 것은 공연의 또 다른 중요한 작업 중의 하나이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의 공연은 전면영역과 후면영역이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공연자든 관객이든 전면과 후면을 동시에 취할 수는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목 차
1. 사회생활속의 자아제시
2. 인상관리 이론
3. 고프만의 연극학 이론
※ 고프만의 일상생활에서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과정
※ 공연의 3요소
※공연자와 관객의 구분
※ 무대-<전면과 후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