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사회봉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회의 사회봉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동기
2. 연구 방법

Ⅱ. 사회과학적 분석
1. 근본적인 질문들
2. 현실적인 질문들

Ⅲ. 반성
1. 성서적 반성
2. 역사신학적 반성
3. 조직신학적 반성
4. 기독교 윤리적 반성

Ⅳ. 교회의 실천방안
1. 교회내적 실천
2. 교회외적 실천
3. 사회봉사와 사회정책

Ⅴ.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많은 생명들이 생사의 지경에서 고통을 겪고 있는데, 이들에 대한 한국교회의 기독교 윤리적 책임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하나님의 경지에서 교회의 섬겨야 할 지역사회는 곧 지구촌 자체가 될 수 있으며, 하나님께서 한국교회에 축복한 그 열매를 지구촌의 가난한 사람들도 나눌 수 있는 성숙된 신앙의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할 것이다.
교회 사회봉사란 ‘생명-사랑-섬김’ 이라는 개념구성을 통하여 기독교의 사회복지를 이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봉사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회복지학적 관점에서 미시적, 그리고 거시적 고찰을 시도하여야 한다. 교회의 사회봉사란 세속사회의 사회복지 철학(이념), 이론, 기술에 영적 측면을 더해 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Ⅴ. 결론
교회의 복음 사역과 사회봉사의 개념이 분리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교파절대주의를 거쳐, 18세기의 경건주의, 복음주의 각성 운동과 선교활동이 개인의 회심과 성화, 개 교회의 개척과 성장에 엄청나게 기여 했고, 19세기의 기독교가 이를 이어받아 개 교회의 성장을 포함한, 역사상 유래가 없는 기독교의 확장을 경험하면서부터이다. 그 이전에는 사실상 이 두 개념이 분리되어 있지 않았다. 교회의 복음사역과 사회봉사는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다. 이 둘은 이분법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둘은 구약시대 초기부터 하나였다. 사회봉사는 교회의 본질이다. 그러므로 교회가 개인의 회심과 부흥에만 치중하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로써 교회의 사회봉사에 대한 당위성은 입증된 셈이다.
18-19세기 서양 기독교의 흐름과 맥을 같이 하고 있는 한국교회는 초기에는 복음 사역과 사회봉사가 병행되었다. 그러나 60년대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불안과 함께 교회로 찾아든 많은 사람들로 인해 부흥을 맛본 교회는 사회봉사에 소홀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한국교회가 복음사역과 사회봉사를 분리하여 생각하게 된 것은 이때부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자 70년대에는 이에 대해 비판의식이 일어나게 되었고, 교회는 사회로부터 외면당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한국교회는 이웃과 사회에 대한 봉사의 기능을 복음의 핵심으로 받아들이기를 주저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오늘의 한국교회는 지나치게 성장위주이며, 기본적이며, 비윤리적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러한 비난을 받는 이유는 사회와 이웃에 대한 섬김과 나눔, 즉 봉사적 사명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교회의 사회봉사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본질임을 인식해야 한다. 교회가 이러한 사회봉사의 책임을 완수하며, 사회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먼저 예배의 갱신이 필수적이다. 그 이유는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구약성서의 봉사 개념이 먼저 예배를 돕고, 예배를 통해서 하나님을 섬기는 일과 깊은 관련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회의 사회봉사는 결코 예배와 분리될 수 없다. 더불어 교회 내의 모든 신학적 주제들과 교리교육, 기도, 성경공부, 찬송과 복음성가 등에 있어서 교육과 훈련으로 인한 인식의 전환과 동기유발이 요구된다. 또한 교회외적으로는 지역사회에 필요한 요구사항들을 파악하고, 봉사 대상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 사역을 담당할 조직을 갖추어 꾸준히 실행해 나가야 한다.
그러나 교회가 사회의 필요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교회는 사회봉사에 있어서 지역사회 및 민간단체와 연대 책임을 지고 도와야 하며, 정치, 경제적인 면에서 국가와 상호 협력해야 한다. 교회는 물적, 인적자원을 사회와 지역사회에 제공할 수 있고, 여론을 형성할 수 있다. 그 여론은 국가의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역사회는 봉사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과 여러 가지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국가의 정책을 입안할 수 있다. 국가는 여론을 수렴해서 좀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교회와 지역단체와 국가는 유기체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그리고 일회적이고 계획성이 없는 사회봉사로 인해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좀더 지속적인 투자와 계획을 가지고 추진해야 하며, 계속적인 보완, 수정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박동현, 「구약성서에서의 사회봉사」.한울, 1992.
이삼열,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 한울, 1992.
임태수, 「구약성서와 민중」, 한국신학연구소, 1993.
김한옥, 「기독교 사회봉사의 역사와 신학」, 실천신학연구소, 2004.
Roland de Vaux, 「구약시대의 생활풍속」, 이양구 역, 대한기독교출판사, 1983.
유세비우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엄성옥, 은성출판사, 1995.
Benedictus, 「Regula Benedicti」, 이형우 역, 분도출판사, 1995.
Margaret Deanesly, 「중세교회사」, 박희석, 기독교문서선교회, 1993.
루터선집 「독일 크리스찬 귀족에게 보내는 글」
존 칼빈, 「기독교 강요(하)」, 생명의말씀사, 1992.
Andre Bieler, 「칼빈의 경제윤리」
Manfred Marquardt, 「존 웨슬리의 사회윤리」
김한옥, 「기독교 사회봉사의 역사와 신학」, 실천신학연구소, 2004.
이원규, 「한국교회 어디로 가고 있나」, 대한기독교서회, 2000.
노치준, 「한국교회 사회봉사의 흐름과 방향」, 기독교사회복지 제8호, 1999, 서울대학교 기독교사회복
지연구소.
서울시 노숙자대책협의회, 「서울시 노숙자 지원사업 백서」(1998-2000).
한국자원봉사농력개발연구회, 「한국교회 사회봉사사업 조사연구」, 성광문화사, 1990.
한미준.한국갤럽, 「한국 개신교인의 교회활동 및 신앙의식 조사보고서」, 타종교 및 비교종교인과의
비교분석, 두란노, 1999.
박종삼, 「교회 사회봉사 총람」, 1994.
이용수, 「선교로서의 사회봉사」,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노영상, 「영성과 윤리」,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이형기,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 운동의 세 흐름에 나타난 신학」,
http://blog.naver.com/bluesamson/120007272710
박종삼, 「21세기 한국교회 사회봉사의 신학과 그 실천방향」, 풀빛목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5.01.13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