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 한국전쟁에 대한 사회경제적 배경에 대한 지식을 얻는다.
2. 생애 史
① 가정환경
②결혼(초혼)과 6.25
③재혼
④ 현재의 삶
a. 할머니와 함께 사는 사람들
b.신앙
c.자녀
d.가족, 자녀들과의 관계
e.행복하셨을 때, 힘드셨을 때
f. 할머니를 말하다 (현재의 갈등)
g.일반적인 하루, 여가, 건강
h.죽음에 대한 태도
i. 객관적인 정보
3. 사회 복지적 관점으로 생각해 보기
3. 결론
2.본론
1. 한국전쟁에 대한 사회경제적 배경에 대한 지식을 얻는다.
2. 생애 史
① 가정환경
②결혼(초혼)과 6.25
③재혼
④ 현재의 삶
a. 할머니와 함께 사는 사람들
b.신앙
c.자녀
d.가족, 자녀들과의 관계
e.행복하셨을 때, 힘드셨을 때
f. 할머니를 말하다 (현재의 갈등)
g.일반적인 하루, 여가, 건강
h.죽음에 대한 태도
i. 객관적인 정보
3. 사회 복지적 관점으로 생각해 보기
3. 결론
본문내용
지를 보면서 잘 짜여진 프로그램의 필요성, 그리고 정책적으로 어려운 환경에 놓인 노인들을 지지하는 것 등의 서비스와 법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 우리는 우선적으로 무엇인가가 회복해야 할 부분이 있음을 느낀다.
너무 막연하게 보이지만 가정 가정이 회복이 되어야 할 것 같다. 그 곳에서 노인들이 정체성을 찾아갈 수 있도록 정서적인 지지가 필요한 것 같다. 그리고 죽음에 대해 잘 준비해 가실 수 있도록 실제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노인의 시기와 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고, 가족원들이 단순히 노인들을 돌봐야 한다는 관점보다는 진정한 관심을 갖고 대하는 것이 필요한 것 같다. 물론 어렵다. 그 이유는 우리가 아직 노인이 아니기 때문이다. 무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인의 시기는 무엇보다도 외롭고, 연약해 지는 시기인 것 같다.
하지만 이 분들에겐 삶의 지혜가 있다. 이 지혜를 잘 끌어다 쓸 수 있도록 이 사회가 그 일들을 맡아서 해야 할 것 이다.
그리고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이런 노인과 함께 사는 가정에게 노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도 프로그램이나 여러 매체를 통해 실시하는 것도 좋은 것 같다. 그러면 갈등으로 일어나는 일들이 가정마다 이해하면서 해소될 것 같다. 교육이 필요한 것 같다.
그리고 노인들이 여가 풍요하게 보낼 수 있는 방책으로 기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독거노인이나 더 어려운 상황에 있는 노인에게는 정서적 재가 서비스가 더 필요할 것이다.
뜻이 있는 자원봉사자와의 연계를 통해서, 또 가정 가정을 엮어 줄 수 있는 멘토-멘티를 통해 정서적 서비스를 지원하는 일이 더 정책적으로 의무적으로 체계화 되어야 할 것 이다.
3. 결론
결론을 맺게 될 시점이다. 인터뷰를 통해서 6.25에 대한 부분들을 다시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물론 그 때의 상황이나 분위기를 몸소 느낄 수는 없지만, 그 시대가 얼마나 어렵고 힘든 시기였는지 돌아보게 되었다.
할머니는 비록 그 시기가 이미 오래전 일이라서 그러신지 깊은 상처로 남기 보다는 추억처럼 남아계신 것 같다.
할머니의 결혼, 그리고 가족들, 그리고 자녀들, 그리고 현재의 삶을 살펴보면서, 손녀로서 많은 내용을 정리할 수 있었다.
나도 할머니와 함께 생활하면서, 단순히 보여 지는 행동이나 태도를 못 마땅하게 여긴 부분도 많지만, 그 이유는 다 있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첫째는 노인으로서 갖게 되는 외로움의 영역이 내가 모르는 부분이지만 분명히 있다는 것이다.
자녀들이 돌보고 함께 하지만, 그 내부에 깊은 외로움이 있는 것이었다.
우리도 이 시기에 갖는 외로움, 인생이 무엇인가? 나는 누구인가? 인생의 쫓아갈 목표가 무엇인가? 에 대한 많은 고민이 있듯이, 할머니가 겪으시는 인생 중에 이런 고민들이 있는 것이다.
둘째는 실제로 내가 잘 못하는 부분이 있다. 이것은 어쩌면 할머니가 기대하는 기대치, 내가 주고자 하는 할머니에 대한 관심이 균형을 이루지 못해서 그러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살면서 이 부분들은 내가 더 할머니를 이해하면서 섬겨야 하는 부분인 것을 깨달았다.
할머니에게 상처가 있는 부분을 또 느끼게 되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이 상처를 점점 잊고 가시는 것을 느끼게 된다.
현재에 자녀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작은 갈등들이 생기지만, 할머니는 의존적으로 풀어 가시는 것이 아니라, 때론 인내하시면서, 다른 부분으로 스트레스를 푸시면서 삶을 계속 적극적으로 살고 계셨다.
할머니를 보면서, 할머니를 노인이라는 바운더리로 묶어 버리는 것은 참 위험 하구나 느꼈다. 그 분들도 인생을 살고 계시고 우리도, 그리고 나도 인생을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 분들을 이해하고, 그 분들이 겪고 계시는 시기들도 이해한다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갈등이 어느 정도 해소되는 게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인터뷰를 하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고, 잘해 드려야 한다는 그 부분이 좀더 구체적으로 되어지는 경험을 하게 된 것 같다.
목 차
1.서론
2.본론
1. 한국전쟁에 대한 사회경제적 배경에 대한 지식을 얻는다.
2. 생애 史
① 가정환경
②결혼(초혼)과 6.25
③재혼
④ 현재의 삶
a. 할머니와 함께 사는 사람들
b.신앙
c.자녀
d.가족, 자녀들과의 관계
e.행복하셨을 때, 힘드셨을 때
f. 할머니를 말하다 (현재의 갈등)
g.일반적인 하루, 여가, 건강
h.죽음에 대한 태도
i. 객관적인 정보
3. 사회 복지적 관점으로 생각해 보기
3. 결론
하지만 그 무엇보다 우리는 우선적으로 무엇인가가 회복해야 할 부분이 있음을 느낀다.
너무 막연하게 보이지만 가정 가정이 회복이 되어야 할 것 같다. 그 곳에서 노인들이 정체성을 찾아갈 수 있도록 정서적인 지지가 필요한 것 같다. 그리고 죽음에 대해 잘 준비해 가실 수 있도록 실제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노인의 시기와 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고, 가족원들이 단순히 노인들을 돌봐야 한다는 관점보다는 진정한 관심을 갖고 대하는 것이 필요한 것 같다. 물론 어렵다. 그 이유는 우리가 아직 노인이 아니기 때문이다. 무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인의 시기는 무엇보다도 외롭고, 연약해 지는 시기인 것 같다.
하지만 이 분들에겐 삶의 지혜가 있다. 이 지혜를 잘 끌어다 쓸 수 있도록 이 사회가 그 일들을 맡아서 해야 할 것 이다.
그리고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이런 노인과 함께 사는 가정에게 노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도 프로그램이나 여러 매체를 통해 실시하는 것도 좋은 것 같다. 그러면 갈등으로 일어나는 일들이 가정마다 이해하면서 해소될 것 같다. 교육이 필요한 것 같다.
그리고 노인들이 여가 풍요하게 보낼 수 있는 방책으로 기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독거노인이나 더 어려운 상황에 있는 노인에게는 정서적 재가 서비스가 더 필요할 것이다.
뜻이 있는 자원봉사자와의 연계를 통해서, 또 가정 가정을 엮어 줄 수 있는 멘토-멘티를 통해 정서적 서비스를 지원하는 일이 더 정책적으로 의무적으로 체계화 되어야 할 것 이다.
3. 결론
결론을 맺게 될 시점이다. 인터뷰를 통해서 6.25에 대한 부분들을 다시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물론 그 때의 상황이나 분위기를 몸소 느낄 수는 없지만, 그 시대가 얼마나 어렵고 힘든 시기였는지 돌아보게 되었다.
할머니는 비록 그 시기가 이미 오래전 일이라서 그러신지 깊은 상처로 남기 보다는 추억처럼 남아계신 것 같다.
할머니의 결혼, 그리고 가족들, 그리고 자녀들, 그리고 현재의 삶을 살펴보면서, 손녀로서 많은 내용을 정리할 수 있었다.
나도 할머니와 함께 생활하면서, 단순히 보여 지는 행동이나 태도를 못 마땅하게 여긴 부분도 많지만, 그 이유는 다 있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첫째는 노인으로서 갖게 되는 외로움의 영역이 내가 모르는 부분이지만 분명히 있다는 것이다.
자녀들이 돌보고 함께 하지만, 그 내부에 깊은 외로움이 있는 것이었다.
우리도 이 시기에 갖는 외로움, 인생이 무엇인가? 나는 누구인가? 인생의 쫓아갈 목표가 무엇인가? 에 대한 많은 고민이 있듯이, 할머니가 겪으시는 인생 중에 이런 고민들이 있는 것이다.
둘째는 실제로 내가 잘 못하는 부분이 있다. 이것은 어쩌면 할머니가 기대하는 기대치, 내가 주고자 하는 할머니에 대한 관심이 균형을 이루지 못해서 그러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살면서 이 부분들은 내가 더 할머니를 이해하면서 섬겨야 하는 부분인 것을 깨달았다.
할머니에게 상처가 있는 부분을 또 느끼게 되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이 상처를 점점 잊고 가시는 것을 느끼게 된다.
현재에 자녀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작은 갈등들이 생기지만, 할머니는 의존적으로 풀어 가시는 것이 아니라, 때론 인내하시면서, 다른 부분으로 스트레스를 푸시면서 삶을 계속 적극적으로 살고 계셨다.
할머니를 보면서, 할머니를 노인이라는 바운더리로 묶어 버리는 것은 참 위험 하구나 느꼈다. 그 분들도 인생을 살고 계시고 우리도, 그리고 나도 인생을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 분들을 이해하고, 그 분들이 겪고 계시는 시기들도 이해한다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갈등이 어느 정도 해소되는 게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인터뷰를 하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고, 잘해 드려야 한다는 그 부분이 좀더 구체적으로 되어지는 경험을 하게 된 것 같다.
목 차
1.서론
2.본론
1. 한국전쟁에 대한 사회경제적 배경에 대한 지식을 얻는다.
2. 생애 史
① 가정환경
②결혼(초혼)과 6.25
③재혼
④ 현재의 삶
a. 할머니와 함께 사는 사람들
b.신앙
c.자녀
d.가족, 자녀들과의 관계
e.행복하셨을 때, 힘드셨을 때
f. 할머니를 말하다 (현재의 갈등)
g.일반적인 하루, 여가, 건강
h.죽음에 대한 태도
i. 객관적인 정보
3. 사회 복지적 관점으로 생각해 보기
3. 결론
추천자료
[노인간호]우리나라 노인전문간호사의 교육과정과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기여도
<노인간호학 완벽> 재가노인복지지설 기준에대해 조사하고 인근 시설을 조사하시오 -구로노인...
<노인간호학D-사례분석>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의 목적, 요양급여의 종류, 이용절차,등급판정...
<노인간호학-사례완벽분석>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의 목적, 요양급여의 종류, 이용절차, 등급...
[노인문제] 노인 자살의 정의, 노인자살의 원인과 특징 대책에 대해서
우리나라의 재가노인복지 현황과 문제점 (재가노인복지의 개념, 지역사회보호서비스를 통한 ...
[노인복지론] 우리나라의 노인학대 실태에 대하여 알아보고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자신의 생...
재가노인복지사업과 재가복지시설방문 보고서(재가복지방문시설, 노인종합복지관방문, 일본의...
노인의 재혼과 이성교재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의 이혼과 재혼율...
치매노인의 가족 수발자를 인터뷰하고 잔여적 복지가 어떻게 노인돌봄에 있어서 가족과 치매...
노인의 성을 다룬 영화 '죽어도 좋아'를 시청하고 영화의 줄거리와 우리나라 노인의 성관련 ...
노인의 소득을 보장하는 많은 프로그램 중 특히 노인능력은행, 노인공동작업장 프로그램에 대...
[노인복지관련법] 노인복지법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저출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