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및 결과
토의
1.렌즈의 초점거리
2.오차의 원인
3.색수차란?
토의
1.렌즈의 초점거리
2.오차의 원인
3.색수차란?
본문내용
라 차차 작아지므로, 렌즈를 통해 물체의 상을 맺게 하면 물체의 색(빛의 파장)에 따라 상의 위치나 배율이 달라진다. 이 현상이 색수차인데, 색수차를 가진 렌즈를 통해 백색광을 보면 빨강에 가까운 긴 파장의 빛일수록 초점이 렌즈에서 먼 곳에, 보라에 가까운 짧은 파장의 빛일수록 렌즈와 가까운 곳에 초점이 맺히므로 상이 아롱져 덜 선명해 보인다.
일반적으로 단일렌즈는 모두 색수차가 있으므로, 광학기계에 사용되는 렌즈는 단일렌즈를 몇 개 결합하여 각각의 용도에 따라 색수차를 감소시키고 있다. 이러한 색수차보정(補正)을 색지움이라 하며, 색수차를 줄인 렌즈를 색지움렌즈라 한다. 한편 프리즘을 통해 흰 물체를 보았을 때도 색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프리즘의 분산이며, 렌즈의 색수차와 같은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일렌즈는 모두 색수차가 있으므로, 광학기계에 사용되는 렌즈는 단일렌즈를 몇 개 결합하여 각각의 용도에 따라 색수차를 감소시키고 있다. 이러한 색수차보정(補正)을 색지움이라 하며, 색수차를 줄인 렌즈를 색지움렌즈라 한다. 한편 프리즘을 통해 흰 물체를 보았을 때도 색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프리즘의 분산이며, 렌즈의 색수차와 같은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