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의이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렌즈의 이해
1) 명칭
2) 광의 굴절
3) 수차(收差) ABERRATION
4) 색수차 보정
5) LENS 의 구성
6) 증투처리 LENS COATING
7) LENS 의 초점거리
8) LENS 의 밝기 = 조리개 APERTURE, IRIS, DIAPHRAGM
9) 조리개의 선예도
10) 대구경 고급 LENS의 이해
11) 렌즈 문자의 의미

2. 렌즈와 촬영거리

3. 렌즈의 기능과 역할
1) 피사체의 이미지를 맺어주는 역할을 한다.
2) 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라 원근감을 달리 표현할 수 있다.
3) 렌즈에 따라 피사계 심도가 달라진다.
4) 렌즈의 종류와 특징
⑴ 표준렌즈
⑵ 광각렌즈
⑶ 망원렌즈
⑷ 줌렌즈
⑸ 마이크로 렌즈
⑹ 컨버터 렌즈
5) 렌즈의 선택
6) 렌즈의 문제점
⑴ 빛 번짐 현상(Flare, Fog)
⑵ 비네팅 현상

4. 렌즈를 이용한 이미지의 변화
1) 화각의 변화
2) 크기의 변화
4) 심도의 변화
5) 느낌의 변화

5. 렌즈에 대한 Q & A

본문내용

와 비교해 최단촬영 거리가 먼 것이 큰 단점이었다.
그래서 어느 정도의 묘사력 저하를 감수하면서 근접촬영을 가능하도록 한 것이 마크로의 영역이다. 따라서 마크로의 영역은 통상의 촬영거리 범위의 묘사력과 다른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 거리표시의 색을 다르게 하거나 꽃 마크를 그려 넣거나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묘사력이 떨어지는 렌즈마다 다르겠지만 대개의 경우 렌즈 중심부의 묘사는 어느 정도 나쁘지 않지만 화면 주변 부의 상들은 균일성이 없어지고 해상력 부족과 상이 흐르는 경향이 있다. 이해 비해 전용 마크로 렌즈는 근접 촬영을 하여도 화면 중심부와 주변 부의 차이가 없고 상의 균일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상의 왜곡(Distortion)도 줌의 마크로 영역은 눈에 띄는 것이 많지만 전용 마크로렌즈는 거의 보정되어 있다. 또 촬영 배율도 전용마크로 렌즈는 대부분 등배 촬영(1:1 접사)이 가능한 반면 줌렌즈는 배율이 높아도 1/2 정도이고 대부분 1/4, 1/6배 전후로 되어있다. 또 줌렌즈의 마크로 영역은 초점거리 전역에서 가능한 전역마크로와 망원측에서만 마크로 촬영이 가능한 텔레마크로, 광각만 가능한 와이드 마크로가 있어 사용 편의성에도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줌렌즈의 마크로 영역과 전용마크로 렌즈는 무척 다른 것이다. 본격적인 접사나 복사 촬영이라면 전용마크로 렌즈로 할 수밖에 없다.
* 렌즈 후드는 꼭 필요한가.
" 렌즈에 후드를 달면 카메라가 길어지고 번거롭다. 후드는 실제로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을까? "
- 렌즈 후드의 효과
렌즈의 전면에 강한 광선이 닿으면 그 빛은 렌즈 안과 카메라 속으로 들어와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저하 시키거나 원형또는 다각형 조리개 모양을 사진에 만들거나 하는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전자를 플레어(flare), 후자를 고스트(ghost)라고 부르며 이것을 효과적으로 없애기 위해 렌즈 후드를 사용하게 된다.
고스트 효과는 초광각 영역에서는 막기 어렵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영상효과로 적극적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화면 전체가 흐릿해지는 플레어는 사진을 망치는 원인이 된다. 특히 망원렌즈와 구성 매수가 많은 줌렌즈에서 눈에 많이 띄고, 렌즈 앞면에 일부 닿는 빛만으로도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므로 이런류의 렌즈에서 직사광을 막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고스트와 플레어는 태양 빛에서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강한 인공광, 반사율 높은 벽면, 수면이나 설경 등에서도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주변 방향의 불필요한 광선을 막아주는 렌즈후드는 대단히 유용한 도구라고 말할 수 있다. 사실 렌즈 광학에서는 후드를 장착해야 완성된 시스템이라고 말할 수 있다.
- 렌즈 후드의 한계
후드의 길이는 화면 내 사진에 찍히지 않는 빠듯한 위치까지가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줌렌즈 후드는 광각 측의 화각에 맞춰 제작되어 있으므로 망원 측에서는 실제길이의 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 얼마전 부터 유행하고 있는 꽃 모양 후드는 위, 아래 방향의 역활은 좋지만 대각선 방향은 길이가 좀 짧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 두툼한 종이 등으로 후드를 만들어 쓰는 사람도 있다. Zooming에 따른 화각 변화에 맞춰 앞뒤로 이동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때일부 줌렌즈들은 촬영거리에 따라 화각이 변하는 것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시야율 100%의 카메라라 하더라도 한번쯤 테스트 촬영을 해 볼 것을 권한다.
- 후드를 분리하는 것이 좋은 경우
후드를 장착한 상태에서 카메라에 내장된 스트로보 나 핫슈를 이용한 촬영을 하면 스트로보 광에 의한 후두 그림자가 화면 아래 부분에 생길 수 있다. 그림자의 형태나 크기는 화각과 렌즈 길이, 후드 모양에 따라 각각 다를 것이다. 이런 경우는 후드를 제거하고 촬영하는 것이 좋다. 모델링 램프를 켜 놓고 진행하는 스튜디오 촬영이 아니므로, 화인더로 스트로보에 의한 조명 상태를 미리 볼 수 없기 때문에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낮에 야외에서 일중 싱크로를 하는 경우는 잊기 쉬우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 렌즈를 교환하면 색이 변한다.
“ 여러 가지 화각의 렌즈로 같은 장면을 촬영 할 경우 각 렌즈에 따른 색 재현성의 차이로 사진의 색이 달라질 수 있을까? "
칼라사진에서 색 재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여러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1) 피사체를 조명하고 있는 광원의 색 온도
2) 피사체 주변의 색 반사
3) 피사체의 색 특성
4)카메라로부터 피사체 까지의 거리(공기 원근감 같은)
5) 렌즈의 색 특성
6) 카메라 바디 안의 부정확한 색 반사
7) 칼라필름의 분광 특성 칼라 필름의 현상처리
8) 칼라프린트에서의 색 보정
9) 감상 광원의 색 특성과 감상환경(주변 반사 등)
11) 평가자에 따른 느낌의 차이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피사체라 하더라도 이 조건 중 하나라도 변한다면 그것만으로 같은 색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일반적인 촬영에서 이러한 요소를 모두 같게 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망원렌즈와 광각 렌즈로 촬영할 때 같은 피사체가 같은 색으로 재현되지 않는 경우는 쉽게 볼 수 있는 현상이다.
- 렌즈의 분광특성에 의한 색 차이.
렌즈의 색 특성은 가시광선 범위 내의 빛에 대한 분광 투과율로 표시된다. 다시 말해서 전체적으로 렌즈를 통과하는 적, 녹, 청 각각의 투과율이 어떠한 밸런스를 갖는가에 따라 렌즈의 색 재현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은 복수 렌즈로 사용하는 각각의 유리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이를 코팅처리로 조절하게 된다.
렌즈 코팅은 렌즈 표면의 반사방지 효과뿐만 아니라 이러한 렌즈의 색 조정에도 사용하는 것이다. 렌즈의 분광특성에 따른 차이로 색의 차이가 생기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각 메이커들은 자사의 렌즈에 어느 정도 같은 분광특성을 적용하므로 같은 회사 제품이라면 그 차이점들은 무척 작다고 할 수 있다.
<사진렌즈> , 김성호 저 , 전파과학사 , 1998
<사진> , 바바라 런던 업턴 , 미진사 , 1997
http://ytcc.net/photons-study.html
http://www.nikonclub.co.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5.01.16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