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의 목적
3.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
본론
Ⅱ. 석호의 일반적 특성
Ⅲ. 시간과 공간 - 개발로 인한 매호의 ECOSYSTEM의 변화와 기능.
Ⅳ. 가치와 행동 - 매호의 환경가치를 중시하는 입장과 개발을 중시하는 입장의 시각 비교, 분석
Ⅴ. 위험과 불확실성 - 위의 각각의 입장이 미래에까지 계속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기술, 검토
Ⅵ. 석호환경을 중시하는 외국사례 - U.A.E, Saudi-Arabia, Egypt
Ⅶ. 토론 및 논의
Ⅷ. 결론
1. 문제제기
2. 연구의 목적
3.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
본론
Ⅱ. 석호의 일반적 특성
Ⅲ. 시간과 공간 - 개발로 인한 매호의 ECOSYSTEM의 변화와 기능.
Ⅳ. 가치와 행동 - 매호의 환경가치를 중시하는 입장과 개발을 중시하는 입장의 시각 비교, 분석
Ⅴ. 위험과 불확실성 - 위의 각각의 입장이 미래에까지 계속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기술, 검토
Ⅵ. 석호환경을 중시하는 외국사례 - U.A.E, Saudi-Arabia, Egypt
Ⅶ. 토론 및 논의
Ⅷ. 결론
본문내용
s forbidden during the breeding season.
Ⅶ. 토론 및 논의
지금까지 매호의 환경 가치와 개발 가치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매호 생태계를 시·공간, 가치와 행동, 위험과 불확실성이라는 세 가지 관점으로 바라보았다. 그러면 지금까지 조사한 매호에 관한 자료들과 그에 대한 우리의 판단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여야 하는가?
우리는 서론에서 매호가 다른 석호에 비해 개발이 덜 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조사지역으로 선택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래서 미개발 석호의 환경을 이미 개발에 의해 오염된 석호와 비교하여 보존가치와 개발가치 둘 중 어느 것이 더 바람직한 가치를 가지느냐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위의 조사 내용으로 볼 때 우리는 석호의 환경적 가치가 석호를 개발하면서 얻는 부가가치보다 더 크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지방 자치 단체에서 매호를 개발하여 그로 인해 지역의 경제적 이익을 얻으려 한다든지, 매호로 축산폐수를 방류하여 이익을 얻는 대가로 수질을 오염시킨다든지 하는 행위는 단기적으로는 이득이 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손해가 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나 석호를 둘러싸고 있는 이익단체들은 앞으로 동해안 석호의 개발에 의한 경제적 이득의 측면만을 볼 것이 아니라 석호 자체자 존재함으로 인해 가질 수 았는 많은 생태적, 환경적 이득에 눈을 돌려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위의 자료들에 근거해 볼 때 매호의 주 오염원은 축산 폐수와 인구 증가로 인한 가정 폐수, 96년에 완공된 실버 타운, 그리고 상류의 경지구획정리공사로 인한 토사의 유입 등이다. 따라서 매호의 수질과 그 주변환경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이들 오염원을 다른 방법으로 적절히 해소하거나 매호로의 새로운 인위적 접근을 막아야 한다는 과제가 생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법적 장치나 구체적인 노력은 있는지 앞으로 더 조사해 봐야 할 것이다. 개발에 따른 비용과 석호보존에 따른 비용을 비교가능하게 해 주는 적절한 식을 찾아 구체적이도 정확한 수치자료로 비교해 보는 것도 우리가 앞으로 보충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최근의 매호의 주 오염원인 호수 주변 취락의 생활 하수 유입, 실버 타운의 하수 배수구, 낚시에 의한 수질오염과 경관 훼손, 그 밖에 개발을 둘러싼 갈등이 있는지를 더욱 심층적으로 조사함으로써 다른 석호를 통해서 미루어 짐작한 매호의 위험과 불확실성에서 벗어나 직접적인 조사를 하려고 한다.
동해의 생태 시스템에 너무나도 중요한 석호, 우리는 매호의 가치는 그것이 보존될 때 최상이 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석호에 다가올 위험이나 불확실성을 제거하려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Ⅷ. 결론
이상으로 매호를 중심으로 동해안 석호에 대한 시·공간적 특성, 가치 갈등과 행동,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동해안에서 파괴되어 오염되어 가는 석호. 석호의 복원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본론의 내용을 정리하여 이의 근거를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해의 석호는 생태계의 종의 다양성과 서식지 다양성을 증진시켜 동해 연안 수산 생물을 풍성하게 한다. 그리고 담수호로 유지할 경우 수질이 쉽게 악화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해수와 담수가 섞인 기수호 상태로 복원, 유지하는 것이 환경보존의 차원에서 유리하다. 마지막으로 독특한 기수수서생태를 가지고 있어 자연학습장이나 관광자원으로 활용가치가 크다.
매호는 pH가 평균 8.91로, 거의 9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냈는데 이는 inlet을 통한 해수의 유입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닷물의 드나듦에도 불구하고 매호의 수질은 COD기준 평가로 5등급이다. 따라서 매호의 수질정화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추후에 석호의 오염에 대해 연구해 볼 사람들이 있다면 석호가 자연적으로 완전한 매립이 이루어져 그 기능을 상실했을 때, 석호가 매립된 자리의 주변 생태 시스템의 변화, 위험과 불확정성에 대해서 다루어 봤으면 한다.
< 참고 자료 >
1. 인터넷
* http://www.moct.go.kr/ 건설 교통부
* http://www.greenkorea.org/ 녹색연합
* http://www.me.go.kr/ 환경부
* http://210.204.217.1/social/2jang/sukho.htm 그림
* http://home.pusan.ac.kr/~ds5ijr/beach/beach26.htm 사진
* http://tggeo.com/vocab/g-21.htm 사진
* http://cosmos.netian.com/111111.htm 사진
* http://www.jeri.or.kr/jries/web/go/soc/geo/dictionary/html/7-015.htm 사진
* http://www.datadubai.com/creek.htm
* http://www.rac-spa.org.tn/SPA/Egypt/BARDAW.htm
* http://www.kasbah.com/highlights/united_arab_emirates_dubai_dubai_creek.htm
* http://vgn.dm.gov.ae/DMEGOV/dm-mp-dubaicity
2. TV 자료
* KBS환경스페셜- 호수로 온 바다 - 석호 2000년 9월 27일 방영
3. 신문기사
* 한국일보 2000/12/24
2000/12/25
2000/12/27
* 동아일보 2001/03/05
4. 논문
* 동해안 석호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과 주변 지역 변화에 관한 연구(1999/2) / 엄정훈
* 하구·석호 육해전이수역 통합환경관리방안연구 / 이창희 [외저]
5. 수업 자료
*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수진 교수님 수업 자료
<참고 사진과 그림>
1. 석호의 생성
2-1 석호의 생성 2-2 석호의 생성
3-1. 한국의 석호 3-2. 한국의 석호
3-3. 3-4. 3-5
4. Saudi-Arabia의 JEDDAH호
4-1.jeddah coast 4-2. jeddah city
5. Bardaweel Lagoon Protection (Egypt)
6-1. DUBAI's Creek 6-2. DUBAI's Creek 6-3. DUBAI's Creek
<참고자료>
프린트에 첨가.
Ⅶ. 토론 및 논의
지금까지 매호의 환경 가치와 개발 가치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매호 생태계를 시·공간, 가치와 행동, 위험과 불확실성이라는 세 가지 관점으로 바라보았다. 그러면 지금까지 조사한 매호에 관한 자료들과 그에 대한 우리의 판단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여야 하는가?
우리는 서론에서 매호가 다른 석호에 비해 개발이 덜 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조사지역으로 선택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래서 미개발 석호의 환경을 이미 개발에 의해 오염된 석호와 비교하여 보존가치와 개발가치 둘 중 어느 것이 더 바람직한 가치를 가지느냐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위의 조사 내용으로 볼 때 우리는 석호의 환경적 가치가 석호를 개발하면서 얻는 부가가치보다 더 크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지방 자치 단체에서 매호를 개발하여 그로 인해 지역의 경제적 이익을 얻으려 한다든지, 매호로 축산폐수를 방류하여 이익을 얻는 대가로 수질을 오염시킨다든지 하는 행위는 단기적으로는 이득이 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손해가 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나 석호를 둘러싸고 있는 이익단체들은 앞으로 동해안 석호의 개발에 의한 경제적 이득의 측면만을 볼 것이 아니라 석호 자체자 존재함으로 인해 가질 수 았는 많은 생태적, 환경적 이득에 눈을 돌려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위의 자료들에 근거해 볼 때 매호의 주 오염원은 축산 폐수와 인구 증가로 인한 가정 폐수, 96년에 완공된 실버 타운, 그리고 상류의 경지구획정리공사로 인한 토사의 유입 등이다. 따라서 매호의 수질과 그 주변환경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이들 오염원을 다른 방법으로 적절히 해소하거나 매호로의 새로운 인위적 접근을 막아야 한다는 과제가 생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법적 장치나 구체적인 노력은 있는지 앞으로 더 조사해 봐야 할 것이다. 개발에 따른 비용과 석호보존에 따른 비용을 비교가능하게 해 주는 적절한 식을 찾아 구체적이도 정확한 수치자료로 비교해 보는 것도 우리가 앞으로 보충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최근의 매호의 주 오염원인 호수 주변 취락의 생활 하수 유입, 실버 타운의 하수 배수구, 낚시에 의한 수질오염과 경관 훼손, 그 밖에 개발을 둘러싼 갈등이 있는지를 더욱 심층적으로 조사함으로써 다른 석호를 통해서 미루어 짐작한 매호의 위험과 불확실성에서 벗어나 직접적인 조사를 하려고 한다.
동해의 생태 시스템에 너무나도 중요한 석호, 우리는 매호의 가치는 그것이 보존될 때 최상이 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석호에 다가올 위험이나 불확실성을 제거하려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Ⅷ. 결론
이상으로 매호를 중심으로 동해안 석호에 대한 시·공간적 특성, 가치 갈등과 행동,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동해안에서 파괴되어 오염되어 가는 석호. 석호의 복원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본론의 내용을 정리하여 이의 근거를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해의 석호는 생태계의 종의 다양성과 서식지 다양성을 증진시켜 동해 연안 수산 생물을 풍성하게 한다. 그리고 담수호로 유지할 경우 수질이 쉽게 악화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해수와 담수가 섞인 기수호 상태로 복원, 유지하는 것이 환경보존의 차원에서 유리하다. 마지막으로 독특한 기수수서생태를 가지고 있어 자연학습장이나 관광자원으로 활용가치가 크다.
매호는 pH가 평균 8.91로, 거의 9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냈는데 이는 inlet을 통한 해수의 유입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닷물의 드나듦에도 불구하고 매호의 수질은 COD기준 평가로 5등급이다. 따라서 매호의 수질정화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추후에 석호의 오염에 대해 연구해 볼 사람들이 있다면 석호가 자연적으로 완전한 매립이 이루어져 그 기능을 상실했을 때, 석호가 매립된 자리의 주변 생태 시스템의 변화, 위험과 불확정성에 대해서 다루어 봤으면 한다.
< 참고 자료 >
1. 인터넷
* http://www.moct.go.kr/ 건설 교통부
* http://www.greenkorea.org/ 녹색연합
* http://www.me.go.kr/ 환경부
* http://210.204.217.1/social/2jang/sukho.htm 그림
* http://home.pusan.ac.kr/~ds5ijr/beach/beach26.htm 사진
* http://tggeo.com/vocab/g-21.htm 사진
* http://cosmos.netian.com/111111.htm 사진
* http://www.jeri.or.kr/jries/web/go/soc/geo/dictionary/html/7-015.htm 사진
* http://www.datadubai.com/creek.htm
* http://www.rac-spa.org.tn/SPA/Egypt/BARDAW.htm
* http://www.kasbah.com/highlights/united_arab_emirates_dubai_dubai_creek.htm
* http://vgn.dm.gov.ae/DMEGOV/dm-mp-dubaicity
2. TV 자료
* KBS환경스페셜- 호수로 온 바다 - 석호 2000년 9월 27일 방영
3. 신문기사
* 한국일보 2000/12/24
2000/12/25
2000/12/27
* 동아일보 2001/03/05
4. 논문
* 동해안 석호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과 주변 지역 변화에 관한 연구(1999/2) / 엄정훈
* 하구·석호 육해전이수역 통합환경관리방안연구 / 이창희 [외저]
5. 수업 자료
*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수진 교수님 수업 자료
<참고 사진과 그림>
1. 석호의 생성
2-1 석호의 생성 2-2 석호의 생성
3-1. 한국의 석호 3-2. 한국의 석호
3-3. 3-4. 3-5
4. Saudi-Arabia의 JEDDAH호
4-1.jeddah coast 4-2. jeddah city
5. Bardaweel Lagoon Protection (Egypt)
6-1. DUBAI's Creek 6-2. DUBAI's Creek 6-3. DUBAI's Creek
<참고자료>
프린트에 첨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