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 리 말
Ⅱ.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등장배경
Ⅲ.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전개
Ⅳ. 사회주의 시장경제하의 문제점
1. 국유기업의 개혁
2. 인플레의 억제
3. 지역분권화
4. 도·농간 및 지역간 소득격차의 확대와 빈곤계층
5. 에너지 수급
Ⅴ. 맺 음 말
Ⅱ.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등장배경
Ⅲ.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전개
Ⅳ. 사회주의 시장경제하의 문제점
1. 국유기업의 개혁
2. 인플레의 억제
3. 지역분권화
4. 도·농간 및 지역간 소득격차의 확대와 빈곤계층
5. 에너지 수급
Ⅴ. 맺 음 말
본문내용
로 수송면에서는 원탄의 수송량을 줄일 수 있게 산지발전과 기간송전망의 정비가 검토되고 있다. 셋째로 가격체계의 재평가가 착수되고 있다. 에너지 산업을 담당하는 다수의 국유기업들이 저가격이라는 원인으로 적자조업을 하지 않을 수 없고 따라서 설비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정부는 원유가 인상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인플레 영향이 크므로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넷째로 자금조달면에서 다양화가 추진되고 있다. 특히 중점은 외자도입에 있다. 公的資金외에 해외에서의 채권발행이나 BOT(Build Operate Transter) 그리고 BOO(Build Own Operate)방식의 이용에 의한 합판사업 자본주의 국가의 기업과 제휴하여 사업을 경영하는 사업을 총칭하는 말임.
도 증가되고 있다.
홍콩이나 미국 그리고 일본기업과의 합판발전소 건설도 시작되고 있고, 이와 같은 움직임에 대응해서 94년 ‘전력건설 이용 외자 잠정규정’도 공포되었다. 종전에 외자참여를 금지해온 內陸油田개발에 있어서도 타림유전의 대외개방을 계기로 외자활용 움직임이 적극화하고 있다.
이밖에도 중국경제는 일부경제관리들의 권력남용, 공금횡령, 뇌물수수 등의 부정부패, 시장경제화, 농촌문제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미국과의 통상압력, 최근의 대만해협의 긴장고조 등 수 많은 난관들에 봉착해 있다. 중국경제연구회, 등소평 이후의 중국경제 극동문제, 1995년 6월호, pp. 87~89.
Ⅴ. 맺 음 말
등소평체제 아래에서 1978년 추진된 개혁개방 정책은 1996년까지(편의상 설정) 위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중국경제를 성장발전시키는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다. 즉 모택동에 의해서 추진된 제 1차 5개년 계획이나 대약진운동, 그리고 인민공사나 문화대명으로 발생한 계획 경제의 모순을 타파하면서 새로운 경제형태인 중국적 특색의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이룩하는데 성공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제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경제는 내부적으로 많은 문제들을 앉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사회주의 경제의 특징인 공유제의 근간을 이루는 국영기업의 모순이나, 지역분권화와 이와 연관된 도농간 및 지역간 소득격차 등은 현 중국이 해결해야할 대표적인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李鵬총리가 올해 개최된 제 9기 전인대 1차회의 정부공작보고에서 중국은 경제개혁을 뒷받침하기 위한 구조조정 작업의 일환으로 비대한 관료체제 정비와 국유기업 개혁을 향후 중점 사업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천명한 것과, 이를 위해 국유기업 개혁을 당면 경제체제개혁의 최우선 과제로 선정하여 장기간 적자를 보고 있거나 회생가망이 없는 기업들에 대해선 과감한 파산제를 도입해 향후 3년 내에 모두 도태시킬 예정임을 밝힌 것에서 국유기업에 대한 개혁 심각성을 잘 알 수가 있다. www.jongang.co.kr, 1998. 3. 전인대 기사 중에서.
현재 중국의 개혁을 주도하고 있는 인물은 강택민과 이번 전인대를 통하여 등장한 주용기로 대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등소평이 추진한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지향하고 있으며, 보다 효과적인 성장발전을 위하여 국영기업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려고 한다. 하지만, 국영기업에는 많은 당 간부와 노동자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개혁하기 위해서는 당 간부들의 불만과 노동자들의 대량 실업 사태를 감안해야만 한다. 이에 중국 정부에서는 사회간접자본(SOC) 시설과 농업, 주택 건설에 투자해 ‘중국판 뉴딜정책’을 시행하여 실업자들을 재고용할 계획까지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중국 경제에 있어서 앞으로의 과제는 첫째, 사회주의 시장경제 아래에서 발행한 여러 가지 모순을 해결하는 것이며, 둘째, 사회주의 계획경제와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어떻게 조율하면서 보다 발전적인 경제적인 성장을 이룩할 것인가가 가장 큰 당면 과제일 것이다.
<참고문헌>
www.jongang.co.kr, 전인대 기사색인.
박월라, 중국경제의 지방분권화 현황과 문제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2.
서창호,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의 전개과정 한국정치학회보, 제29집 1호, 1995.
소작기저, 진정미역, 중국경제의 야망, 매일경제신문사, 1996.
중국경제연구회, 등소평 이후의 중국경제 극동문제, 1995년 6월호.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문헌연구실 編, 이문규 옮김, 鄧小平文選 (下), 인간사랑, 1989.
체스터 탄, 모택동사상의 전개, 민두기 편, 중국현대사의 구조, 청람, 1990.
최익만,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시장경제 연구 중국연구, 1995 봄, 3권 1호, 대륙연구소.
도 증가되고 있다.
홍콩이나 미국 그리고 일본기업과의 합판발전소 건설도 시작되고 있고, 이와 같은 움직임에 대응해서 94년 ‘전력건설 이용 외자 잠정규정’도 공포되었다. 종전에 외자참여를 금지해온 內陸油田개발에 있어서도 타림유전의 대외개방을 계기로 외자활용 움직임이 적극화하고 있다.
이밖에도 중국경제는 일부경제관리들의 권력남용, 공금횡령, 뇌물수수 등의 부정부패, 시장경제화, 농촌문제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미국과의 통상압력, 최근의 대만해협의 긴장고조 등 수 많은 난관들에 봉착해 있다. 중국경제연구회, 등소평 이후의 중국경제 극동문제, 1995년 6월호, pp. 87~89.
Ⅴ. 맺 음 말
등소평체제 아래에서 1978년 추진된 개혁개방 정책은 1996년까지(편의상 설정) 위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중국경제를 성장발전시키는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다. 즉 모택동에 의해서 추진된 제 1차 5개년 계획이나 대약진운동, 그리고 인민공사나 문화대명으로 발생한 계획 경제의 모순을 타파하면서 새로운 경제형태인 중국적 특색의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이룩하는데 성공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제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경제는 내부적으로 많은 문제들을 앉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사회주의 경제의 특징인 공유제의 근간을 이루는 국영기업의 모순이나, 지역분권화와 이와 연관된 도농간 및 지역간 소득격차 등은 현 중국이 해결해야할 대표적인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李鵬총리가 올해 개최된 제 9기 전인대 1차회의 정부공작보고에서 중국은 경제개혁을 뒷받침하기 위한 구조조정 작업의 일환으로 비대한 관료체제 정비와 국유기업 개혁을 향후 중점 사업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천명한 것과, 이를 위해 국유기업 개혁을 당면 경제체제개혁의 최우선 과제로 선정하여 장기간 적자를 보고 있거나 회생가망이 없는 기업들에 대해선 과감한 파산제를 도입해 향후 3년 내에 모두 도태시킬 예정임을 밝힌 것에서 국유기업에 대한 개혁 심각성을 잘 알 수가 있다. www.jongang.co.kr, 1998. 3. 전인대 기사 중에서.
현재 중국의 개혁을 주도하고 있는 인물은 강택민과 이번 전인대를 통하여 등장한 주용기로 대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등소평이 추진한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지향하고 있으며, 보다 효과적인 성장발전을 위하여 국영기업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려고 한다. 하지만, 국영기업에는 많은 당 간부와 노동자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개혁하기 위해서는 당 간부들의 불만과 노동자들의 대량 실업 사태를 감안해야만 한다. 이에 중국 정부에서는 사회간접자본(SOC) 시설과 농업, 주택 건설에 투자해 ‘중국판 뉴딜정책’을 시행하여 실업자들을 재고용할 계획까지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중국 경제에 있어서 앞으로의 과제는 첫째, 사회주의 시장경제 아래에서 발행한 여러 가지 모순을 해결하는 것이며, 둘째, 사회주의 계획경제와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어떻게 조율하면서 보다 발전적인 경제적인 성장을 이룩할 것인가가 가장 큰 당면 과제일 것이다.
<참고문헌>
www.jongang.co.kr, 전인대 기사색인.
박월라, 중국경제의 지방분권화 현황과 문제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2.
서창호,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의 전개과정 한국정치학회보, 제29집 1호, 1995.
소작기저, 진정미역, 중국경제의 야망, 매일경제신문사, 1996.
중국경제연구회, 등소평 이후의 중국경제 극동문제, 1995년 6월호.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문헌연구실 編, 이문규 옮김, 鄧小平文選 (下), 인간사랑, 1989.
체스터 탄, 모택동사상의 전개, 민두기 편, 중국현대사의 구조, 청람, 1990.
최익만,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시장경제 연구 중국연구, 1995 봄, 3권 1호, 대륙연구소.
추천자료
모래이동 억제를 통한 황사 이동 방지
[지방행정론]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역학관계 및 오늘날의 분권화의 특징
억제성 폐질환 환자 간호
애니콜 억제전략
피부재생&노화억제 및 두피성장촉진 효소 - 식품산업으로의 활용
경제성장과 경제성장모형, 경제성장과 경제개발5개년계획, 경제성장과 민주화, 경제성장과 사...
한국시민사회의 성격, 역사, 한국시민사회의 분권화, 전자적 공공영역, 한국시민사회의 민주...
동북아시대(동북아시아시대) 일본 군사정책, 일본 경제정책, 동북아시대(동북아시아시대) 일...
[재정학] 지방사회복지정책의 예산문제 - 지방분권화 시대 지방사회복지정책의 변화와 정부지...
사회통제수단으로서의 치안활동 및 치안제도의 변화요인 (지식정보화, 세계화, 분권화, 친환...
[사회복지개론] 제도적 완경의 변화(사회복지실천 현장) - 분권화와 지방화, 공공복지 전달체...
[사회복지행정론] 한국의 복지행정과 지방분권화 - 사회복지분권화의 전개과정을 간단히 정리...
[경제력집중억제] 우리나라(한국) 경제력 집중(經濟力集中)의 억제
[정부조직(政府組織)의 구조] 정부조직구조의 의의(개념)와 복잡성, 집권화와 분권화, 조직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