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인지와 사회적 정보처리 모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사회인지발달이론
1.인지발달 이론
2.사회학습 이론
3.귀인이론

Ⅲ. 정보처리 모형
1.Dodge의 사회적 상호작용
2.사회적 상호작용의 개념화
(1)사회적 과제
(2)무의식적인 영향
(3)사회적 정보의 처리
(4)표출된 사회적 행동
(5) 사회적 능력의 평가

Ⅳ. 맺으면서

<참고문헌>
<참고1> Dodge의 사회적 정보처리 모형
<참고2> Dodge의행동장애 모형
<참고3> Dodge의 아동의 사회적 능력변화모형

본문내용

Psychol. 1993. 44:559-584
1. encoding(부호화 단계)
가. 편견 되지 않은 방법으로, 가능한 한 많은 관련 단서에 주의
나. ① Dodge & Newman(1981) - 공격적인 아동들은 비공격적인 아동들보다 단서에 민감 하지 못함. 사회적 단서의 부족, 불완전하며 구조적으로 적대적인 단서에 편견
② Gouze(1987) - 선택적으로 적대적인 사회적 단서에 방향을 정하며
- 다른 주의로 확산이 어려움
- 자신에게는 방어적인 개념
- 타인의 입장에서는 적대적 방법으로 자극을 해석한다는 가능성으로 볼 수 있으며, 산출되는 행동을 공격적으로 반응하게 한다는 점에서 위험한 일이다.
③ Dodge & Frame(1982) - 적대적 단서에 대한 주의는 자극적인 의도(타인)에 대한 적대적 속성(아동)과 아동의 공격적 행동과 상관이 있음
따라서 공격적인 아동들은 편견된 부호화 과정을 거치며 선별적으로 자기지향적인 적대적 행동에 관심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2. Mental Representation(정신적 표상)
가. 인과관계, 의도의 해석, 사회적 조망-수행, 도덕적 추리, 자기가치에 관한 추론, 그 리고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한 기대의 일반화 등이 포함
나. ① Marcuc, (1980) - 사회적으로 일탈되고 혹은 인기없는 아동들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정서적 조망능력 결핍
② Chandler(1973):Rubin & Maioni(1975) - 다른 사람의 논리를 이해하는 사회적 조망 수행능력 결핍
③ Dodge(1980)는 공격적인 반응들은 적대적 속성이 만들어 졌을 때, 70%의 빈도가 나타 나는 것을 알았으며, 반면에 인자한 속성이 만들어졌을 때는 25%의 빈도가 나타난 다고 하였다. 또한 공격적인 아동들은 상대방이 모호한 태도를 보이면, 비 공격적 인 아동들보다 적대적 의도를 추론하는 것이 50%에 달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모두 는 아니지만 일부는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증가시켜간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런 적대적 속성의 편견(Nasby,1979)이 매우 강력하다 하더라도, 조절은 가능할 것 같다. 즉, 공격적인 아동들은 그들이 단지 어떤 사건이나 상황에서 상대 방이 자신과 2차적인 존재로 평가하는 입장이 되었을 때는 편견을 나타내지 않는 다는 사실을 보아 그렇다. ( Dodge & Frame,1982; Sancilio et al,1989). 그들 자 신의 정저적 참여가 관건이다. 즉, 그들이 감정적으로 자극을 받지 않았을 때보다 받았을 때 편견을 잘 나타낸다고 하였다.(Dodge & Somberg, 1987)
3. Response access
부호화 과정과 정신적 표상을 거치게 되면, 아동들은 장기기억에서 한가지 혹은 여러 가지 가능한 행동적 반응들을 접근시킨다. 여기서는 아동들이 반응을 찾는 생산성, 즉 얼마나 많은 반응들을 찾아내는가와 접근된 반응들의 질이 문제가 된다. 아동의 실제적인 행동반응은 그들이 접근한 반응에 의해 제한되며, 수행할 수 있는 반응이 거의 없거나 여러 가지 감당할 수 없는 반응이 접근된다면, 일탈적 행동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Sure et al.(1973,1980)은 아동들이 취학전기에서 학령기 나이로 이동할 때 아동이 접근하는 반응들의 수와 공격적인 행동 비율과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알아냈다. 대체로 많은 연구를 통하여 공격적인 아동은 친구사귀기, 동료집단에 들어가기 시도에 대한 반응에서 말로 강요하거나, 물리적으로 공격하고, 과제와 상관없이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Dodge et al. 1986;Walter et al. 1987). 동료갈등 상황에서 성인의 개입을 요청하는 반응을 보였고(Asher & Renshaw 1981), 친사회적이지 못하며 관계를 넓히는 반응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Asher & Renshaw 1981; Petti et al. 1988).
공격적 아동들은 접근 반응에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들의 처음 반응이 성공을 못했을 때, 다양한 반응으로 접근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Rubin et al. 1991). 또한 공격적 아동들이 접근하는 반응들은 처음의 반응이 제시되고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이 알려지고 난 뒤에도 상당히 악화된다는 것을 밝혔다(Richard & Dodge, 1982).
결국, 공격적인 아동들은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풍부한 행동반응이 부족하다는 것을 말한다.
4. Response evaluation and Selection(반응평가 및 반응선택)
평가란 반응에 대한 도덕적 수용성, 가능한 수단적 기대(물질적 이익), 제재(권위있는 어른이 주는 벌), 대인관계, 개인내적 결과, 한 반응에 행동할 아동의 능력에 관한 자기효시적 판단이 포함되어 아동의 반응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충동성으로 인해 반응평가 모두에 몰두하는데 실패할 수 있으며, 또는 일탈된 행동을 실행했을 때 이어지는 결과에 대한 확신이 부족할 수 있다. 일탈된 처리과정이 일탈된 행동으로 이끌게 되는 것이다. 만성적으로 공격적인 아동들은 일어날 일의 결과에 대한 충분한 사전 평가없이 반응을 행하는 것으로 가정되며 (Kendall & Braswell 1985), Slaby &Guerra(1988)는 교도소에 있는 공격적인 청소년들이 그들의 행동에 대한 가능한 결과를 제시함에 있어 비공격적인 청소년보다 부족하다는 것을 연구하였다. 결국 그들은 동료나 사회적 거부에 대해서 공격적 반응이 최선이고 가장 적절한 반응으로 선택하는 것 같다(Garber et al. 1991)
5. Enactment(실행)
반응결정을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언어적, 행동적으로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2) 행동장애 모형
이전경험
지식구조
사회적 정보처리
행동
1.신체적학대
2.공격적 모델
3.불완전한 애착

1.적대적 스키마
2.자기방어적인 목표
3. 공격적 반응 목록

1.적대적 단서에 민감
2.적대적 귀인성 향
3.공격반응접근
4.공격의 결과로 서의 긍정적 기대

1. 공격행동
→ CONDUCT
DISORDER
참고3) 아동의 사회적 능력변화모형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6.01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33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