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체에 대한 벌킹 제어 대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상체에 대한 벌킹 제어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벌킹(bulking)의 정의
2. 벌킹슬러지의 형태
3. 벌킹의 발생원인
4. 사상체 증식의 메카니즘
5. 벌킹의 영향
6. 벌킹의 원인균

본문내용

슬러지 침강이 여전히 잘 안된다. 따라서 빈 초가 완전히 씻겨나갈 때까지 SVI가 높다)
9) Haliscomenobacter hydrossis
[세포특성]
사상체는 가늘고 길이가 짧다(0.5×10-100㎛). 사상체는 곧거나 약간 굽어 있다. 초를 가진다. 격벽이 없다. 사상체는 플럭 표면에서 밖으로 뻗어 나간다(마치 바늘꽂이에 바늘이 박혀있는 모양). 그러나 아주 많이 증식했을 경우 혼합액에 분산증식하기도 한다. 때때로 사상체 다발을 이루기도 하고 부착증식균이 보이기도 한다.
[출현환경]
낮은 DO, 낮은 F/M비에서 잘 증식한다.
10) Type 0803
[세포특성]
사상체는 곧거나 완만하게 굽어있다.(smoothly curved). 사상체의 길이는 짧다(0.8×50-150㎛). 사상체에 격벽이 있다.
11) Nostocoida limicola
[세포특성]
3종류가 있는 데 사상체의 굵기가 다르다.
Type Ⅰ : 0.6-0.8㎛
Type Ⅱ : 1.2-1.4㎛
Type Ⅲ : 1.6-2.0㎛이상
활성슬러지에서 Type Ⅰ과 Type Ⅲ는 출현이 아주 드물고 TypeⅡ는 가끔 나타나나 출현빈도가 낮은 편이다. 사상체는 플럭내에서 불규칙하게 꼬여 있다.
[출현환경]
낮은 F/M비에서 잘 증식한다. 이균에 의한 벌킹은 산업폐수에서 더 잘 일어난다. 감자가공폐수와 같이 전분이 함유된 폐수에서 선택적으로 잘 증식한다. 이균은 통성혐기성 발효(사상체 중에서 유일하게 가지고 있는 특성)를 하므로 낮은 DO가 이 균의 증식을 촉진한다.
12) Type 1851
[세포특성]
사상체는 곧거나 굽어 있다. 0.8-1.0×100-300㎛. 명확한 초가 있다. 플럭으로부터 사상체가 다발로 뻗어나간다. 사상체 세포표면에 수직방향으로 부착증식균이 성글게 부착하고 있다.
13) Type 0961
[세포특성]
사상체는 곧다. 0.8-1.4×20-150㎛. 플럭 표면에서 밖으로 뻗어난간다. 사상체는 투명한 것처럼 보인다. 격벽이 명료하다.
14) 곰팡이(fungi)
[세포특성]
사상체가 굵고 길다(3-8㎛ × 1,000㎛이상).
격벽이 있으며 세포는 직사각형이고 진정분지를 가진다.
[출현환경]
활성슬러지에서 곰팡이가 문제를 일으키는 일은 드물다. 그러나 곰팡이는 산성인 환경에서 잘 증식하므로 폭기조의 pH가 낮을 때(pH6.5 미만) 곰팡이가 증식될 수 있다. 당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폐수를 폭기하면 자연발생적으로 효모가 우점적으로 증식한다. 효모는 당을 유기산으로 분해시키면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증식한다. 그리하여 당이 분해되어 유기산농도가 점차 증가하게 되면 폭기조의 pH가 내려가기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pH가 5.5-6.5정도로 떨어지지만 당농도가 아주 높은 폐수인 경우에는 pH가 이보다 더 내려가기도 한다. 그리하여 낮은 pH에서 곰팡이가 과다하게 증식하여 슬러지 침강장해를 일으킨다. 당폐수외에도 과일가공폐수 등과 같이 폐수 자체내에 유기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폐수원수의 pH가 낮은 경우에는 곰팡이가 증식되어 벌킹이 일어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1.25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33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