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주로 수중의 암모니아성 질소가 생물화학적으로 산화되어 생성한다. 이것은 비교적 불안정하고, 산화하면 질산성 질소가 되고 다시금 생물화학적으로 환원되면 주로 질소가스로 변한다.
질산성 질소는 질산염을 질소량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주로 암모니아성 질소가 질화균의 작용으로 산화되어 생성한다.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처리에서 산화가 지나치면 처리수중에 질소가 증대하고 pH는 저하한다.
유기성 질소는 아미노산, 단백질 및 기타 각종 유기화합물에 함유되고 있는 질소분을 뜻한다. 수중의 유기성 질소는 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산화되어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질소로 변이한다. 또한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질산성 질소를 무기성 질소라하고, 유기성질소와 합쳐서 전질소라 한다
염소이온
수중에 용해하고 있는 염화물중의 염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유입하수의 염소이온농도는 40~50㎎/ℓ로 해수, 해산물 가공업 폐수 등이 혼입하면 증가한다. 고농도의 염소이온은 금속류를 부식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수처리를 저해한다.
인
인은 수중에 인산염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수중의 인산염은 지질적 요인 및 분뇨, 세제, 공장폐수, 비료등의 혼입에 기인한다. 인산염은 생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한 역활을 하고, BOD치의 1/100~5/100정도의 인 함량이 없으면 활성슬러지 증식에 장해가 나타난다. 반면에 하해(河海), 호소등의 부영양화 원인도 되어 수질오염의 한 지표가 되고 있다.
불소
불소는 화합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수중에서는 대체로 저독 또는 무해의 불소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시안
수중의 시안은 주로 공장폐수(특히 야금, 금속제련, 사진현상등)에 기인하고, 독성이 강하여 시안농도 1㎎/ℓ 정도에서도 생물학적 처리에 장해가 나타나고 2㎎/ℓ이상이 되면 독작용이 현저하다고 한다. 시안을 함유하는 폐수가 산과 혼입하여 pH8 이하에서 맹독의 시안화수소(HNC)가 발생하기 때문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n-핵산추출물질
용제의 일종인 n-핵산에 용해되는 물질을 가리키고, 보통 수중에 함유되고 있는 유지류, 광유 등을 뜻한다. n-핵산추출물질은 스컴 발생의 원인이 되고, 하수처리시설의 조작이나 소화과정에 유해한 영향을 준다.
음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가정용 합성세제의 유효성분이며, 경성(ABS)의 것과 연성(LAS)의 것이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포기조나 방류수의 발포원인이 되고, 농도가 높아지면 활성슬러지의 작용에 장해가 된다.특히 ABS는 생물분해가 잘 되지 않고 수중에 장기간 잔존하여 발포하고 생물체에 영향을 준다. LAS는 포기조에서 90%이상이 분해된다.
페놀류
페놀류란 석탄산 및 각종 페놀화합물을 가리킨다. 수중의 페놀류는 주로 공장폐수나 병원등의 배수에서 기인한다. 이것이 다량 존재하면 악취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처리장에서 처리과정에 유해한 영향을 주기도 한다.
유기인
하수실험에서 유기인이라 함은 주로 농약중 독성이 강한 파라티온, 메틸파라티온, EPN 및 메틸디메톤 등의 유기인을 가리킨다. 유기인 화합물은 여과법으로는 제거되지 않으나 흡착법으로 하면 상당히 제거된다. 수질기준상으로는 검출되어서는 안되나 0.1ppm이하일 경우는 무시할 수 있다고 한다.
중금속류
중금속류는 생물처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슬러지중에 축적되어 슬러지의 처분을 곤란하게 한다. 중금속류는 활성슬러지에 매우 잘 흡착되기 때문에 미량이 유입하여도 처리수에 혼입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고, 반면 슬러지중의 중금속농도가 증가한다. 하수내에 어느 특정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면 활성슬러지의 미생물에 장애를 가져오게 된다.
PCB
PCB는 전기 절연성이 높고, 불휘발성, 불연성으로 열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용제로서의 능력도 있어 공업용으로 널이 이용되어 왔으나, 이와 같은 화학적 불활성이 오히려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었다.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처리에 미치는 PCB의 영향은 불명하나 활성슬러지에 흡착된 PCB는 분해되지 않고 슬러지중에 축적되기 때문에 저농도라 할지라도 유입하수에 존재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한다. (Polychlorimated Biphenyl)
일반세균
보통 한천배지에 생균을 형성하는 세균의 총칭으로 여러가지의 호기성 및 통성(通性),혐기성 세균의 총세균이다. 일반적으로 오염이 심할 수록 그 수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대장균군
대장균군은 gram 음성 무아포의 단한균으로 일정기간내에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일정량 이상의 가스를 발생하는 세균군을 말한다. 대장균은 보통 비병원성이나,병원성인 것도 있다. 수질실험에서의 대장균군 실험은 분뇨의 오염을 받을 가능성 여부와 물로 인한 위생상의 위험을 예방하는 수단으로 행하는 것이며, 대장균군은 그 자체가 직접 위생상 유해한 것은 아니다.
MLSS
포기조내 혼합액의 SS를 ㎎/ℓ로 표시한 것이며, 활성슬러지 농도를 뜻한다.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MLVSS
MLSS의 VSS를 ㎎/ℓ로 표시한 것이며, 주로 활성슬러지중의 미생물량을 나타낸다.(Mixed Liquor Volatile Suspended Solid)
RSSS
반송슬러지중의 SS를 ㎎/ℓ로 표시한 것이며, 반송슬러지의 농도를 뜻한다. (Return Sludge Suspended Solid)
RSVSS
RSSS의 VSS를 ㎎/ℓ로 표시한 것이다 (Return Sludge Volatile Suspended Solid)
SV
용량 1ℓ의 메스실린더에서 활성슬러지를 30분간 정치한 다음 침전한 슬러지량을 검체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Sludge Volume)
MLDO
포기조내 혼합액중의 DO를 가리킨다. 활성슬러지에 의한 유기물의 산화반응은 MLDO의 영향을 받고, 산화가 능률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량의 DO가 유지되어야 한다.(Mixed Liquor Dissolved Oxygen)
휘발성 산
슬러지, 분뇨 등이 혐기성 발효과정에서 유기물 분해로 생기는 유기산을 초산의 ㎎/ℓ로 표시한 것이며,슬러지 소화조의 유지관리상 지표가 된다. (VA:Volatile Acid)
질산성 질소는 질산염을 질소량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주로 암모니아성 질소가 질화균의 작용으로 산화되어 생성한다.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처리에서 산화가 지나치면 처리수중에 질소가 증대하고 pH는 저하한다.
유기성 질소는 아미노산, 단백질 및 기타 각종 유기화합물에 함유되고 있는 질소분을 뜻한다. 수중의 유기성 질소는 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산화되어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질소로 변이한다. 또한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질산성 질소를 무기성 질소라하고, 유기성질소와 합쳐서 전질소라 한다
염소이온
수중에 용해하고 있는 염화물중의 염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유입하수의 염소이온농도는 40~50㎎/ℓ로 해수, 해산물 가공업 폐수 등이 혼입하면 증가한다. 고농도의 염소이온은 금속류를 부식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수처리를 저해한다.
인
인은 수중에 인산염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수중의 인산염은 지질적 요인 및 분뇨, 세제, 공장폐수, 비료등의 혼입에 기인한다. 인산염은 생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한 역활을 하고, BOD치의 1/100~5/100정도의 인 함량이 없으면 활성슬러지 증식에 장해가 나타난다. 반면에 하해(河海), 호소등의 부영양화 원인도 되어 수질오염의 한 지표가 되고 있다.
불소
불소는 화합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수중에서는 대체로 저독 또는 무해의 불소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시안
수중의 시안은 주로 공장폐수(특히 야금, 금속제련, 사진현상등)에 기인하고, 독성이 강하여 시안농도 1㎎/ℓ 정도에서도 생물학적 처리에 장해가 나타나고 2㎎/ℓ이상이 되면 독작용이 현저하다고 한다. 시안을 함유하는 폐수가 산과 혼입하여 pH8 이하에서 맹독의 시안화수소(HNC)가 발생하기 때문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n-핵산추출물질
용제의 일종인 n-핵산에 용해되는 물질을 가리키고, 보통 수중에 함유되고 있는 유지류, 광유 등을 뜻한다. n-핵산추출물질은 스컴 발생의 원인이 되고, 하수처리시설의 조작이나 소화과정에 유해한 영향을 준다.
음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가정용 합성세제의 유효성분이며, 경성(ABS)의 것과 연성(LAS)의 것이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포기조나 방류수의 발포원인이 되고, 농도가 높아지면 활성슬러지의 작용에 장해가 된다.특히 ABS는 생물분해가 잘 되지 않고 수중에 장기간 잔존하여 발포하고 생물체에 영향을 준다. LAS는 포기조에서 90%이상이 분해된다.
페놀류
페놀류란 석탄산 및 각종 페놀화합물을 가리킨다. 수중의 페놀류는 주로 공장폐수나 병원등의 배수에서 기인한다. 이것이 다량 존재하면 악취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처리장에서 처리과정에 유해한 영향을 주기도 한다.
유기인
하수실험에서 유기인이라 함은 주로 농약중 독성이 강한 파라티온, 메틸파라티온, EPN 및 메틸디메톤 등의 유기인을 가리킨다. 유기인 화합물은 여과법으로는 제거되지 않으나 흡착법으로 하면 상당히 제거된다. 수질기준상으로는 검출되어서는 안되나 0.1ppm이하일 경우는 무시할 수 있다고 한다.
중금속류
중금속류는 생물처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슬러지중에 축적되어 슬러지의 처분을 곤란하게 한다. 중금속류는 활성슬러지에 매우 잘 흡착되기 때문에 미량이 유입하여도 처리수에 혼입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고, 반면 슬러지중의 중금속농도가 증가한다. 하수내에 어느 특정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면 활성슬러지의 미생물에 장애를 가져오게 된다.
PCB
PCB는 전기 절연성이 높고, 불휘발성, 불연성으로 열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용제로서의 능력도 있어 공업용으로 널이 이용되어 왔으나, 이와 같은 화학적 불활성이 오히려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었다.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처리에 미치는 PCB의 영향은 불명하나 활성슬러지에 흡착된 PCB는 분해되지 않고 슬러지중에 축적되기 때문에 저농도라 할지라도 유입하수에 존재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한다. (Polychlorimated Biphenyl)
일반세균
보통 한천배지에 생균을 형성하는 세균의 총칭으로 여러가지의 호기성 및 통성(通性),혐기성 세균의 총세균이다. 일반적으로 오염이 심할 수록 그 수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대장균군
대장균군은 gram 음성 무아포의 단한균으로 일정기간내에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일정량 이상의 가스를 발생하는 세균군을 말한다. 대장균은 보통 비병원성이나,병원성인 것도 있다. 수질실험에서의 대장균군 실험은 분뇨의 오염을 받을 가능성 여부와 물로 인한 위생상의 위험을 예방하는 수단으로 행하는 것이며, 대장균군은 그 자체가 직접 위생상 유해한 것은 아니다.
MLSS
포기조내 혼합액의 SS를 ㎎/ℓ로 표시한 것이며, 활성슬러지 농도를 뜻한다.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MLVSS
MLSS의 VSS를 ㎎/ℓ로 표시한 것이며, 주로 활성슬러지중의 미생물량을 나타낸다.(Mixed Liquor Volatile Suspended Solid)
RSSS
반송슬러지중의 SS를 ㎎/ℓ로 표시한 것이며, 반송슬러지의 농도를 뜻한다. (Return Sludge Suspended Solid)
RSVSS
RSSS의 VSS를 ㎎/ℓ로 표시한 것이다 (Return Sludge Volatile Suspended Solid)
SV
용량 1ℓ의 메스실린더에서 활성슬러지를 30분간 정치한 다음 침전한 슬러지량을 검체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Sludge Volume)
MLDO
포기조내 혼합액중의 DO를 가리킨다. 활성슬러지에 의한 유기물의 산화반응은 MLDO의 영향을 받고, 산화가 능률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량의 DO가 유지되어야 한다.(Mixed Liquor Dissolved Oxygen)
휘발성 산
슬러지, 분뇨 등이 혐기성 발효과정에서 유기물 분해로 생기는 유기산을 초산의 ㎎/ℓ로 표시한 것이며,슬러지 소화조의 유지관리상 지표가 된다. (VA:Volatile Acid)
추천자료
수질오염과 수질오염방지기술
수질오염 현황과 예방
수질오염과 수질오염 대책
[대기오염, 수질오염, 대기오염과 수질오염] 대기오염과 수질오염
[낙동강][상하수도][낙동강 오염 사례][낙동강 수질개선]낙동강의 유래와 낙동강 주변 자치단...
[하천][도시하천 기능][우리나라 하천 특징][제주도 하천][도시하천][식물생태계][하천 수질...
수질기준 과 진주시의 수질
[수질오염]수질오염의 발생원인 조사, 주 수질오염원은 무엇인가? 수질오염으로 인한 피해 사...
[낙동강][낙동강수질오염][낙동강침출수유출][낙동강폐놀오염사건][낙동강수질개선]낙동강의 ...
[낙동강][수질관리][낙동강 자연생태][낙동강 페놀오염사건][낙동강 부영양화][수질개선]수질...
[물][물의 순환][물의 이용][물관리][식수관리][수질관리][물부족]물의 순환, 물의 특성, 물...
우리나라 수질 현황 및 수질 악화 원인 파악
[★평가우수자료★] 정책 사례 분석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현황, 수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