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집단이 개인의 판단에 미치는 영향
1. 사회적 증거 (social evidence)
2. 닻내리기 (social anchoring)
3. 사회적 증거와 닻내리기의 차이
Ⅱ. 집단이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1. 사회적 억제 (social inhibition)
(1).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
(2). 구실만들기 또는 자기핸디캡 부여 (self-handicapping)
(3). 동조압력 (conformity pressure)
2. 사회적 촉진 (social facilitation)
3. 비인간화 (deindividuation)
1. 사회적 증거 (social evidence)
2. 닻내리기 (social anchoring)
3. 사회적 증거와 닻내리기의 차이
Ⅱ. 집단이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1. 사회적 억제 (social inhibition)
(1).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
(2). 구실만들기 또는 자기핸디캡 부여 (self-handicapping)
(3). 동조압력 (conformity pressure)
2. 사회적 촉진 (social facilitation)
3. 비인간화 (deindividuation)
본문내용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니폼이 할 수 있는 또 다른 역할은 유니폼을 입고 하는 행동이 개인으로서 하는 행동이 아니라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하는 행동이라는 사실을 집단 내외의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니폼은 집단구성원의 비인간화와 상당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비인간화는 보편적으로 나쁘다고 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간단하지는 않지만 상황에 따라서 비인간화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는 사실은 인정되어야 한다. 인간사회에는 누구나 하기 싫어하는 더러운 일을 해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 적이지만 사람을 죽여야 하는 군인이나 사형을 집행하는 교도관들이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이 사람들은 자신들이 하는 일--사람을 죽이는 일--이 개인적으로 수행하는 일이 아니고 집단이나 조직내의 역할상 할 수밖에 없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어야 개인으로서의 정신적, 육체적 책임을 면할 수 있고, 군인으로서 용감하게 적과 싸우고, 교도관으로서 의연하게 책임을 완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인간화의 어떤 일면은 인간사회에서 불가피하게 마주쳐야 하는 현상일 수도 있다 (Northcraft & Neale, 1990: 304-306).
그렇다면 비인간화는 보편적으로 나쁘다고 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간단하지는 않지만 상황에 따라서 비인간화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는 사실은 인정되어야 한다. 인간사회에는 누구나 하기 싫어하는 더러운 일을 해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 적이지만 사람을 죽여야 하는 군인이나 사형을 집행하는 교도관들이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이 사람들은 자신들이 하는 일--사람을 죽이는 일--이 개인적으로 수행하는 일이 아니고 집단이나 조직내의 역할상 할 수밖에 없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어야 개인으로서의 정신적, 육체적 책임을 면할 수 있고, 군인으로서 용감하게 적과 싸우고, 교도관으로서 의연하게 책임을 완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인간화의 어떤 일면은 인간사회에서 불가피하게 마주쳐야 하는 현상일 수도 있다 (Northcraft & Neale, 1990: 304-3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