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600~900년 까지의 서아시아와 유럽사회의 변동
1. 서아시아
(1) 이슬람교의 발흥
(2) 우마위야조(朝)(661-750)
(3) 압바스조(750-1258)
(4) 이슬람 문화
2. 유럽
1) 프랑크 왕국
(1) 메로빙거 왕조에서 카롤링 왕조로
(2) 카롤링 왕조의 분열
2) 유럽의 봉건제도(封建制度, feudalism)
(1) 출현 배경
(2) 특성
3) 교회세력의 신장
3. 학습정리
1. 서아시아
(1) 이슬람교의 발흥
(2) 우마위야조(朝)(661-750)
(3) 압바스조(750-1258)
(4) 이슬람 문화
2. 유럽
1) 프랑크 왕국
(1) 메로빙거 왕조에서 카롤링 왕조로
(2) 카롤링 왕조의 분열
2) 유럽의 봉건제도(封建制度, feudalism)
(1) 출현 배경
(2) 특성
3) 교회세력의 신장
3. 학습정리
본문내용
, 농민 거주지역
-토지는 영주직영지와 농민보유지로 구분, 경작지, 목장지, 임야, 황무지로 구분
-경작지는 둘, 혹은 세 개의 들(field)로 나뉘어, 번갈아 하나를 휴경하는 2포제(二圃制, two-fields-system), 혹은 3포제(三圃制, three-fields system)로 경작
-들은 개방경지로 흔히 공동경작
-농노는 로마 말기의 콜로누스의 후손이거나 몰락한 게르만의 자유민(토지를 팔거나 빼앗기거나, 스스로 토지를 유력자에게 바치고 그 예속 하에 들어간 자)
-노예와 달리, 결혼생활과 경작지의 수입으로 자신의 생계 마련, 장원의 오랜 관습의 보호 받음
-영주인 기사계층과 농민 사이에는 엄격한 신분적 차별 존재→지배예속관계
-농노제, 장원제에 입각한 기사계층과 농민계층의 지배예속관계가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본 유럽 봉건제도의 특징
-중세 유럽의 봉건제도는 군사적으로 주종제, 정치적으로 지방분권제, 사회경제적으로 농노제(혹은 장원제)
-중세 유럽사회를 봉건사회라 하고, 그 시대를 봉건시대라 함
3) 교회세력의 신장
-유럽 중세는 봉건적인 기사계층 만이 아니라 교회 성직자계층에 의해서도 지배
-서양 중세사회는 봉건기사와 신부들의 이중 지배체제
-이 두 지배계층은 상호제휴 하에 성장하고, 함께 지배하다 함께 쇠퇴
-신부들의 사제조직인 교회도 중세초기의 혼돈과 불안정 속에서 배태
-서유럽에서 봉건제가 자리를 잡아갈 무렵 프랑크 왕국과 제휴한 로마 카톨릭 교회도 이 일대에서 정신적 권위 확립
-7세기 말 잉글랜드의 교회가 위트비(Whitby) 종교회의(synod)를 통해 로마 교회의 권위 인정→잉글랜드 교회는 게르만 이교도 개종에 가장 큰 공헌
-8세기 중엽 잉글랜드 출신의 수도사 보니파키우스는 라인강 너머 게르만의 땅 각지에 수도원 건설→게르만족 개종
-9세기에 프랑크의 루이 경건왕(Louis the Pious, 814-840 재위)이 수도사 안스가르(Amsgar)를 스칸디나비아에 파견→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게르만 개종
-10세기에 오토대제의 후원에 의한 전도사업으로 폴란드, 보헤미아, 헝가리 등 동부유럽도 개종
-각지의 교회는 국왕이나 제후, 신앙심 두터운 신도들로부터 많은 토지 기증받아 대토지소유→정치적, 세속적으로도 제후와 같이 토지와 주민 지배
-피핀이 남부 이탈리아의 넓은 땅을 기증→로마 교회의 세력은 막강, 그 주교는 교황으로서 서유럽의 모든 교회와 수도원을 통괄하는 최고 우두머리 지위 확립→그 아래 대주교, 주교, 수도원장 등 성지자의 위계제(hierarchy) 성립
-800년 로마 교황 레오 3세(Leo Ⅲ, 795-816 재위)가 찰스 대제에게 서로마제국 황제관을 대관한 것은 교회와 정치권력의 결탁의 정점
-교회세력의 신장과 세속권력의 증대로 타락(특히 성직자의 결혼과 성직매매)의 양상 노정
3. 학습정리
-600년대 서아시아에서는 중대한 전환기
-이슬람이 일어나 단기간에 오리엔트, 아프리카 북부, 유럽 남부의 3대륙에 걸친 대제국 건설
-이들 지역의 다신교적 신앙형태가 유일신 신앙으로 철저히 대체
-정치적, 사회적 삶 또한 이슬람 종교 교리에 의해 변화
-정치적으로 정통 칼리프 시대→우마위야조→압바스조로 전환
-이슬람 문화는 융합의 문화, 종교 중심적 문화로 당시 세계 최고의 문화
-유럽은 프랑크 왕국의 발전과 분열, 봉건제도의 형성과 교회세력의 신장
-프랑크 왕국은 메로빙거왕조에서 카롤링 왕조로 변화→로마 교회와 프랑크 왕국의 제휴로 서로마제국 황제 탄생→분열
-봉건제도는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특성을 갖는 복합적 제도
-교회세력은 각지의 개종으로 상당한 신장→그러나 세속권력의 증대로 타락의 양상과 성속의 갈등이 표출
-토지는 영주직영지와 농민보유지로 구분, 경작지, 목장지, 임야, 황무지로 구분
-경작지는 둘, 혹은 세 개의 들(field)로 나뉘어, 번갈아 하나를 휴경하는 2포제(二圃制, two-fields-system), 혹은 3포제(三圃制, three-fields system)로 경작
-들은 개방경지로 흔히 공동경작
-농노는 로마 말기의 콜로누스의 후손이거나 몰락한 게르만의 자유민(토지를 팔거나 빼앗기거나, 스스로 토지를 유력자에게 바치고 그 예속 하에 들어간 자)
-노예와 달리, 결혼생활과 경작지의 수입으로 자신의 생계 마련, 장원의 오랜 관습의 보호 받음
-영주인 기사계층과 농민 사이에는 엄격한 신분적 차별 존재→지배예속관계
-농노제, 장원제에 입각한 기사계층과 농민계층의 지배예속관계가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본 유럽 봉건제도의 특징
-중세 유럽의 봉건제도는 군사적으로 주종제, 정치적으로 지방분권제, 사회경제적으로 농노제(혹은 장원제)
-중세 유럽사회를 봉건사회라 하고, 그 시대를 봉건시대라 함
3) 교회세력의 신장
-유럽 중세는 봉건적인 기사계층 만이 아니라 교회 성직자계층에 의해서도 지배
-서양 중세사회는 봉건기사와 신부들의 이중 지배체제
-이 두 지배계층은 상호제휴 하에 성장하고, 함께 지배하다 함께 쇠퇴
-신부들의 사제조직인 교회도 중세초기의 혼돈과 불안정 속에서 배태
-서유럽에서 봉건제가 자리를 잡아갈 무렵 프랑크 왕국과 제휴한 로마 카톨릭 교회도 이 일대에서 정신적 권위 확립
-7세기 말 잉글랜드의 교회가 위트비(Whitby) 종교회의(synod)를 통해 로마 교회의 권위 인정→잉글랜드 교회는 게르만 이교도 개종에 가장 큰 공헌
-8세기 중엽 잉글랜드 출신의 수도사 보니파키우스는 라인강 너머 게르만의 땅 각지에 수도원 건설→게르만족 개종
-9세기에 프랑크의 루이 경건왕(Louis the Pious, 814-840 재위)이 수도사 안스가르(Amsgar)를 스칸디나비아에 파견→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게르만 개종
-10세기에 오토대제의 후원에 의한 전도사업으로 폴란드, 보헤미아, 헝가리 등 동부유럽도 개종
-각지의 교회는 국왕이나 제후, 신앙심 두터운 신도들로부터 많은 토지 기증받아 대토지소유→정치적, 세속적으로도 제후와 같이 토지와 주민 지배
-피핀이 남부 이탈리아의 넓은 땅을 기증→로마 교회의 세력은 막강, 그 주교는 교황으로서 서유럽의 모든 교회와 수도원을 통괄하는 최고 우두머리 지위 확립→그 아래 대주교, 주교, 수도원장 등 성지자의 위계제(hierarchy) 성립
-800년 로마 교황 레오 3세(Leo Ⅲ, 795-816 재위)가 찰스 대제에게 서로마제국 황제관을 대관한 것은 교회와 정치권력의 결탁의 정점
-교회세력의 신장과 세속권력의 증대로 타락(특히 성직자의 결혼과 성직매매)의 양상 노정
3. 학습정리
-600년대 서아시아에서는 중대한 전환기
-이슬람이 일어나 단기간에 오리엔트, 아프리카 북부, 유럽 남부의 3대륙에 걸친 대제국 건설
-이들 지역의 다신교적 신앙형태가 유일신 신앙으로 철저히 대체
-정치적, 사회적 삶 또한 이슬람 종교 교리에 의해 변화
-정치적으로 정통 칼리프 시대→우마위야조→압바스조로 전환
-이슬람 문화는 융합의 문화, 종교 중심적 문화로 당시 세계 최고의 문화
-유럽은 프랑크 왕국의 발전과 분열, 봉건제도의 형성과 교회세력의 신장
-프랑크 왕국은 메로빙거왕조에서 카롤링 왕조로 변화→로마 교회와 프랑크 왕국의 제휴로 서로마제국 황제 탄생→분열
-봉건제도는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특성을 갖는 복합적 제도
-교회세력은 각지의 개종으로 상당한 신장→그러나 세속권력의 증대로 타락의 양상과 성속의 갈등이 표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