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오페라의 소개
1. 오페라의 어원
2. 오페라의 기원
3. 오페라의 역사
■ 작곡가 소개
1. 푸치니
2. 어린시절
3. 작곡가가 되기까지
4. 생의 마감
5. 작품 특색
■ 오페라 ‘나비부인‘ 소개
1. 나비부인의 탄생배경
2. 나비부인의 시대적 배경
3. 나비부인의 등장인물과 줄거리
4. 나비부인의 고향 나가사키
■ 희곡 M. Butterfly
1. 데이비드 헨리 황의 “M. Butterfly" 작가후기
2. 작품속에 나타난 작가의 사상
1. 오페라의 어원
2. 오페라의 기원
3. 오페라의 역사
■ 작곡가 소개
1. 푸치니
2. 어린시절
3. 작곡가가 되기까지
4. 생의 마감
5. 작품 특색
■ 오페라 ‘나비부인‘ 소개
1. 나비부인의 탄생배경
2. 나비부인의 시대적 배경
3. 나비부인의 등장인물과 줄거리
4. 나비부인의 고향 나가사키
■ 희곡 M. Butterfly
1. 데이비드 헨리 황의 “M. Butterfly" 작가후기
2. 작품속에 나타난 작가의 사상
본문내용
각은 다른 사람의 현실보다 항상 더 강한 법이다. 우리는 우리의 상상력(생각)에 의해 자유로워지기보다는 오히려 그 상상력(생각)에 의해 감금을 당하기가 쉽다. 또는 보다 포스트 모던한 용어로 표현하자면, 우리가 현재 행동하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은 이미 문화적으로 그렇게 상상(생각)되어져 왔기 때문이다. 에서 나타나는 동양에 대한 황의 이미지는 서양에 대한 이미지들 보다 덜 중심적이고 덜 선진화되어 있다. 모든 제의와 행동은 권력욕구에 의해 좌우되며 이같은 욕구가 현실속에서 충족되지 못한채 좌절되면 마지막 수단으로 상상의 세계속에서 충족되어 질 수가 있다. 이 희곡이 제시하는 성의 혼돈을 매우 교묘하게 제목속에 담은 것은 기막힌 아이디어다. 영어로 <엠 버터플라이>라고 발음되는 제목은 주인공의 혼란스런 성적 정체성을 드러내기도 하고 감추기도 한다. (이와 같은 말장난은 갈리마르와 그를 유혹하는 불란서 여학생의 이름이 똑같이 르네로 발음된다는 점에서도 나타난다. Rene와 Renee는 이름을 소리로만 들으면 누가 남자고 누가 여자인지 구분할 수가 없다.) 갈리마르가 "그녀"의 이미지에 취해있는 상태는 송이 그를 대상으로 창조한 이미지와 사랑에 빠진 것일뿐만 아니라 실제로는 그가 "그녀"를 대상으로 창조한 "그녀"의 이미지와 사랑에 빠진 것이다. 에서 가장 연극적으로 흥분되는 순간은 성적 정체성에 대해 매우 심오한 의문이 제기되는 순간과 인물들이 그들이 입고 있는 외형적인 모습을 실제로 벗어 버리는 장면이다. 이 두 장면 중 가장 대담한 장면은 제 2막과 제 3막 사이의 5분간의 휴식시간(intermition)중 송이 자신이 하고 있는 여성의 분장과 의상을 실제로 제거하고 남자로서의 모습을 드러내는 장면이다. 이 연극에 대한 관객의 호응을 정치적으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나는 여기서 브로드웨이에서 흥행에 성공한 연극은 상업성 때문에 정치적으로 반역적인 내용을 담을 수가 없으며 상업연극을 포함한 삶의 권력구조적 특성에 대항하지 못한다라는 통념을 거부하고 이 연극을 관대하게 호의적으로 평가하고 싶다. 물론 어떤 연극이 관객에게 실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측정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엠 버터플라이>는 "제국주의, 인종차별과 성차별을 특정한 역사적 관점속에서 매우 능숙하고 감동적으로 서로 연결시켜 주로 중산층인 많은 관객들에게 커다란 호소력을 깆는 놀라운 효과를 자아내었으므로 작가는 그가 의도했던 정치적 목적을 성취한 셈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황의 그같은 업적은 그가 다룬 재료가 매우 축약적이고 상징적이었으며, 연극을 적절하게 잘 사용하였고, 자극적이고 도발적인 애매모호성을 주제면에서 (도덕적으로는 그렇다고 볼 수가 없겠지만) 예술적으로 완벽하게 구현해 내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나비로 변신하는 갈리마르의 모습에 대해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낭만적인 멜로드라마의 완성으로 보아야 하나 아니면 이것을 패러디한 것으로 보아야 하나? 그의 자살은 고해를 통한 문제의 초월인가 아니면 굴욕적인 패배인가? 갈리마르는 자신속에 있는 여성을 받아들였는가 아니면 거부했는가? 하나의 문화가 다른 문화 보다 우월한가, 아니면 그냥 서로 다른가? 또는 같은가? 한 개인이나 국가가 다른 개인이나 국가를 지배한다는 것, 또는 지배당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얼핏보면 표피적으로 나타나 보이는 현상을 대상으로 한 단순하고 시시한 잡담에 불과한 것 같지만 다른 각도에서 다시 보면 사랑과 환상간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자기성찰이 이 연극의 핵심에 존재한다.
- 요약 : 로버트 스크루트 나비 깨뜨리기 : 데이비드 헨리 황의 정치관
- 요약 : 로버트 스크루트 나비 깨뜨리기 : 데이비드 헨리 황의 정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