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노동당 창립 과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 노동당 창립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대적 배경
1) 소련군의 출현
2) 미국의 대응
3) 한반도의 분단

2. 해방 전후의 좌익 세력들
1) 좌익 세력들의 활동
2) 만주 지역에서의 활동
3) 연안 지역에서의 활동
4) 소련 지역에서의 활동
5) 국내에서의 활동

3. 좌익 정당들의 출현
1) 서울로의 집결
2) 북한의 상황
3) 북조선 공산당의 창립

4. 북조선 노동당의 창립
1) 조선독립동맹
2) 신민당의 출현
3) 북조선 노동당 창당

5. 조선 노동당의 등장
1) 남조선 노동당
2) 조선 노동당의 등장
3) 김일성의 권력 장악
4) 참여 세력들

본문내용

하여 조선 노동당을 창당하게 된 김일성은 이제 군과 행정에 이어 정치까지 장악하게 된 셈이었다. 장차 정확하게 만 일년 후인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남한을 침공하게 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다른 파벌들을 다 청산하기 까지는 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지만 일단 그는 북한의 제일인자로 군림한 것이다.
4) 참여 세력들
여기서 잠시 출범 당시의 조선 노동당의 세력 분포를 보면 갑산파(빨치산)인 김일성이 위원장이 되고 국내파인 박헌영이 제1 부위원장을 소련파인 허가이가 제2 부위원장과 제1 서기를 국내파인 이승엽과 김삼룡이 각 각 제2 서기와 제3 서기를 맡고 있다. 즉 국내파가 다수이고 갑산파와 소련파는 소수이지만 직책의 중요도를 감안하면 교묘한 균형이 이루어 져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말해 연합정당의 성격이 강하게 남아있는 것이고 이는 장차 있을 세력간 암투와 처절한 숙청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한 것이다.
참고도서
* 조민영, [북한사회의 새인식], 남풍 ,1988
* 연세대 대학원 북한현대사연구회, [북한 현대사], 공동체 ,1989
* 홍석, [한국역사 입문], 돌빛 ,1976
*김일평,[ 북한정치경제입문 ], 한울 ,1987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1.28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3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