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ried Child에 나타나 있는 분열된 미국의 가정 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A. 가족들 상호간의 의사 소통의 단절
B. 가족들간의 사랑의 부재
C. 가족들 상호간의 공포와 증오

III. 결론 - 하지만 여전히 희망이 있는 미래

본문내용

뜰은 아이가 매장된 곳이지만 그곳에서 옥수수며 당근 등이 계속해서 자라 나온다. 죽은 아이가 숨기고 싶은 암울한 과거를 상징한다면 옥수수와 당근은 미래의 풍요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암울한 과거는 결국 밑거름이 되어 미래의 풍요를 산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는 Dodge가 마지막에 제정신이 들어 손자 Vince를 알아보고 그에게 집을 상속한다. 이에 대하여 Vince는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I've gotta carry on the line. I've gotta see to it that things keep rolling.
위의 대사는 그가 이 집의 상속자로서 이 집에서의 삶을 계속해 보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Vince는 극이 진행되는 동안 등장하지 않다가 극의 마지막에 등장한다. 이것은 그가 지금까지의 가족의 역사를 계속해서 답습하지 않을 것이라는, 즉 그는 무언가 다를 수도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한다. 또한 그는 할아버지와 아버지와는 세대가 다른 다음 세대이다. 그는 이 가족의 미래인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존재와 그의 건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독백은 지금까지의 역사와는 다른, 미래에 대한 밝은 기대를 상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가격1,4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1.28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37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