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부전장애(우울성 신경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분부전장애(우울성 신경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념

2. 역학(출현율)

3.원인

4. 임상양상

5. 경과 및 예후

6.진단 및 감별진단

7. 치료
1)일반적 치료
2)정신분석적 정신치료(psychoanalytially oriented thery)
3)인지치료
4) 대인관계치료(interpersonal therapy)
5)가족치료
6)약물치료
7)전기경련요법

8. 재활공학에 접근해서 기분부전장애를 어떻게 대입할 것인가?

본문내용

는 빈맥, 요저류, 변비, 이중 시각, 구갈등)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진정작용도 강하여 낮에도 졸리는 경향이 있다.
1990년대부터 도입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는 상기의 주요 부작용이 없으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Fluoxetine등 항우울제를 1차적으로 상요하고 때로 Lithium이나 갑상선 호르몬 T3을 첨가하기도 한다.
과수면,식용증가,심한 불안 및 다수의 신체적 증상등이 있는 경우 단가아민 산화효소 억제제 MAOI를 사용할 수도 있다.
7)전기경련요법
주로 심한 우울증에 적용되고, 전기충격을 가해서 일련의 대발작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전기자극보다는 발작자체가 치료적 요인이다. 최근에는 간단한 단기 마취상태에서 3초간 저 에너지의 자극파동의 형태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위험과 부작용은 거의 없다. 1주일에 3번 격일로 시행한다. 자살기도, 식사거부 등의 자기파괴적 행동을 보이거나, 심한 우울로 혼미상태에 있을 때, 즉각적인 효과가 필요한 노인 우울증 환자에게는 유일한 선택 치료법이다.
이러한 환자에게 전기자극치료를 하면 1주일 내에 극적으로 호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망율은 1/25000정도로 매우 안전하다. 최근에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심한 고혈압, 뇌내 종양이 있는 경우에는 피해야 할 것이다.
8. 재활공학에 접근해서 기분부전장애를 어떻게 대입할 것인가?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기분부전장애를 치료하는 것은 심리적 접근이 대다수이다. 재활공학에 기분부전장애를 접근하는 것은 참으로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일단 기분부전장애를 치료하는 것은 프로그램 접근이 아마도 도움이 될 것이다.
주의 집중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흥미와 관심을 이끌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특히 아동기, 청소년기의 장애를 가진 아이들에게 재미를 줄 수 있는 개발이 필요할 것이고 게임 개발이나 흥미로운 도구를 이용한 개발은 특히 심리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 밖에 단체 협동을 할 수 있는 게임이나 도구 개발도 기분부전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좋은 치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제4판 정신의학 이정균, 김용식 편저. 일조각. 2001
최신 정신의학. 민성길 지음. 일조각
이상심리학. 최정윤. 학지사. 2000
이상심리학. Davison, Gerald C .시그마프레스. 2004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1.29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3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