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봉제와 능력주의 임금에 대한 분석
- 한국식 연봉제에 대하여
A. 연봉제에 대한 오해
- 능력급 또는 업적급의 비중을 늘려도 변한 것은 없다.
B. 사례의 분석
(1) 기본 하한선과 격차(Pitch)가 있을 뿐이다.
(2) 신인사제도는 능력주의를 반영하는데 미흡하다.
(3) 현행 체계의 모순
C. 연봉제의 의의
(1) 우리 기업의 현황
(2) 성과평가에 의한 총액임금의 개별화
(3) 성과의 정의와 업무의 결과
D. 노동시장과 사회의 변동
(1) 외부 노동시장
(2) 내부 노동시장
(3) 시사점
E. 한국형 모델에 대한 논의
(1) 연봉제의 고급인력 유인효과
(2) 동기의 유발
(3) 모티베이션 이론의 실제
(4) 한국적인 것의 허상
- 한국식 연봉제에 대하여
A. 연봉제에 대한 오해
- 능력급 또는 업적급의 비중을 늘려도 변한 것은 없다.
B. 사례의 분석
(1) 기본 하한선과 격차(Pitch)가 있을 뿐이다.
(2) 신인사제도는 능력주의를 반영하는데 미흡하다.
(3) 현행 체계의 모순
C. 연봉제의 의의
(1) 우리 기업의 현황
(2) 성과평가에 의한 총액임금의 개별화
(3) 성과의 정의와 업무의 결과
D. 노동시장과 사회의 변동
(1) 외부 노동시장
(2) 내부 노동시장
(3) 시사점
E. 한국형 모델에 대한 논의
(1) 연봉제의 고급인력 유인효과
(2) 동기의 유발
(3) 모티베이션 이론의 실제
(4) 한국적인 것의 허상
본문내용
임금체계를 고수하다가는 고급 인력을 다 빼앗기고 마는 세상이 되어버린 것이다.
(2) 동기의 유발
모티베이션 이론들을 보면 한결같이 인간관계론자들의 이론을 재탕 삼탕한다. 그것도 원저자의 이론의 핵심을 소개하기 보다는 이리 저리 각색을 하여 원저자의 내용과는 별로 상관없는 것들로 설명하려고 한다. 대부분의 취지는 돈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면서 모티베이션의 여러 종류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러나 비즈니스의 세계에서 모든 것은 돈의 함수에 따라 움직이게 되어 있다. 즉 모든 것이 돈으로만 움직인다는 의미는 아니고 돈의 액수가 단선적이고 평면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다시말해 경제의 법칙에 있어서 수요와 공급은 가격의 함수이며 모티베이션의 기본 뼈대인 것이다.
(3) 모티베이션 이론의 실제
모티베이션 이론이란 허울 좋은 명칭에 불과할 뿐이다. 극단적으로 말하며 주고받을 돈을 주고받는데 있어 기왕이면 빈말이라도 수고했다고 말하고 등을 두드려주면 좋다는 것이지 사무적으로만 처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가 일을 잘하고 유능하다는 가치를 인정해서 이것을 말로 표현하고 실질적인 보상을 한다면 그것은 결국 돈으로 귀결될 수 밖에 없다. 경제적인 보상 외에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것은 결국 금전이며 돈으로 그 가치를 표현하는 것이다. 월급액수의 책정 기준이 일 잘하는 것이라면 일 잘하는 모티베이션이 형성되는 것이고 연고대로 준다면 오래 재직하는 모티베이션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이 한국이라고 예외가 되는 것이 아니고 외국과 다른 한국적인 기업문화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4) 한국적인 것의 허상
한국적인 것 그것은 허상이거나 어쩌면 변화과정의 절충형 정도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우리 기업에서의 연공서열, 집단성, 일반 경력 관리와 같은 것은 한국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어쩌면 농경문화의 특성인 것이다. 그럼에도 이러한 특성들이 일시에 사라지는 것은 아니고 일종의 변화과정의 성격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특성을 처리하는데 있어 절충형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중심축을 바꾸어 놓고 주요변수를 상황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공급을 가미하지 않아도 연공이 작용하는 만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연공이라는 한국적 특성은 반영됩니다. 연공급을 가미하는 것은 이중계산이고 혼잡할 뿐만 아니라 연공을 고착화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이제는 형식논리에서 탈피할 때이다.
(2) 동기의 유발
모티베이션 이론들을 보면 한결같이 인간관계론자들의 이론을 재탕 삼탕한다. 그것도 원저자의 이론의 핵심을 소개하기 보다는 이리 저리 각색을 하여 원저자의 내용과는 별로 상관없는 것들로 설명하려고 한다. 대부분의 취지는 돈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면서 모티베이션의 여러 종류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러나 비즈니스의 세계에서 모든 것은 돈의 함수에 따라 움직이게 되어 있다. 즉 모든 것이 돈으로만 움직인다는 의미는 아니고 돈의 액수가 단선적이고 평면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다시말해 경제의 법칙에 있어서 수요와 공급은 가격의 함수이며 모티베이션의 기본 뼈대인 것이다.
(3) 모티베이션 이론의 실제
모티베이션 이론이란 허울 좋은 명칭에 불과할 뿐이다. 극단적으로 말하며 주고받을 돈을 주고받는데 있어 기왕이면 빈말이라도 수고했다고 말하고 등을 두드려주면 좋다는 것이지 사무적으로만 처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가 일을 잘하고 유능하다는 가치를 인정해서 이것을 말로 표현하고 실질적인 보상을 한다면 그것은 결국 돈으로 귀결될 수 밖에 없다. 경제적인 보상 외에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것은 결국 금전이며 돈으로 그 가치를 표현하는 것이다. 월급액수의 책정 기준이 일 잘하는 것이라면 일 잘하는 모티베이션이 형성되는 것이고 연고대로 준다면 오래 재직하는 모티베이션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이 한국이라고 예외가 되는 것이 아니고 외국과 다른 한국적인 기업문화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4) 한국적인 것의 허상
한국적인 것 그것은 허상이거나 어쩌면 변화과정의 절충형 정도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우리 기업에서의 연공서열, 집단성, 일반 경력 관리와 같은 것은 한국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어쩌면 농경문화의 특성인 것이다. 그럼에도 이러한 특성들이 일시에 사라지는 것은 아니고 일종의 변화과정의 성격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특성을 처리하는데 있어 절충형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중심축을 바꾸어 놓고 주요변수를 상황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공급을 가미하지 않아도 연공이 작용하는 만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연공이라는 한국적 특성은 반영됩니다. 연공급을 가미하는 것은 이중계산이고 혼잡할 뿐만 아니라 연공을 고착화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이제는 형식논리에서 탈피할 때이다.
추천자료
6개 회사의 인터뷰를 통해 본 한국 인사관리의 현주소
한국내 로레알 기업의 인사관리전략
[인사관리제도][인사관리]사례를 통해 본 인사관리제도의 현황과 과제 및 개선방향(인사관리...
[인사관리][삼성][캐나다]인사관리 분석과 삼성 및 캐나다 정부의 인사관리 사례(능력주의와 ...
[인사관리][인사행정][3M][쓰리엠]인사관리의 정의, 인사관리의 기능, 현황과 과제 및 3M 사...
조직 몰입도와 인사관리 전략
1등 항공사 대한항공의 인사관리 성공사례
쉐라톤 워커힐 호텔의 인사관리 분석
[현대차]현대자동차 인사관리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PPT자료
고용없는 성장시대의 인사관리의 뉴 패러다임의 이해 및 정부의 고용확대 전략
[신 인사 관리 사례분석] 고용 브랜드 전략 (고용브랜드_전략,인사관리,SKT인사관리,STX인사...
TOYOTA 기업소개와 인사관리 시스템 (도요타)
[글로벌인사관리] 글로벌인사관리의 개념(정의)과 특성(특징) 및 내용, 글로벌기업의 인사관...
인사관리와 슈퍼비전 - 인사관리의 의의와 기능, 인사관리의 과정, 인력의 평가와 개선업무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