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성 둔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리성 둔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해리성 둔주의 정의

2. 해리성 둔주의 특징

3. 해리성 둔주의 진단기준 (DSM-IV)

4. 해리성(심인성) 기억상실과 해리성 둔주의 치료

본문내용

상당시간동안 토론할 수 있다. 그러나 최면에서 빠져나오기 전에 최면동안에 기억된 젓 모두나 그 일부를 확실하게 잊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환자가 문제를 다루는 방법을 바꾸어서 해결할 때까지).
이러한 접근은 기억상실에서 벗어나게 암시하는 것보다 더 안전할 뿐만 아니라 치료자로 하여금 최면치료 후 환자가 회상하거나 하지 못한 것을 관찰하여 중요한 정보를 얻게 해준다. 치료의 목표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에 환자가 대처하는 젓을 돕는 것이지 환자가 마음 편하게 그의 증상을 포기하라는 압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최면 방법의 치료도 중요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스트레스를 주는 원인을 없애주거나 이겨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어려운 문제에 부딪히면 회피하지 말고 힘이 들더라도 현실과 맞서 문제를 조금씩 해결해나가는 예방 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도상금. (2000). 해리장애. 서울. 학지사.
http://user.chollian.net/~leesim42/list/disso/DISSOCIA.htm
http://user.chollian.net/~mindsong/data/disso1.htm
http://blog.empas.com/lucidian
/3059861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1.31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