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가족치료 이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나아가는 말

1. 가족치료의 역사적 배경 및 개념

2. 가족치료 모델의 유형

3. 구조적 가족 치료 모델

4. 구조적 가족치료 모델을 적용한 사례

5. 이론과 치료효과에 관한 평가

Ⅲ. 나가는 글

본문내용

책 "Families of the Slum" 에서는 낮은 사회, 경제계층의 가족구조적 특징을 서술하고, 이러한 사람들에 대한 가족치료의 효과성을 증명했다. 환자가족에게 어머니는 지나치게 통제하거나 전혀 통제하지 않고 있으며 어떠한 경우이든 자녀들을 통제하는 가족에서 보다 좀 더 문제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관찰은 Minuchin가 정서적으로 밀착된 것과 분리된 가족에 관한 개념을 분리하고 발전시키는데 기초가 되었다. 치료는 분리된 가족보다 밀착된 가족에게 더욱 성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ⅹ. 1967년 Wiltwyck에서 Minuchin과 그의 동료들은 처음으로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가족치료후 6개월에서 1년이 지난상태에서 조사하였을 때 11가족 중 7가족이 개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ichols Schwartz 는 통제집단을 사용하거나 통계적인 조사연구 결과를 제시할 수는 없지만 치료의 성공률은 50%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Minuchin, Roseman, Baker는 구조적 가족치료를 실시한 거식증 환자 53사례에 대한 치료결과를 발표했다. 입원환자와 외래환자에 대한 가족치료결과 거식증 아동의 43명은 아주 많이 개선되었고, 둘은 개선되었고, 3명은 변화가 없고, 2명은 더욱 나빠졌고, 그리고 3명은 중도탈락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90%의 성공률은 거식증으로 인한 30%의 사망률과 비교할 때 매우 인상적이다. 구조적 가족치료는 정신신체질환, 당뇨병, 약물중독 등에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xi. 구조적 가족치료는 한국 가족치료 분야에 이미 널리 소개된 상태이며 구조적인 가족치료의 주요개념과 이론은 이미 익숙한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가족치료의 주요개념과 이론은 이미 익숙한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치료모델에 관한 실험연구와 효율성을 측정한 실험연구 결과를 제시할 수 는 없지만 많은 가족치료자들이 구조적인 이론의 틀을 가지고 가족을 진단하고 치료적인 접근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특정한 치료모델만을 적용하여 치료효과를 측정하고 다른 모델과의 비교분석은 우리의 중요한 과제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론가의 학문적 배경과 각 이론모델의 발달배경을 이해하고 그 당시 치료적 접근을 필요로 하였던 문제가족이 속해 있었던 사회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과 이론의 발달과 변화과정을 파악하는 것은 한국 문제가족에 이론모델을 적용하는 데 기초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동안 급속하게 변화하여 온 한국사회에서 기준이 될 수 있는 행동규범이 없는 것을 문제시하지만, 가족구조를 근거로 가족체계안에서 발생하는 가족관계를 파악하고 접근하는 데에는 가족구조적 접근의 기본개념은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치료자가 구체적인 치료적 접근기법을 사용하는 융통성 있는 태도와 기술의 창의적인 활용을 위한 훈련과 교육 및 오랫동안의 경험이 중요하다.
2) 치료 효과면에 관한 평가
ⅰ. 가족 및 환자에 있어서 치료동기가 모두 있는 경우는 없는 경우보다 가족치료 횟수 및 치료기간이 비교적 단축되는 경향이 있다.
ⅱ .부모 중 부친이 가족치료에 적극적일수록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는 효
적이다.
ⅲ. 가족 구성원이 이혼이나 재혼과 같은 복잡한 가족구조가 아닌 정상적인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가족일수록 가족치료가 효과적이다.
ⅳ. 부모의 교육수준이나 경제적 수준 등의 개인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에 의해
서도 치료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Ⅲ. 나가는 글
전술한 가족치료와 구조적 가족치료는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치료법이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가족치료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조사연구들이 거의 백지 상태에 있으나 미국의 경우는 이미 수백개의 조사논문들을 통해 가족치료의 효과가 충분히 입증 되었다.
가족치료가 개인주의에 기초한 서양 풍토에서 효과를 보이는 가족주의 문화인 한국풍토에서는 한국문화의 독특성에 비추어 올바르게 정착되기만 한다면 훨씬 더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 Shon & Ja(4), Lappin(5)등은 미국에 거주하는 동양가족들에게 구조적 가족치료가 매우 효력이 있었다고 발표한 바가 있다.
가족치료가 우리 풍토에서 큰 효력을 발휘 할 수 있으리라고 보는 견해가 검증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많은 가족치료의 활성화와 Outcome Research가 나와야 할 것이다.
미국에 개인주의가 있고, 일본에 집단주의가 있다면 한국에는 가족주의가 있다. 많은 한국인 비판 서적에서 나온 이야기지만 내 새끼, 내 가족밖에 모르는 한국인들의 지독한 가족주의는 일제 36년과 한국전쟁, 그리고 군사독재 정권들이 만든 것이다. 공공영역이 무너진 상황에서 가족 이외에 누굴 믿을 수 있었겠는가? 그런 참담한 세월이 워낙 길었으니 그걸 바로 잡는데 에도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며 이런 시간 속에 있는 한국인들의 문화에는 가족치료 특히 한국인의 구조적 체계를 비교적 잘 설명할 수 있는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은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한국적 가족치료 모델과 그 기법들은 계속해서 연구 개발하여 임상에 적용시킴으로써 실증적 연구와 임상 실천 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참 고 문 헌 ◈
▷ 서적
1. 「가족복지학」 조흥식, 김인숙, 김혜란, 김혜련 신은주 공저 - 학지사
2. 「가족치료」 김유숙 저 - 학지사
3. 「가족치료 이론의 적용과 실천」 박태영 저 - 학지사
4. 「가족과 가족치료」 송성자 저
▷ 인터넷 자료
1. http://www.guswc.org/html/board_db/guswc-209.html
2. http://plaza.snu.ac.kr/~skdoc/fnoname05.html
3. http://cc.knue.ac.kr/~coun/uni-data/12.html
4. http://my.dreamwiz.com/jsw0604/data/sa/gajokchiryoran.html
5. http://pro-web.suwon-c.ac.kr/~sahara/index14.html
6. http://my.dreamwiz.com/jsw0604/data/sa/chekejek.html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02.01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