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심 퍼커링이란?
3. 실험 방법
2. 심 퍼커링이란?
3. 실험 방법
본문내용
는 가능한 한 표준 상태와 비슷한 장소에서 평가하고, 평가시의 온도 및 상대 습도를 결과에 표시한다.
1) 실험 준비
시료 ( 윗천 - 광목 , 아랫천 - 공단 )
시료 제작 도구 ( 가위, 60cm자 2개, 초크, 다림판 및 다리미, 실 등 )
자동 재봉기, 장력 측정기
판정용 표준 사진 ( 또는 관찰 장치 )
【봉제 조건】
온습도 : 온도 25℃, 습도 78%
사용 원단 : 광목(평직으로 제직된, 표백되지 않은 넓은 폭의 면직물)과 공단(무늬가 없는 고급 비단의 일종, 수자직)을 사용한다.
봉사 : 74/2 d/Tex , 연속 필라멘트폴리에스테르
재봉침 : DB×1(ball point type) 11호(Organ 사제)
노루발 : 일반용
톱니 : 이의 개수가 21/inch
노루발의 압력과 밑실은 일정하게 고정.
【 인자 및 수준의 선정】
제어 불가능 변수의 표시 인자 : 원단의 종류와 특성
제어 가능한 인자 및 수준 : 재봉 속도(sewing speed), 땀의 크기(stitch length), 바늘실의 장력(needle thread tension), 천의 식서방향
각각의 인자에 대하여 3수준으로 설정
예시
Factor
Units
Levels
1
2
3
Sewing speed (A)
r.p.m
400
700
1000
Stitch length (B)
mm
2
3
4
Needle thread tension (C)
gf
15
25
35
천의 식서방향 (D)
경/위/바이어스
경사
위사
바이어스
2) 시료 준비
실험하고자 하는 천을 준비한다.
퍼커링 판정 시 방해가 될 수 있는 구김을 다림질하여 없애준다.
길이 60cm, 폭 10cm로 하여 광목과 공단을 잘라 놓는다. (식서방향 표시, 올이 풀리지 않도록 주의)
→ 시료의 개수 : 다구치 실험 방법에 의하여 총 9종류(3set), 3번의 반복 실험을 하게 된다. 따라서 27개의 시료를 만들게 되는데 이때 Factor의 하나인 3가지 식서 방향 (경사, 위사, 바이어스)에 주의 하여 시료를 준비한다.
두장의 천을 안쪽 면을 마주 보게 하여 시료의 중심에 sewing하기 위하여 중심선을 그 어준다.
준비한 시험편은 말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치수가 안정된 실로 가장 자리에서 1cm들어간 부분을 드문드문 봉합 한 후 표준상태로 한다.
3) 재봉기의 준비
실 끼우기 : 모든 곳에 순서대로 실을 걸어준다. 실채기와 실 장력 조절 부분에 완전히 실이 걸렸는지 확인한다. (주의 할 점은 바늘을 끼울 때 홈이 있는 부분이 오른 쪽으로 가도록 준비한다. 그렇지 않으면 실험 도중에 실이 끊기게 된다. )
기본 조작
페달 조작
사절 : 3번 패달을 왼쪽으로 밀어 실을 자를 때 사용
노루발 : 1번 패달을 밟았다 땜으로 노루발을 들고, 내린다.
자동 : 2번 패달을 완전히 밟았다 땠을 때, 재봉틀이 자동으로 작동한 다음 천의 끝부분에서 자동으로 정지, 사절 된다.
수동 : 2번 페달을 중간 정도 밟고 있다가 원하는 만큼을 sewing이 끝나면 발은 땐다.
자동 재봉기의 시료 고정 핀
4) 시료 만들기
① 각 인자의 측정
시료를 만들기 전에 다구치 방법에 따라 각 인자들을 조정한다.
재봉 속도 : 재봉 속도는 자동 재봉기에 부착된 아날로그 속도 조절기로 조정한다. 공업용 자동 재봉기 자체에 부착된 타코메타(tachometer)에 의한 속도 측정 시스템에 의해 컨트롤 판넬에 표시되는 재봉 속도를 기록한다.
땀의 크기 : 재봉기의 땀 크기 조절 다이얼을 조작한다. (혹은 실 땀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한다.)
봉사 장력 : 로드 셀(load cell)을 이용한 SCHMIDT Co,의 Model DTMX Tension Meter를 사용하여 정 장력을 측정한다. 이 측정기는 1회 측정 시, 변화하는 장력 변동치를 평균,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표준 편차가 0.5 이하가 되게 측정한 평균값만 취하여 3회 측정한 평균값을 기록한다. (측정 시 측정기의 평행을 맞추어 주어야 하며 2사람이 함께 측정한다. 또한 실은 실 채기 까지만 걸어 놓은 후 측정한다.)
이 인자들 중 봉사 장력 측정이 어려우므로 실험 시 한 봉사 장력에서 할 수 있는 실험은 한번에 하는 것이 실험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② 봉제
인자들을 다구치 방법의 ABCD인자를 결정하고 각 조건에 의해 실험을 진행한다.
“예”
Factor
Units
Levels
1
2
3
Sewing speed (A)
r.p.m
400
700
1000
Stitch length (B)
mm
2
3
4
Needle thread tension (C)
gf
15
25
35
천의 식서방향 (D)
경/위/바이어스
경사
위사
바이어스
라 하고 다구치의 1번째 실험인 1111 조건을 실험 한다고 하면 봉제 속도는 400 r.p.m
땀수는 2mm, 실의 장력은 15gf, 식서방향은 경사방향인 조건에서 실험을 한다.
자동 재봉기의 전원을 눌러 작동시킴
천의 안쪽 면을 마주보게 하여 ⓐ의 앞의 3cm 정도 들어간 부분에 ①핀을 꽂음
시편의 다른 쪽 끝을 잡고 서서히 앞으로 끌어와 노루발 페달을 밟아 노루발을 들고 ⓐ를 적당히 밀어 넣고 노루발을 내림
수동 패달을 밟아 약 10cm정도 봉제.
②번 핀을 가지고 와서 ⓐ의 봉제된 쪽을 파지
자동 패달을 밟아 봉제를 마무리
재봉기가 멈추면 ⓐ의 ①번 핀에 파지 했던 쪽을 살짝 잡은 다음, 노루발 패달을 밟아 노루발을 들고, 시편을 서서히 앞으로 당김
재봉이 된 시편은 ②번 핀을 빠져나옴
Seam Pucker Test를 위한 시료 완성
5) Seam Pucker 판정
판정용 표준 사진과 시료를 비교해 놓고 적당한 거리를 놓고 멀리서 비교해 본다. 두 세 명이 측정 ( 1등급이 가장 퍼커링이 심한 것이고 5등급이 퍼커링이 없는 것이다. )
다구치 표에 실험 결과를 입력하고 결과 값을 냄
6) 확인 실험
각 인자 조건 중 결과 값이 가장 큰 것을 선택하여 재 실험을 하여 실험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한다. ( 5등급이 나왔는지 확인 )
1) 실험 준비
시료 ( 윗천 - 광목 , 아랫천 - 공단 )
시료 제작 도구 ( 가위, 60cm자 2개, 초크, 다림판 및 다리미, 실 등 )
자동 재봉기, 장력 측정기
판정용 표준 사진 ( 또는 관찰 장치 )
【봉제 조건】
온습도 : 온도 25℃, 습도 78%
사용 원단 : 광목(평직으로 제직된, 표백되지 않은 넓은 폭의 면직물)과 공단(무늬가 없는 고급 비단의 일종, 수자직)을 사용한다.
봉사 : 74/2 d/Tex , 연속 필라멘트폴리에스테르
재봉침 : DB×1(ball point type) 11호(Organ 사제)
노루발 : 일반용
톱니 : 이의 개수가 21/inch
노루발의 압력과 밑실은 일정하게 고정.
【 인자 및 수준의 선정】
제어 불가능 변수의 표시 인자 : 원단의 종류와 특성
제어 가능한 인자 및 수준 : 재봉 속도(sewing speed), 땀의 크기(stitch length), 바늘실의 장력(needle thread tension), 천의 식서방향
각각의 인자에 대하여 3수준으로 설정
예시
Factor
Units
Levels
1
2
3
Sewing speed (A)
r.p.m
400
700
1000
Stitch length (B)
mm
2
3
4
Needle thread tension (C)
gf
15
25
35
천의 식서방향 (D)
경/위/바이어스
경사
위사
바이어스
2) 시료 준비
실험하고자 하는 천을 준비한다.
퍼커링 판정 시 방해가 될 수 있는 구김을 다림질하여 없애준다.
길이 60cm, 폭 10cm로 하여 광목과 공단을 잘라 놓는다. (식서방향 표시, 올이 풀리지 않도록 주의)
→ 시료의 개수 : 다구치 실험 방법에 의하여 총 9종류(3set), 3번의 반복 실험을 하게 된다. 따라서 27개의 시료를 만들게 되는데 이때 Factor의 하나인 3가지 식서 방향 (경사, 위사, 바이어스)에 주의 하여 시료를 준비한다.
두장의 천을 안쪽 면을 마주 보게 하여 시료의 중심에 sewing하기 위하여 중심선을 그 어준다.
준비한 시험편은 말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치수가 안정된 실로 가장 자리에서 1cm들어간 부분을 드문드문 봉합 한 후 표준상태로 한다.
3) 재봉기의 준비
실 끼우기 : 모든 곳에 순서대로 실을 걸어준다. 실채기와 실 장력 조절 부분에 완전히 실이 걸렸는지 확인한다. (주의 할 점은 바늘을 끼울 때 홈이 있는 부분이 오른 쪽으로 가도록 준비한다. 그렇지 않으면 실험 도중에 실이 끊기게 된다. )
기본 조작
페달 조작
사절 : 3번 패달을 왼쪽으로 밀어 실을 자를 때 사용
노루발 : 1번 패달을 밟았다 땜으로 노루발을 들고, 내린다.
자동 : 2번 패달을 완전히 밟았다 땠을 때, 재봉틀이 자동으로 작동한 다음 천의 끝부분에서 자동으로 정지, 사절 된다.
수동 : 2번 페달을 중간 정도 밟고 있다가 원하는 만큼을 sewing이 끝나면 발은 땐다.
자동 재봉기의 시료 고정 핀
4) 시료 만들기
① 각 인자의 측정
시료를 만들기 전에 다구치 방법에 따라 각 인자들을 조정한다.
재봉 속도 : 재봉 속도는 자동 재봉기에 부착된 아날로그 속도 조절기로 조정한다. 공업용 자동 재봉기 자체에 부착된 타코메타(tachometer)에 의한 속도 측정 시스템에 의해 컨트롤 판넬에 표시되는 재봉 속도를 기록한다.
땀의 크기 : 재봉기의 땀 크기 조절 다이얼을 조작한다. (혹은 실 땀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한다.)
봉사 장력 : 로드 셀(load cell)을 이용한 SCHMIDT Co,의 Model DTMX Tension Meter를 사용하여 정 장력을 측정한다. 이 측정기는 1회 측정 시, 변화하는 장력 변동치를 평균,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표준 편차가 0.5 이하가 되게 측정한 평균값만 취하여 3회 측정한 평균값을 기록한다. (측정 시 측정기의 평행을 맞추어 주어야 하며 2사람이 함께 측정한다. 또한 실은 실 채기 까지만 걸어 놓은 후 측정한다.)
이 인자들 중 봉사 장력 측정이 어려우므로 실험 시 한 봉사 장력에서 할 수 있는 실험은 한번에 하는 것이 실험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② 봉제
인자들을 다구치 방법의 ABCD인자를 결정하고 각 조건에 의해 실험을 진행한다.
“예”
Factor
Units
Levels
1
2
3
Sewing speed (A)
r.p.m
400
700
1000
Stitch length (B)
mm
2
3
4
Needle thread tension (C)
gf
15
25
35
천의 식서방향 (D)
경/위/바이어스
경사
위사
바이어스
라 하고 다구치의 1번째 실험인 1111 조건을 실험 한다고 하면 봉제 속도는 400 r.p.m
땀수는 2mm, 실의 장력은 15gf, 식서방향은 경사방향인 조건에서 실험을 한다.
자동 재봉기의 전원을 눌러 작동시킴
천의 안쪽 면을 마주보게 하여 ⓐ의 앞의 3cm 정도 들어간 부분에 ①핀을 꽂음
시편의 다른 쪽 끝을 잡고 서서히 앞으로 끌어와 노루발 페달을 밟아 노루발을 들고 ⓐ를 적당히 밀어 넣고 노루발을 내림
수동 패달을 밟아 약 10cm정도 봉제.
②번 핀을 가지고 와서 ⓐ의 봉제된 쪽을 파지
자동 패달을 밟아 봉제를 마무리
재봉기가 멈추면 ⓐ의 ①번 핀에 파지 했던 쪽을 살짝 잡은 다음, 노루발 패달을 밟아 노루발을 들고, 시편을 서서히 앞으로 당김
재봉이 된 시편은 ②번 핀을 빠져나옴
Seam Pucker Test를 위한 시료 완성
5) Seam Pucker 판정
판정용 표준 사진과 시료를 비교해 놓고 적당한 거리를 놓고 멀리서 비교해 본다. 두 세 명이 측정 ( 1등급이 가장 퍼커링이 심한 것이고 5등급이 퍼커링이 없는 것이다. )
다구치 표에 실험 결과를 입력하고 결과 값을 냄
6) 확인 실험
각 인자 조건 중 결과 값이 가장 큰 것을 선택하여 재 실험을 하여 실험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한다. ( 5등급이 나왔는지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