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한국도자기의 연혁과 소개
2. 선정동기
Ⅱ. 본론
1. 해외시장 진출
1-1 진출의 필요성
1-2 진입방법의 결정요인
2. 인도네시아 진출
2-1 인도네시아 시장환경
2-2 진입방법
2-3 인도네시아 현지관리
2-4 협력업체
3. 해외진출의 성공요인
4. 경쟁업체
5. 그 외 해외 진출
6. 실패사례
Ⅲ. 결론
1. SWOT분석
2. 한국도자기의 향후 발전 방향모색
1. 한국도자기의 연혁과 소개
2. 선정동기
Ⅱ. 본론
1. 해외시장 진출
1-1 진출의 필요성
1-2 진입방법의 결정요인
2. 인도네시아 진출
2-1 인도네시아 시장환경
2-2 진입방법
2-3 인도네시아 현지관리
2-4 협력업체
3. 해외진출의 성공요인
4. 경쟁업체
5. 그 외 해외 진출
6. 실패사례
Ⅲ. 결론
1. SWOT분석
2. 한국도자기의 향후 발전 방향모색
본문내용
1. 한국도자기의 연혁과 소개
한국 도자기의 경영이념 - “ 작지만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기업”
1943년 설립된 이래 외형 성장보다는 내실을 다져온 기업으로 유명하다고 할 수 있지만 한국도자기가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도 유명한 글로벌 기업이라는 걸 아는 사람을 많지 않을 것이다. 1978년 국내 처음으로 본차이나를 개발하였고, 1991년 업계 최초로 초강자기인 슈퍼스트롱을 개발하여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청주공장 7개 공장을
Ⅰ. 서론
가동하고 있고 직원 수가 1000여명으로 대기업 회사로서 모든 결제를 현금으로 결제하는 무 차입 경영으로 유명하다.
도자기 350만개, 매출액 764억 그리고 수출이 3400만 달러나 되는 기업으로 미국, 유럽, 일본, 대만, 남아공 등에 수출을 하고 있다. 현재 국제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수출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고 정보를 수집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무역 팀과 별개로 국제부를 운영하고 있다. 일찍이 한국도자기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디자인이 곧 생활이며, 생활이 곧 디자인이라는 명제 아래에 품격 높은 디자인을 개발하여 우리나라 도자기의 품격을 높이고 도자기 디자인의 영역을 새롭게 개척해서 세계 시장에서 명품 도자기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2. 선정동기
-시장이 점점 글로벌화 세계화 되는 환경에서 더 이상 기업들은 자국의 시장에만 머물러있지 않고 세계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국내 시장이 포화되고 여러 가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세계 시장에 눈을 돌린 기업들이 세계라는 하나의 시장을 표준화 또는 현지화 등의 마케팅 전략을 써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좀 더 많은 상품 촉진을 위하여 세계를 대상으로 마케팅이 필요하며 이것이 곧 국제 마케팅이다. 한국도자기는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며 지속적인 해외진출을 하고있다.
한국의 도자 식기 산업은 한국도자기와 행남자기를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60여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이 두 회사는 영국의 유명 도자기 업체이자 200여년의 역사를 가진 로열 덜튼이나 90여년의 역사를 가진 일본의 노리다께와 비교하였을 때 그 역사가 짧지만 품질 경영의 결과 질적인 면에서 그들과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기업들이다. 97년 중소기업청이 한국의 본차이나와 외국 유명 제품을 비교한 결과 열충격강도 유해물질용출량 내세제성 등에서 영국이나 독일 유명회사 제품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업계에서 한국의 도자기 품질은 이미 세계 일류로 자신하고 있다. 이렇게 품질은 우수한 국내 도자기들이 브랜드 파워, 마케팅 부족 등의 이유로 현재 국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 1위의 도자 식기 제조 업체이며 해외진출 평가에 대해서도 호평을 받고 있는 한국도자기 사례를 통하여 앞으로 한국의 도자기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해외시장 진출
(1) 진출의 필요성
1) 도자기 산업의 특성
① 노동집약적 산업
우리가 TV에서 물레로 도자기를 만드는 것을 많이 보았을 것이다. 거기에서 보여지는 도자기들은 장인들의 혼, 노력, 정성으로 만들어진 예술품으로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고 있는 도자기에 사람들의 손이 많이 간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한국 도자기의 경영이념 - “ 작지만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기업”
1943년 설립된 이래 외형 성장보다는 내실을 다져온 기업으로 유명하다고 할 수 있지만 한국도자기가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도 유명한 글로벌 기업이라는 걸 아는 사람을 많지 않을 것이다. 1978년 국내 처음으로 본차이나를 개발하였고, 1991년 업계 최초로 초강자기인 슈퍼스트롱을 개발하여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청주공장 7개 공장을
Ⅰ. 서론
가동하고 있고 직원 수가 1000여명으로 대기업 회사로서 모든 결제를 현금으로 결제하는 무 차입 경영으로 유명하다.
도자기 350만개, 매출액 764억 그리고 수출이 3400만 달러나 되는 기업으로 미국, 유럽, 일본, 대만, 남아공 등에 수출을 하고 있다. 현재 국제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수출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고 정보를 수집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무역 팀과 별개로 국제부를 운영하고 있다. 일찍이 한국도자기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디자인이 곧 생활이며, 생활이 곧 디자인이라는 명제 아래에 품격 높은 디자인을 개발하여 우리나라 도자기의 품격을 높이고 도자기 디자인의 영역을 새롭게 개척해서 세계 시장에서 명품 도자기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2. 선정동기
-시장이 점점 글로벌화 세계화 되는 환경에서 더 이상 기업들은 자국의 시장에만 머물러있지 않고 세계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국내 시장이 포화되고 여러 가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세계 시장에 눈을 돌린 기업들이 세계라는 하나의 시장을 표준화 또는 현지화 등의 마케팅 전략을 써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좀 더 많은 상품 촉진을 위하여 세계를 대상으로 마케팅이 필요하며 이것이 곧 국제 마케팅이다. 한국도자기는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며 지속적인 해외진출을 하고있다.
한국의 도자 식기 산업은 한국도자기와 행남자기를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60여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이 두 회사는 영국의 유명 도자기 업체이자 200여년의 역사를 가진 로열 덜튼이나 90여년의 역사를 가진 일본의 노리다께와 비교하였을 때 그 역사가 짧지만 품질 경영의 결과 질적인 면에서 그들과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기업들이다. 97년 중소기업청이 한국의 본차이나와 외국 유명 제품을 비교한 결과 열충격강도 유해물질용출량 내세제성 등에서 영국이나 독일 유명회사 제품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업계에서 한국의 도자기 품질은 이미 세계 일류로 자신하고 있다. 이렇게 품질은 우수한 국내 도자기들이 브랜드 파워, 마케팅 부족 등의 이유로 현재 국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 1위의 도자 식기 제조 업체이며 해외진출 평가에 대해서도 호평을 받고 있는 한국도자기 사례를 통하여 앞으로 한국의 도자기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해외시장 진출
(1) 진출의 필요성
1) 도자기 산업의 특성
① 노동집약적 산업
우리가 TV에서 물레로 도자기를 만드는 것을 많이 보았을 것이다. 거기에서 보여지는 도자기들은 장인들의 혼, 노력, 정성으로 만들어진 예술품으로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고 있는 도자기에 사람들의 손이 많이 간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