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적 성장과 영성 훈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영적 성장과 영성 훈련


Ⅰ. 영성훈련의 의미


Ⅱ. 영성훈련과 기도

1. 영성훈련의 지향점

2. 영성훈련의 기본적인 틀

3. 하나님 경험과 자아성찰

4. 기도훈련

5. 기독교적인 묵상(관상)기도

본문내용

나님의 성품에 참여하기 위함이요,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으로까지 자라기 위한 과정이다.
그러므로 영성훈련을 영성형성이라는 말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면 무엇보다도 성숙한 기도는 하나님과의 관계형성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과정이다. 우리의 뜻이 아니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기도하고, 우리의 정욕이 아니고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요구에 적응키 위함이다. 그것은 분명 성서로부터 출발되어진 기도일 것이다. 그리고 영성훈련이 예수님의 인격을 닮아가고 나아가서 베드로의 말대로 ‘신의 성품’에 참여하기 위한 것이라며, 영성훈련은 그리스도의 성육신적인 삶을 내면화하는 과정이라 말할 수 있다. 아타나시우스는 “성육신은 인간을 하나님 되게 하기 위함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동시에 “기도는 하나님이다”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성육신 하신 그리스도는 오늘 우리에게 말씀으로 남겨져 있다. 그 말씀을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내면화 될 때 우리는 그리스도의 성육신에 참여되게 되고, 우리의 인격은 그리스도의 인격을 덧입게 될 것이다. 즉 말씀이 단계적으로 기도를 통해서 내면화된다면 그것은 곧 우리가 지속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하나님의 거룩함과 온전함을 이루게 될 것이다.
성서를 내면화하는 데 있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기도 방법은 관상기도이다. 관상기도란 기도자와 대상이 하나되는 일치의 상태를 말한다. 말씀을 묵상하는 과정 속에서 관상이란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침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그 말씀을 하나의 사건이요, 나 자신이 그 사건의 인물로 참여하게 된다. 그 속에서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명령과 뜻을 전달받고 우리는 그분과의 솔직한 관계 속에서 응답하게 된다. 이런 과정이 지속되는 과정 속에 영성형성은 꽃필 것이다.
5. 기독교적인 묵상(관상)기도
읽은 텍스트를 상상력을 통해서 생생하게 살려내고 그 실존 속으로 우리 자신이 들어가서 그 텍스트와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실존을 우리의 내면 속에서 경험키 위해서 그 매개체로서 우리 영혼이 말씀에 직면하게 하는 기도이다. 말씀과 평정한 마음이 부딪히게 될 때 하나님의 실존과 만나고 우리는 이에 상응한 응답을 하게 된다(히 4:12 “하나님의 말씀은 살았고 운동력이 있어 좌우에 날선 어떤 검보다도 예리하며 혼과 영과 및 관절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또 마음과 생각과 뜻을 감찰하나니”). 성숙한 기도는 상황적인 욕구를 성취하기보다는 내면 깊은 곳에서 일어나는 영적인 갈망에 응답하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응답하려는 행위이다. 요한 아른트(Johann Arndt)는 ‘기도는 하나님을 찾고 만나는 수단이다’라고 했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도의 출발점은 상황적인 욕구보다는 성서가 알려진 내면이고 영적인 욕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성서는 하나님의 실존이기 때문에 우리의 영혼이 그것에 정면으로 부딪힘으로써 영적 체험을 구성하게 될 것이다. 성령님의 인도를 경험하고 있는 기도자는 주님과의 교제를 하는 동안 가운데 [yes] 혹은 [no]를 반복하면서 영적인 성장을 꾀하게 된다.

키워드

기도훈련,   영적,   묵상기도,   하나님,   기도,   영성,   기독교,   관상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2.12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