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론] 배비장전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2. 작품개요

3. 등장인물
(1) 애랑
(2) 방자
(3) 배비장

4. 배비장전의 주제

5. 민중의 욕망 실현

6. 배비장전 에 나타나는 근대적 요소
(1) 배비장의 형상
(2) 애랑의 형상

7. 배비장전의 의의와 한계점

8. 참고문헌

본문내용

惡的이고, 인물이 유형적이며 종말이 苦盡甘來식이라면 ?裵裨將傳? 역시 이러한 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鄭裨將이나 애랑, 裵裨將같은 인물들의 형상이 그러하며 특히 애랑의 성격 창조에 있어서는 가장 요사스러운 그 인물이 이렇다 할 성격 발전의 계기를 보여 주지 않은 채 끝에 가서는 아주 현숙한 여인으로 표현된 것이라든지 裵裨將과 같은 허랑한 인물을 나중에는 牧使의 주선으로 애랑의 사랑을 획득하며 정의현감으로 발탁함으로써 고대 소설의 구성상의 도식을 극복하지 못하고 사건을 苦盡甘來식으로 해결해 놓은 점은 그 사상 예술에 일정한 손실을 주고 있다.
이러한 비판의 불철저성은 이 소설이 판소리 대본으로 이용되면서 양반들의 비위에 맞게 이야기를 끝맺으려고 한 소극적인 입장을 발로시켰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이 소설의 작가가 양반의 정신도덕적 부패성은 비판하였으나 양반의 존재를 부정하는 철저한 입장에는 서지 못 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소설은 이러한 제한성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오랫동안 내려오던 봉건 사회가 그 밑으로부터 급속히 붕괴되어가던 시기 양반통치자들의 생활을 조소 비판한 諷刺 作品으로서 이 시기 소설의 발전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8. 참고문헌
배비장전. 1999. 석인해 주해. 한국문화사
채봉감별곡:기타. 2000. 홍림 편찬. 문예출판사
?裵裨將傳? 硏究. 1979. 權斗煥. 韓國學報.
裵裨將傳 의 主題에 대하여. 1982. 金鏞熙. 震檀學報
朝鮮朝 末期 小說에 나타난 諷刺腥 硏究-?壅固執傳?,?裵裨將傳?,?李春風傳?을 中心으로-. 1984. 吳英圭. 崇田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2.14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3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