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약리학적 고찰〉
〈사정〉
〈계획〉
〈수행〉
- 부작용에 대한 적응
- 퇴원계획 및 가정간호
〈사정〉
〈계획〉
〈수행〉
- 부작용에 대한 적응
- 퇴원계획 및 가정간호
본문내용
리적인 스트레스에 적응할 능력을 잃음.
Hydrocortisone, Cortisone
- 정상생리역할: 말초조직 단백 합성 억제; 단백질을 포도당으로 전환시킴
- 부작용: 근육 단백질 파괴로 지방 침착 증가
2. 중간 작용제제; 반감기 12∼36시간
- 정상생리역할: 간에서의 당질신생을 증가시킴.
- 부작용: 인슐린 길항작용, 스테로이드성 당뇨병
Prednisone, Prednisolone
- 정상생리역할: 염증반응억압
(반흔형성 억제 알러지 반응차단, 임파성조직 감소, 삼출물 저하)
- 부작용: 감염을 숨기고 항체 생산 억압하여 염증악화
Methylprednisolone, Triamcinolone
- 정상생리역할: 자의 칼슘흡수저하, 성장호르몬 활동 변화
- 부작용: 골다공증, 성장지연, 신결석
3. 긴작용 제제; 반감기 48시간 이상
Paramethasone, Betamethasone, Dexamethasone
Mineralocoricoids 염류코르티코이즈
- 정상생리역할: 혈액량 저하에 반응하여 분비; ADH와 같이 활동하여 수분량 평형유지
- 부작용: 다갈증, 다뇨증
Aldosterone
Desopycortone acetate
- 정상생리역할: 수분과 소튬을 정체, 포타슘 배설을 촉진
- 부작용: 체중증가, 부종, 고혈압 근육허약, 피로, 알칼리증
〈참고자료〉
·성인간호학下 도서출판 정담 신재호외
·개정판 성인간호 (하) 현문사 전시자 외 1998년
·성인 내외과 간호학Ⅳ 형설출판 최정신외 2003년
·개정증보 성인 간호학 하권 수문사 임영숙외 1992년
·최신 약리학 현문사 은종영외 2000
Hydrocortisone, Cortisone
- 정상생리역할: 말초조직 단백 합성 억제; 단백질을 포도당으로 전환시킴
- 부작용: 근육 단백질 파괴로 지방 침착 증가
2. 중간 작용제제; 반감기 12∼36시간
- 정상생리역할: 간에서의 당질신생을 증가시킴.
- 부작용: 인슐린 길항작용, 스테로이드성 당뇨병
Prednisone, Prednisolone
- 정상생리역할: 염증반응억압
(반흔형성 억제 알러지 반응차단, 임파성조직 감소, 삼출물 저하)
- 부작용: 감염을 숨기고 항체 생산 억압하여 염증악화
Methylprednisolone, Triamcinolone
- 정상생리역할: 자의 칼슘흡수저하, 성장호르몬 활동 변화
- 부작용: 골다공증, 성장지연, 신결석
3. 긴작용 제제; 반감기 48시간 이상
Paramethasone, Betamethasone, Dexamethasone
Mineralocoricoids 염류코르티코이즈
- 정상생리역할: 혈액량 저하에 반응하여 분비; ADH와 같이 활동하여 수분량 평형유지
- 부작용: 다갈증, 다뇨증
Aldosterone
Desopycortone acetate
- 정상생리역할: 수분과 소튬을 정체, 포타슘 배설을 촉진
- 부작용: 체중증가, 부종, 고혈압 근육허약, 피로, 알칼리증
〈참고자료〉
·성인간호학下 도서출판 정담 신재호외
·개정판 성인간호 (하) 현문사 전시자 외 1998년
·성인 내외과 간호학Ⅳ 형설출판 최정신외 2003년
·개정증보 성인 간호학 하권 수문사 임영숙외 1992년
·최신 약리학 현문사 은종영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