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관
2. 줄거리
3. 갈등관계와 그 의미
4. 숙향전과 국조신화
4.1. 국조신화의식
5. 숙향전의 원초의식
5.1. 용과 거북의 보은 사상
5.2. 청조의 역할
5.3. 재생구조
5.4. 신표와 숙향의 옥지환
6. 결론
2. 줄거리
3. 갈등관계와 그 의미
4. 숙향전과 국조신화
4.1. 국조신화의식
5. 숙향전의 원초의식
5.1. 용과 거북의 보은 사상
5.2. 청조의 역할
5.3. 재생구조
5.4. 신표와 숙향의 옥지환
6. 결론
본문내용
, 설화, 고소설에서는 친자와 배우자를 확인할 때 신표를 이용했던 것이다. 숙향이 부모와 헤어진 후 다시 만날 때와 이선을 처음 만났을 때 부부가 되는 믿음을 신표로써 확인했다. 신화와 서사문학에 등장하는 신표는 인간에서의 평범한 물건이 아니라 재생의 활력이 들어있는 것이기 때문에 숙향의 옥지환은 신물이라 할 수 있다.
이 신표는 국조신화와 주몽신화를 수용한 것이므로 재생력을 상징하는 신물적 성격이다. 옥지환으로써 이별했던 사람이 서로 만나 배우자임을 확인하게 됨은 춘향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원초의식은 국조신화와 주몽신화에서 유래된 것이다. 淑香傳도 그 수용이라 할 수 있다.
6. 결론
淑香傳은 愛情小說이면서도 한편으로 도선소설의 대표작이다. 또한 국조신화 및 건국신화, 보은설화와 사건 구성이 동일함을 살필 수 있었다.
또한 모든 결정적인 사건은 上帝의 예정론의 틀 안에서 시작되고, 전개되고, 결말지어진다. 인간 운명의 절대적 지배자로서 '옥황상제'의 존재를 설정하고, 월궁 항아, 용왕, 서왕모... 등 한 단 격이 낮은 영적 존재들은 상제의 지배를 보좌하고 집행한다.
淑香傳의 주인공들은 부모의 승인없이 직접 상대를 만나 서로의 성품과 인격을 이해하고 존경하는데로부터 출발하여 열렬히 사랑하는 관계를 가지게 된다. 혼인을 철저한 가부장제에 기초하는 봉건사회에서 부모들 특히 아버지가 승인하지 않는 조건에서 연애를 하고 결혼을 하는 것은 불효이며 비도덕이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는 숙향을 사랑하게 된 이선이 부모 몰래 인연을 맺으며 아버지의 완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어이 자기 듯을 성취하고야 만다. 작가는 靑春들의 열렬한 사랑이 그 어떤 도덕관념이나 부모의 强壓으로도 막아질 수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다소 파격적인 이야기가 미칠 파장을 줄이기 위해서 옥황상제의 存在와 운명적인 因緣을 이야기함으로써 그들의 만남에 當爲性을 부여하고 작가가 하고자 했던 이야기를 온건하게나마 전달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미 익숙한 이야기인 국조신화와 주몽신화를 受容했다는 점에서 大衆性까지 확보한 小說이라 하겠다.
- 참고문헌 -
車充煥, 「숙향전 연구」, 月印, 1999, p.9~32, p.142~263
황패강, 「한국고전문학전집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소, 1993
최기숙, 「17세기 장편소설연구」, 月印, 1999
조선문학창작사 고전연구실, 「고전소설 해제」, 문예출판사, 1991
이 신표는 국조신화와 주몽신화를 수용한 것이므로 재생력을 상징하는 신물적 성격이다. 옥지환으로써 이별했던 사람이 서로 만나 배우자임을 확인하게 됨은 춘향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원초의식은 국조신화와 주몽신화에서 유래된 것이다. 淑香傳도 그 수용이라 할 수 있다.
6. 결론
淑香傳은 愛情小說이면서도 한편으로 도선소설의 대표작이다. 또한 국조신화 및 건국신화, 보은설화와 사건 구성이 동일함을 살필 수 있었다.
또한 모든 결정적인 사건은 上帝의 예정론의 틀 안에서 시작되고, 전개되고, 결말지어진다. 인간 운명의 절대적 지배자로서 '옥황상제'의 존재를 설정하고, 월궁 항아, 용왕, 서왕모... 등 한 단 격이 낮은 영적 존재들은 상제의 지배를 보좌하고 집행한다.
淑香傳의 주인공들은 부모의 승인없이 직접 상대를 만나 서로의 성품과 인격을 이해하고 존경하는데로부터 출발하여 열렬히 사랑하는 관계를 가지게 된다. 혼인을 철저한 가부장제에 기초하는 봉건사회에서 부모들 특히 아버지가 승인하지 않는 조건에서 연애를 하고 결혼을 하는 것은 불효이며 비도덕이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는 숙향을 사랑하게 된 이선이 부모 몰래 인연을 맺으며 아버지의 완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어이 자기 듯을 성취하고야 만다. 작가는 靑春들의 열렬한 사랑이 그 어떤 도덕관념이나 부모의 强壓으로도 막아질 수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다소 파격적인 이야기가 미칠 파장을 줄이기 위해서 옥황상제의 存在와 운명적인 因緣을 이야기함으로써 그들의 만남에 當爲性을 부여하고 작가가 하고자 했던 이야기를 온건하게나마 전달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미 익숙한 이야기인 국조신화와 주몽신화를 受容했다는 점에서 大衆性까지 확보한 小說이라 하겠다.
- 참고문헌 -
車充煥, 「숙향전 연구」, 月印, 1999, p.9~32, p.142~263
황패강, 「한국고전문학전집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소, 1993
최기숙, 「17세기 장편소설연구」, 月印, 1999
조선문학창작사 고전연구실, 「고전소설 해제」, 문예출판사, 1991
추천자료
고전문학 화소분석 - 춘향전
고전문학 화소분석 - 홍길동전
춘향전이 최고의 고전문학인 이유
[한국고전문학] 가사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연정표출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 교재연구를 읽고
고전문학 - <허생전> 비평적으로 감상하기
[과외]중학 국어 3-2학기 기말 4단원 고전문학의 감상 기출문제(교사용)
고전문학감상문- 구운몽,홍길동전,심훈의상록수,손창섭의비오는날 감상문
고전문학 각색 - 선녀와 나무꾼-
고전문학의 흐름 - 시가 문학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속의 한국의 여성-홍계월전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고등학교...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