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방송(DMB)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 디지털 TV의 개념
2. 디지털 방송의 장점
3. 디지털 방송의 단점
4. 디지털 방송의 역사

본론
1. 디지털 방송의 유형, 종류, 표준화
2. 지상파 디지털방송
3. 디지털 위성방송
4. 디지털 케이블 TV
5. 디지털 데이터 방송
6. 디지털 라디오방송(DAB)
7. 디지털 방송의 현황
8. DMB 서비스

본문내용

해 쓰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다. 그 외에도 MP3 플레이어, 게임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예상 시판가는 50만원 후반대이다. 2005년 2월중으로 LCD 모니터가 결합된 일체형 제품(IDC 2000)을 출시할 계획이다.
휴대폰은 현재
삼성 애니콜 SCH-B100
모델이 현재 85만원 정도로 판매되고 있다. 이 제품은 디지탈 카메라 및 MP3 플레이어 기능도 지원한다.
참고 사이트
http://www.dcinside.com/study/dmb.htm
3.3 지상파 DMB와 위성 DMB의 차이
위성 DMB는 지상파DMB와는 달리 서울 성수동 TU미디어 방송센터에서 '한별'이라는 인공위성에 방송 내용을 전달한다. DMB 단말기는 이 인공위성이 뿌리는 전파를 받아 화면을 내보낸다. 전파 수신율이 낮은 도심지역은 갭필러(Gap Filler)라는 전파 중계 장치를 설치해 수신 감도를 높인다.
위성 DMB서비스는 휴대전화 단말기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가입자들에게 월 1만2000~ 1만4000원 정도 받을 예정이다. 방송을 주관하고 있는 시험 서비스에 들어간 TU미디어(www.tu4u.com)는 현재 비디오 3개(음악 뉴스 드라마)와 오디오 6개 채널을 무료로 송출하고 있다. 상반기 중에 총 36개 채널이 추가로 서비스한다는 계획이다.
지상파 DMB와 위성 DMB는 그 역사와 사업자, 주파수 대역이 다르며, 기술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프로그램 내용도 다르게 될 것이다. 결국 컨텐츠(방송 프로그램)에 의해, 시장은 다르게 형성될 것이다. 또한 DAB와 마찬가지로 위성 DMB의 경우 유료방송인 반면 지상파 DMB는 무료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 휴대폰 겸용 지상파 DMB가 지하철이나 빌딩안에서도 서비스되기 위해서는 부분 유료화가 불가피하다는 주장 나왔고 정책 당국인 정보통신부나 방송위원회도 점차 지상파 DMB의 부분 유료화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언론노조나 시민단체에서는 당초 보편적 서비스인 지상파 DMB를 유료화하려는 것은 거대 통신사들의 장삿속에서 비롯됐다며 강력히 반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3.4 전망
이동수신만 하면 된다는 소비자의 입장에선 하나의 DMB만 존재해도 될 것 같지만,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을 다른 나라에게 뺏기는 것보다는 먼저 선점해서, 보다 많고 다양한 채널을 확보해서 더욱 많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보다 앞선 기술을 먼저 개발하여 국가경쟁력을 키우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측면에서도, 지상파 DMB와 위성 DMB 모두 먼저 기술개발에 앞서 나가야할 것이다. 그래서, 현재 유럽의 이동수신 방식인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 devices) 또한 정보통신부에서 복수표준으로 '순차적 도입'방침을 주장하고 있다.
서비스 내용면에서 봐도, TV를 보는 사람들도 케이블에서 제공하는 특화된 채널인 뉴스전문채널, 게임전문채널, 만화전문, 스포츠전문, 요리, 여행, 종교 등을 원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방송 3사에서 제공하는 드라마, 오락, 뉴스, 교양프로그램만을 보는 사람도 있다. 즉, 이동하면서, 지상파 DMB의 방송 3사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혹은 뉴스전문채널 YTN같은 특화된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며, 위성 DMB의 지상파 DMB에서 하지않는, 보다 특화된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받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이 주어지는 방향으로 기술 발전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위성 DMB폰에 있어 판매 보조금 허용은 시험서비스를 통해 '걸음마'를 시작한 위성 DMB의 시장활성화를 앞당길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위성 DMB 단말기시장은 보조금이 허용되면 올해 30만 50만대 이상 판매돼 4800억원의 시장을, 2006년에 120만대를 팔아 1조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런 시장활성화는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중인 'IT839 전략'의 신성장동력 육성전략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내수시장에서 위성 DMB산업이 조기 안착하면 일본 등 해외시장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는 것도 보조금의 후방효과로 꼽혔다.
위성 DMB폰에 보조금을 지급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초기 시장활성화다. 방송수신과 통신기능을 단말기 하나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종 첨단 기술이 적용되기 때문에 단말기 가격이 상승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런 비싼 단말기는 십중팔구 소비자로부터 외면당한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시장확대는 물건너갈 게 뻔하다. 위성 DMB폰이 대량 판매되기 위해서는 최소 70만원대 이하여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파이낸셜뉴스> 2005-01-19일자.
<참고문헌>
강상현. 2000. 방송의 디지털화와 공영방송의 매체전략. 방송연구, 겨울호 : 7
김영석. 2001.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339-346,395,421,423-424
BBC, Extending Choice in the Digital Age, 한국방송공사 정책연구실 편, <>(서울: 한국방송공사, 1996)
하병호. 2002. 언론홍보대학원 석사논문. 10-13
송해룡. 1999. 멀티미디어 라디오하이웨이로서 DAB 수용에 관한 정책 고찰; 독일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13호. 33
송해룡. 2001. 디지털 라디오방송의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5-3. 160-166
송해룡. 2003. 디지털미디어, 서비스 그리고 콘텐츠. 서울: 다락방.
이광직. 2000. DAB의 기술적 특성 및 정책방향. 방송연구. 방송위원회 겨울호. 166
곽동균. 2002. 해외 위성 DAB 사업자 동향. 정보통신정책. 38-41
도준호. 2001. 위성 디지털 라디오방송의 수용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과학; 18호. 45-46
www.advertising.co.kr/data/sem/borad/second.htm
2005.1.17인용
www.radio.cbc.ca/radio/digital-radio/drri_eia.htm 2005.1.18인용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5.02.17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6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