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5
60.13
69.72
61.80
44.74
15-19
51.21
61.02
50.57
43.85
55.21
64.81
56.88
39.79
20-24
46.83
56.16
46.21
39.92
50.68
59.87
52.23
36.29
25-29
42.66
51.34
42.07
36.35
46.27
54.94
47.67
33.09
30-34
38.42
46.51
37.85
32.67
41.90
50.03
43.14
30.02
35-39
34.17
41.68
33.63
28.99
37.55
45.13
38.63
26.96
40-44
29.99
36.88
29.48
25.43
33.24
40.27
34.17
23.85
45-49
25.94
32.14
25.46
22.00
28.96
35.47
29.77
20.59
50-54
22.07
27.57
21.62
18.70
24.77
30.79
25.49
17.23
55-59
18.45
23.27
18.04
15.57
20.74
26.23
21.37
14.00
60-64
15.11
19.30
14.75
12.67
16.95
21.83
17.46
11.10
65-69
12.09
15.66
11.78
10.04
13.49
17.67
13.90
8.62
70-74
9.48
12.42
9.22
7.82
10.51
13.95
10.82
6.62
75-79
7.40
9.76
7.19
6.07
8.15
10.94
8.39
5.10
80-84
6.00
7.87
5.86
4.96
6.58
8.98
6.85
4.20
85+
4.02
4.49
3.97
3.58
4.23
4.67
4.29
3.19
천성수, 혼인상태별 수명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제25권 제1호, 1999.
4) 사회적 욕구
(1) 역할감
○ 역할 : 어떤 직위를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다른 사람들이 기대하는 일련의 행동(Graen, 1976)
① 역할상실
② 역할갈등 : 특정역할수행자에게 여러 가지로 상이한 일련의 역할들을 수행하도록 요구될 때 발생
○ 성역할(Gender Role) : 생물학적 성(性)을 기초로 해서 사회적으로 상응하는 적절한 행위에 대한 구성원간의 기대(Blanchard-Fields et al., 1988). 이것은 단지 여성과 남성에 대한 속성에 대한 묘사가 아니라, 이 두 성이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행위, 태도, 감정 등, 사회화 과정을 통해 습득됨.
○ 성역할에 대한 태도
① 산업사회에서 남성을 개인적, 도구적, 이성적, 업적 지향적으로 사회화되고
여성은 표현적, 감정적, 관계적, 의존적으로 사회화된다.
② 전통적 성역할태도 :
남성에게는 자율성, 적극성, 목적지향성 → 적극적인 노동자, 지도자, 사회공헌적인 역할적합
여성에게는 표현성, 의존성, 수동성, 관계성 → 아내, 어머니, 성적대상 및 가사일에 적합
③ 비전통적인 성역할태도 : 남성과 여성의 가정과 사회에서의 평등성을 강조한다. 특히 성에 기초한 분업을 부정하고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평등한 사회참여의 기회를 주장
<표6> 우리나라 사람들의 여성의 역할에 대한 태도“사회외 가정에서 현재보다 여성의 지위가 더 높아져야 한다”(단위:%)
매우그렇다
어느정도그렇다
별로그렇지않다
전혀그렇지않다
무응답
전체
15.9
40.6
36.2
7.2
0.1
성별
남성
8.9
39.3
41.8
10.0
0.0
여성
22.7
41.9
30.6
4.5
0.1
연령별
20대
21.1
42.6
31.7
4.7
0.0
30대
17.8
42.6
32.6
7.1
0.0
40대
13.8
41.0
36.8
8.4
0.0
50대이상
9.0
35.9
45.1
9.8
0.3
공보처: 한국인의 의식가치관의 조사, 공보처, 1997.
○ 성역할 태도와 사회적 삶과 관계(김미숙, 1997)
① 전통적 성역할태도를 가진 남성은 자존감이 높음, 여성은 자존감이 낮음(Amata & Booth, 1995)
② 현대적 성역할태도를 가진 남성은 결혼생활에 만족, 여성은 결혼생활에 불만족(Amata & Booth, 1995)
③ 자신의 성과 일치하는 사회적 역할을 할 때 만족감이 높다.
2) 귀속감 : 구성원들 각자가 자신을 집단의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상대방을 같은 집단의 구성원으로 지각(知覺)인정함으로써 상호간에 동일한 집단에 소속되었다는 정체성(正體性)을 가지고 있어야한다(Schein A
<표7> 가장많이 소속감을 느끼는 집단(1+2위)(단위 : %)
가정
학교
직장
이웃/
지역사회
단체/모임
국가
기타
무응답
전체
93.5
8.9
28.7
36.9
17.9
10.3
0.3
0.3
성별
남성
92.3
8.9
38.1
27.2
19.3
11.1
0.3
0.1
여성
94.7
8.8
19.6
46.5
16.5
9.5
0.4
0.3
연령별
20대
92.8
18.7
33.8
20.6
21.7
9.1
0.2
0.2
30대
92.0
5.6
32.4
37.2
18.0
12.2
0.2
0.0
40대
94.6
5.4
25.7
41.8
18.8
9.6
0.8
0.0
50대
95.3
2.6
20.6
53.6
12.4
10.0
0.3
0.5
공보처: 한국인의 의식가치관의 조사, 공보처, 1997
공보처: 한국인의 의식가치관의 조사, 공보처, 1997.
3) 안정감 : 조직사회에서의 역사성과 안정성은 구성원들의 사회적 욕구와 기대를 충족시키는 중요한 요소
<표9> 직업선택시 고려사항(1+2순위)(단위:%)
보수/급여
주위의 평가
개인의 속성
근무조건,복지
안정성
사회에기여
무응답
전체
74.3
5.2
51.3
34.2
31.1
2.6
0.4
성별
남성
73.0
5.3
52.1
34.2
31.4
3.2
0.1
여성
75.6
5.1
50.6
34.2
30.8
2.1
0.6
연령별
20대
69.6
5.7
58.5
40.2
23.2
2.6
0.0
30대
72.3
4.4
51.1
39.9
28.5
1.9
0.5
40대
78.5
4.2
49.4
29.1
34.9
3.4
0.0
50대이상
79.4
6.1
44.1
24.0
41.2
2.9
1.1
공보처: 한국인의 의식가치관의 조사, 공보처, 1997.
5) 인정감 :
-인정에 대한 욕구(A.H. Maslow의 욕구4단계)
60.13
69.72
61.80
44.74
15-19
51.21
61.02
50.57
43.85
55.21
64.81
56.88
39.79
20-24
46.83
56.16
46.21
39.92
50.68
59.87
52.23
36.29
25-29
42.66
51.34
42.07
36.35
46.27
54.94
47.67
33.09
30-34
38.42
46.51
37.85
32.67
41.90
50.03
43.14
30.02
35-39
34.17
41.68
33.63
28.99
37.55
45.13
38.63
26.96
40-44
29.99
36.88
29.48
25.43
33.24
40.27
34.17
23.85
45-49
25.94
32.14
25.46
22.00
28.96
35.47
29.77
20.59
50-54
22.07
27.57
21.62
18.70
24.77
30.79
25.49
17.23
55-59
18.45
23.27
18.04
15.57
20.74
26.23
21.37
14.00
60-64
15.11
19.30
14.75
12.67
16.95
21.83
17.46
11.10
65-69
12.09
15.66
11.78
10.04
13.49
17.67
13.90
8.62
70-74
9.48
12.42
9.22
7.82
10.51
13.95
10.82
6.62
75-79
7.40
9.76
7.19
6.07
8.15
10.94
8.39
5.10
80-84
6.00
7.87
5.86
4.96
6.58
8.98
6.85
4.20
85+
4.02
4.49
3.97
3.58
4.23
4.67
4.29
3.19
천성수, 혼인상태별 수명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제25권 제1호, 1999.
4) 사회적 욕구
(1) 역할감
○ 역할 : 어떤 직위를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다른 사람들이 기대하는 일련의 행동(Graen, 1976)
① 역할상실
② 역할갈등 : 특정역할수행자에게 여러 가지로 상이한 일련의 역할들을 수행하도록 요구될 때 발생
○ 성역할(Gender Role) : 생물학적 성(性)을 기초로 해서 사회적으로 상응하는 적절한 행위에 대한 구성원간의 기대(Blanchard-Fields et al., 1988). 이것은 단지 여성과 남성에 대한 속성에 대한 묘사가 아니라, 이 두 성이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행위, 태도, 감정 등, 사회화 과정을 통해 습득됨.
○ 성역할에 대한 태도
① 산업사회에서 남성을 개인적, 도구적, 이성적, 업적 지향적으로 사회화되고
여성은 표현적, 감정적, 관계적, 의존적으로 사회화된다.
② 전통적 성역할태도 :
남성에게는 자율성, 적극성, 목적지향성 → 적극적인 노동자, 지도자, 사회공헌적인 역할적합
여성에게는 표현성, 의존성, 수동성, 관계성 → 아내, 어머니, 성적대상 및 가사일에 적합
③ 비전통적인 성역할태도 : 남성과 여성의 가정과 사회에서의 평등성을 강조한다. 특히 성에 기초한 분업을 부정하고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평등한 사회참여의 기회를 주장
<표6> 우리나라 사람들의 여성의 역할에 대한 태도“사회외 가정에서 현재보다 여성의 지위가 더 높아져야 한다”(단위:%)
매우그렇다
어느정도그렇다
별로그렇지않다
전혀그렇지않다
무응답
전체
15.9
40.6
36.2
7.2
0.1
성별
남성
8.9
39.3
41.8
10.0
0.0
여성
22.7
41.9
30.6
4.5
0.1
연령별
20대
21.1
42.6
31.7
4.7
0.0
30대
17.8
42.6
32.6
7.1
0.0
40대
13.8
41.0
36.8
8.4
0.0
50대이상
9.0
35.9
45.1
9.8
0.3
공보처: 한국인의 의식가치관의 조사, 공보처, 1997.
○ 성역할 태도와 사회적 삶과 관계(김미숙, 1997)
① 전통적 성역할태도를 가진 남성은 자존감이 높음, 여성은 자존감이 낮음(Amata & Booth, 1995)
② 현대적 성역할태도를 가진 남성은 결혼생활에 만족, 여성은 결혼생활에 불만족(Amata & Booth, 1995)
③ 자신의 성과 일치하는 사회적 역할을 할 때 만족감이 높다.
2) 귀속감 : 구성원들 각자가 자신을 집단의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상대방을 같은 집단의 구성원으로 지각(知覺)인정함으로써 상호간에 동일한 집단에 소속되었다는 정체성(正體性)을 가지고 있어야한다(Schein A
<표7> 가장많이 소속감을 느끼는 집단(1+2위)(단위 : %)
가정
학교
직장
이웃/
지역사회
단체/모임
국가
기타
무응답
전체
93.5
8.9
28.7
36.9
17.9
10.3
0.3
0.3
성별
남성
92.3
8.9
38.1
27.2
19.3
11.1
0.3
0.1
여성
94.7
8.8
19.6
46.5
16.5
9.5
0.4
0.3
연령별
20대
92.8
18.7
33.8
20.6
21.7
9.1
0.2
0.2
30대
92.0
5.6
32.4
37.2
18.0
12.2
0.2
0.0
40대
94.6
5.4
25.7
41.8
18.8
9.6
0.8
0.0
50대
95.3
2.6
20.6
53.6
12.4
10.0
0.3
0.5
공보처: 한국인의 의식가치관의 조사, 공보처, 1997
공보처: 한국인의 의식가치관의 조사, 공보처, 1997.
3) 안정감 : 조직사회에서의 역사성과 안정성은 구성원들의 사회적 욕구와 기대를 충족시키는 중요한 요소
<표9> 직업선택시 고려사항(1+2순위)(단위:%)
보수/급여
주위의 평가
개인의 속성
근무조건,복지
안정성
사회에기여
무응답
전체
74.3
5.2
51.3
34.2
31.1
2.6
0.4
성별
남성
73.0
5.3
52.1
34.2
31.4
3.2
0.1
여성
75.6
5.1
50.6
34.2
30.8
2.1
0.6
연령별
20대
69.6
5.7
58.5
40.2
23.2
2.6
0.0
30대
72.3
4.4
51.1
39.9
28.5
1.9
0.5
40대
78.5
4.2
49.4
29.1
34.9
3.4
0.0
50대이상
79.4
6.1
44.1
24.0
41.2
2.9
1.1
공보처: 한국인의 의식가치관의 조사, 공보처, 1997.
5) 인정감 :
-인정에 대한 욕구(A.H. Maslow의 욕구4단계)
추천자료
[생활과건강]건강생활양식은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 개인이 매일 수행해야하는 건강행위...
[국민건강보험][국민건강보험제도][건강보험제도]국민건강보험의 연혁, 국민건강보험의 현황...
[정신건강][성][운동][체육활동][볼링]정신건강의 개념, 정신건강의 분류, 정신건강에서 성의...
[건강가족]건강가족의 정의(개념) 및 등장 배경 이해, 건강한 가족의 의미와 주요 특징, 이 ...
[건강][현대인 건강위험요소][현대인 건강과 식생활][현대인 건강과 운동][현대인의 건강과 ...
[아동건강교육]영유아의 정신건강의 중요성과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대처방안 - 정신건...
[건강][건강교육][유아건강생활][특수교육][건강교육 지도방법]건강의 정의, 건강의 영향요소...
[아동건강교육] 유아교육기관 건강교육의 방법의 유형, 영유아건강관련 기사 요약, 누리과정 ...
건강가정의 등장배경과 개념을 설명하시고, 건강가정의 의미와 구성요소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건강가정론] 건강한 가족에서 ‘건강’의 용어를 스스로 정의하시오. 또한 건강가족을 이루는 ...
[아동건강교육B형 2017년]2015년 이후 유아 안전교육 관련 기사를 2개 논문 1개를 찾아 요약...
[정신건강론] 정신건강의 개념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정신...
[정신건강의 중요성] 정신건강의 개념, 중요성, 정신건강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 방안 제시 -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