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KOTRA가 제시하는 중국 투자 유의 10계명
① 충분한 사전 타당성 조사와 준비가 선행
② 투자 형태, 규모와 투자지 선정은 품목, 판매 형태에 따라 고려
③ 중국 투자 관련법규를 숙지하고 개정 여부를 주시
④ 현지 파트너 선정에 주의
⑤ 계약은 전략적인 마인드로 접근
⑥ 제품 품질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로 현금 결제 유도
⑦ 준법 경영이 관시 보다 우선
⑧ 우수 현지 인력 확보에 힘쓰고 교육에 아낌없이 투자
⑨ 다양한 마케팅으로 내수 시장을 공략
⑩ 旣 진출 동종업체의 노하우를 축적하고 중국 접촉 창구를 구축
① 충분한 사전 타당성 조사와 준비가 선행
② 투자 형태, 규모와 투자지 선정은 품목, 판매 형태에 따라 고려
③ 중국 투자 관련법규를 숙지하고 개정 여부를 주시
④ 현지 파트너 선정에 주의
⑤ 계약은 전략적인 마인드로 접근
⑥ 제품 품질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로 현금 결제 유도
⑦ 준법 경영이 관시 보다 우선
⑧ 우수 현지 인력 확보에 힘쓰고 교육에 아낌없이 투자
⑨ 다양한 마케팅으로 내수 시장을 공략
⑩ 旣 진출 동종업체의 노하우를 축적하고 중국 접촉 창구를 구축
본문내용
⑩ 旣 진출 동종업체의 노하우를 축적하고 중국 접촉 창구를 구축해야
기 진출한 동종 선발 업체들이 체득한 노하우를 수집하고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자. 중국 접촉 창구를 정하고 긴밀한 연락망을 구축하며, 중국 정부 관계자를 커뮤니티 고문으로 위촉하고 정기 강연을 개최하는 등 최신 정보에 발빠르게 대처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하는 것이 좋다.
오재호 KOTRA 해외진출지원센터장은 이와 관련, "중국 투자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진출 활동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작년 9월부터 베이징에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금년 2월에는 상하이와 칭다오에도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를 개설해 법률 자문서비스 등 전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중국 진출희망 기업들의 적극적인 활용을 당부하고 있다.
기 진출한 동종 선발 업체들이 체득한 노하우를 수집하고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자. 중국 접촉 창구를 정하고 긴밀한 연락망을 구축하며, 중국 정부 관계자를 커뮤니티 고문으로 위촉하고 정기 강연을 개최하는 등 최신 정보에 발빠르게 대처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하는 것이 좋다.
오재호 KOTRA 해외진출지원센터장은 이와 관련, "중국 투자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진출 활동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작년 9월부터 베이징에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금년 2월에는 상하이와 칭다오에도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를 개설해 법률 자문서비스 등 전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중국 진출희망 기업들의 적극적인 활용을 당부하고 있다.
추천자료
중국 SI 산업 현황과 삼성 SDS의 기업 진출 전략 분석
중국의 사회,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특성과 앞으로의 발전방향 및 한국과의 무역관계에 대하여
중국의 WTO 가입 이후 개방과 서비스 산업의 변화
중국내 진출한 한국 화장품
중국의 주식시장
중국 서부권역의 시장환경 조사
중국 가공무역 현황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무역정책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무역정책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중국경제의 비관적 전망과 한국의 대응
중국인관광객 한국관광 실태와 유치 증대 방안
중국 경제 위험이 미치는 한국 경제
중국의 해외기업M&A
중국의 FTA 전략과 한중 FT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