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자살의 원인과 이해
1. 사회학적인 이해
2. 정신분석학적 이해
3. 심리학적 이해
4. 문학적/실존주의적 이해
Ⅲ. 자살의 위험요소 분석
1. 정신 병리적 요소
2. 생물학적 요소
3.유전적/가정환경적 요소
Ⅳ. 결론
Ⅱ. 자살의 원인과 이해
1. 사회학적인 이해
2. 정신분석학적 이해
3. 심리학적 이해
4. 문학적/실존주의적 이해
Ⅲ. 자살의 위험요소 분석
1. 정신 병리적 요소
2. 생물학적 요소
3.유전적/가정환경적 요소
Ⅳ. 결론
본문내용
낮은 양의 세라토닌양이 검출되었다. 이것은 낮은 양의 세라토닌양이 자
살자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성격적 요인에도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아스버그의 주장에 반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아직 자살원인에 대한
생물학적인 연구는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3.유전적/가정환경적 요소
자살과 유전과의 관계는 아직까지 논란의 대상이다. 자살의 유전성을 크게 두 가지로 나
눈다. 첫째, 자살성향자체가 유전인자를 통해 후대에 전달된다는 가설로 자살성향 이면에는
정신질환에 약한 유전자가 있으며 이 인자가 후손에게 계속 유전된다고 말한다. 로이(Roy)
는 자살과 연관된 유전적 요소는 정신질환이 아니라 충동성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둘째
는 유해한 가정환경으로인해 자살이 한 집안에서 반복된다는 주장이다. 부모의 별거, 이혼,
폭력 등으로 얼룩져 있는 역기능적 가정환경이 높은 자살률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다.
4)상황적 요소
첫째, 개인에게 직접적으로 미치는 스트레스의 요인(개인적 상황요인)으로 애인의 변심,
불치병, 구금, 직업상실, 사회적 지위의 하락 등이 있다. 둘째(환경적 상황요인), 자살수단
(총기, 약물 등)에 대한 접근용의성이나 자살 위험이 있는 환경(역기능적 가정환경)등에 대
한 노출을 들 수 있다.
Ⅳ. 결론
지금까지 자살의 원인에 대해 사회학적, 정신분석학적, 심리학적, 문학적/실존주의적 이해
를 통해 살펴보고, 자살의 위험요소로 정신 병리적, 생물학적, 유전적/가정환경적, 상황적 요
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뒤르켐은 자살에 대한 연구를 종래의 개인적·심리적 차원의 원인 연구에서 사회적 차원
의 연구로 바꾸어 놓았다. 그러나 비판도 없지 않다. 사회적인 요인으로 설명한다고 하면
서도 결국은 일종의 심리적인 요인인 사회구성원들 사이의 유대감이라던가, 가치관의 혼란
이라던가 하는 요인들로 설명하는 셈이 아닌가 하는 비판이 있다.
자살학자 르날스(Leenaars)는 반세기 동안의 자살현상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인간
이 자살하는 이유에 대해서 명확한 답을 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도 많은 이들은
인간이 자살하는 이유를 모두 다 아는 것처럼 말한다. 이것은 자살 이유를 쉽게 판단해 버
리는 것이다. 자살자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자살의 원인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키는 경향이
많다.
자살위험요소는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인간의 삶을 포괄하는 모든 환경-생물학적, 유전적,
상황적 환경속에서 자살 위험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살현상은 프로
이드의 대상상실에 따른 자기학대나, 뒤르켐의 사회적 결속력 약화, 실존주의적 부조리와 같
은 한 두 가지의 원인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살행위의 배후에는 만성질환, 상
실, 충동적 성격, 심리적·신경적 유약성, 약물중독 등 다양한 내·외적 조건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것이 보통이다.
위에서 살펴본 자살의 원인이 모든 자살의 동기에 꼭 맞는 것은 아니다. 자살의 동기가
단 한가지로만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자살은 매우 복합적인 문제이다.
<참고문헌>
케네쓰 톰슨, 이향순 역, 『에밀 뒤르케임』, 학문과 사상사, 1991.
김시업·한중경 공저, 『아름다운 삶을 위하여』, 예솔, 1998.
윤근섭외 공저, 『사회학의 이해』, 삼우사, 1995.
존A·휴즈외 2인, 박형신·김용규 역, 『고전사회학의 이해』, 일신사, 1998.
터너외 2인, 김문조외 역, 『사회학이론의 형성』, 일신사, 1997.
오명근,이종수 엮음, 『사회학』, 한국사회학연구소, 1991.
최신해, 「사람은 왜 자살을 하는가」,『자살』, 보성출판사, 1991.
살자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성격적 요인에도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아스버그의 주장에 반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아직 자살원인에 대한
생물학적인 연구는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3.유전적/가정환경적 요소
자살과 유전과의 관계는 아직까지 논란의 대상이다. 자살의 유전성을 크게 두 가지로 나
눈다. 첫째, 자살성향자체가 유전인자를 통해 후대에 전달된다는 가설로 자살성향 이면에는
정신질환에 약한 유전자가 있으며 이 인자가 후손에게 계속 유전된다고 말한다. 로이(Roy)
는 자살과 연관된 유전적 요소는 정신질환이 아니라 충동성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둘째
는 유해한 가정환경으로인해 자살이 한 집안에서 반복된다는 주장이다. 부모의 별거, 이혼,
폭력 등으로 얼룩져 있는 역기능적 가정환경이 높은 자살률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다.
4)상황적 요소
첫째, 개인에게 직접적으로 미치는 스트레스의 요인(개인적 상황요인)으로 애인의 변심,
불치병, 구금, 직업상실, 사회적 지위의 하락 등이 있다. 둘째(환경적 상황요인), 자살수단
(총기, 약물 등)에 대한 접근용의성이나 자살 위험이 있는 환경(역기능적 가정환경)등에 대
한 노출을 들 수 있다.
Ⅳ. 결론
지금까지 자살의 원인에 대해 사회학적, 정신분석학적, 심리학적, 문학적/실존주의적 이해
를 통해 살펴보고, 자살의 위험요소로 정신 병리적, 생물학적, 유전적/가정환경적, 상황적 요
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뒤르켐은 자살에 대한 연구를 종래의 개인적·심리적 차원의 원인 연구에서 사회적 차원
의 연구로 바꾸어 놓았다. 그러나 비판도 없지 않다. 사회적인 요인으로 설명한다고 하면
서도 결국은 일종의 심리적인 요인인 사회구성원들 사이의 유대감이라던가, 가치관의 혼란
이라던가 하는 요인들로 설명하는 셈이 아닌가 하는 비판이 있다.
자살학자 르날스(Leenaars)는 반세기 동안의 자살현상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인간
이 자살하는 이유에 대해서 명확한 답을 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도 많은 이들은
인간이 자살하는 이유를 모두 다 아는 것처럼 말한다. 이것은 자살 이유를 쉽게 판단해 버
리는 것이다. 자살자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자살의 원인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키는 경향이
많다.
자살위험요소는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인간의 삶을 포괄하는 모든 환경-생물학적, 유전적,
상황적 환경속에서 자살 위험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살현상은 프로
이드의 대상상실에 따른 자기학대나, 뒤르켐의 사회적 결속력 약화, 실존주의적 부조리와 같
은 한 두 가지의 원인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살행위의 배후에는 만성질환, 상
실, 충동적 성격, 심리적·신경적 유약성, 약물중독 등 다양한 내·외적 조건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것이 보통이다.
위에서 살펴본 자살의 원인이 모든 자살의 동기에 꼭 맞는 것은 아니다. 자살의 동기가
단 한가지로만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자살은 매우 복합적인 문제이다.
<참고문헌>
케네쓰 톰슨, 이향순 역, 『에밀 뒤르케임』, 학문과 사상사, 1991.
김시업·한중경 공저, 『아름다운 삶을 위하여』, 예솔, 1998.
윤근섭외 공저, 『사회학의 이해』, 삼우사, 1995.
존A·휴즈외 2인, 박형신·김용규 역, 『고전사회학의 이해』, 일신사, 1998.
터너외 2인, 김문조외 역, 『사회학이론의 형성』, 일신사, 1997.
오명근,이종수 엮음, 『사회학』, 한국사회학연구소, 1991.
최신해, 「사람은 왜 자살을 하는가」,『자살』, 보성출판사, 199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