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사회에서의 동성애 실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 사회에서의 동성애 실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동성애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입장
2-동성애의 원인론
3.동성애는 인간에게만 유일한 현상인가?
4.동성애 현상의 문화적 다양성
5.동성애를 바라보는 종교의 관점
6.동성애의 인권 회복 운동
7.동성애 차별과 사회 문화적 편견
8.동성애 치료법

Ⅲ결론

본문내용

GA는 국제연합이 공인한 최초의 기관이면서 유일한 게이 집단이다.
7.동성애 차별과 사회 문화적 편견
1)동성애 혐오증은 왜 생기나?
-어려서부터 배운 증오심은 바꾸기도 어렵고 바꾸려고도 하지 않는다.
-자신과는 다른 사람에 대한 공포
-여러 종교인들에 의한 혐오증의 조장
-동성과의 성행위를 한다는 생각을 할 때에 느끼는 혐오감 등의 이유가 있다.
2)동성애 증오 범죄
사회 규범을 깨뜨리는 증오 범죄는 보통 순간적이라기 보다도 어느 정도 계획된 상태에서 표적을 두고 이루어진다. 게이를 상대로 하는 범죄의 경우도 대부분 게이 남성을 표적으로 해서 발생한다. 때로는 살인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도 발생하는데, 그러한 범죄의 발생은 게이들의 삶이나 가치를 위협하고 있다.
사건을 보면, 멕시코에서는 1992년 한 해 동안 게이 인권 운동가를 표적으로 한 살인 사건이 10건이나 발생했으며, 브라질의 바히아주는 게이들의 인권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아닌지 1990년대 초까지 320명의 게이가 살해되기도 했다.
게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가장 빈번하게 보고되는 나라는 미국을 꼽을 수 있는데, 대부분 대도시에서 이러한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미국의 도시들 중에서도 범죄 건수는 뉴욕시가 으뜸이고, 그 다음이 샌프란시스코이다. 미국의 5대 도시에서 발생한 게이들에 대한 폭력 범죄는 1988년 700여 건에서 1992년 1900여 건으로 증가하였다.
게이들을 상대로 나타난 증오 범죄는 대부분 청소년들에게서 자행되고 있다. 왜 청소년들에게 게이를 공격하고 싶은 동기가 강하게 나타나는가의 이유는 사법부의 결정 내용이나 인쇄 및 영향 매체가 큰 몫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1976년 미국 아리조나주 투산의 한 술집 앞에서 게이였던 대학생이 십대들의 구타로 인하여 사망했어도 판사는 가해자들에게 무거운 형량을 내리지 않았으며, 1988년 텍사스주의 한 판사는 두 면의 게이를 살해한 남성에게도 매우 낮은 형량을 선고했다.
이처럼 부정적인 태도가 만연하다 보니 게이라고 드러낸 사람들의 절반 이상이 일종의 폭력을 당한 적이 있었다고 보고할 정도가 되었다.
또 피해를 당한 게이들의 4분의 3정도가 피해 사실을 경찰에 신고하지 않은것도 이와같은 범죄가 증가하게 된 한 요인이다.
8.동성애 치료법
동성애 감정을 제거하고 이성애를 키우기 위한 아래 열거한 것과 같은 많은 치료법들이 과거에 동원되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 중 효과는 그 어느 것도 없었다. 결국 이 방법들은 독신으로 살도록 만들거나 양성애자로 하여금 이성과의 성적 접촉만을 하도록 설득하는데 일부 성공했을 따름이었던 것이다. 그러면 여러 치료법을 살펴보도록 하자.
-혐오 치료; 게이에게 남성의 누드 사진을 보여주며 전기 쇼크를 준다.
-전두엽 절제술을 포함한 뇌절단 수술, 거세, 정신 치료
-약물 치료; 코카인, 여성 호르몬, 남성 호르몬 주입
-긍정 치료; 게이로 하여금 자위행위를 하도록 지시한 다음 오르가즘 직전에 여성의 사진을 보여준다.
-기도, 영적 상담
-싫증 치료; 게이에게 남성과의 동성애 행위를 하는 사진을 완전히 싫증이 날 때까지 보여준다.
Ⅲ결론
동성애자는 문화가 인간을 이성애자로 두드려 맞추는데 실패한 자들이다. 소련이나 북한의 그 철저한 사상 교육을 가지고도 충실한 공산주의자가 아닌 자가 수많이 배출되는 현상과 같이, 어떠한 문화적 사회적 규범도 그를 따르지 않는 반역자, 예외자를 많든 적든간에 산출하는 법이다.
나 자신은 철저하게 남성을 좋아하는 성향으로 동성애의 취미는 없고, 동성애를 변호한다고 해서 별다른 이익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동성애는 결코 병이 아니라는 점만은 지적하며, 다만 정상이라고는 인정하지 않는 방법으로 문화가 전체적 자기를 회복하려는 작업에 지나지 않는다고 부연하고자 한다. 동성애를 이해하려는 자세는 오히려 인간이 폭을 넓혀 주는데 도움이 되고 그들을 다른 각도에서 보려고 할수록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스스로 줄이게 되므로 나는 동성애를 이해하려는 입장이다.
*참고 문헌
기시다 슈, 게으름뱅이 정신 분석, 도서 출판 깊은샘, 1992년, pp95-96
안종수,에이즈 X화일, 한겨레 신문사, 1994년, pp114
윤가현,동성애의 심리학, 학지사,1997년, pp55-99
*검색 사이트
http;//empas.co.kr/
http;//www.tgnet.co.kr/
http;//www.naver.com
http;//i.kebi.lycos.co.kr/∼comingout/main.html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2.21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1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