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총정리 완결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총정리 완결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고대 가요

향가

고려 속요

경기체가

시조

가사

악장

설화

전(전)

고소설(고소설)론

의인 소설

몽유록

김시습과 금오신화

허균과 홍길동전

군담소설

김만중과 구운몽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

박지원

본문내용

과 공리공론에서만 매달린 양반 식자층 은 진실로 나라의 화근이 아닐 수 없다.
3)홍길동전의 율도국과 허생전의 무인 공도
성격
방법
지명
형태
결과
해외 진출
홍길동전
개인적 차원에 국한된 공간
괴물 퇴치와 공주와의 결혼
율도국
현실의 좌절과 한계성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추상적 낙원
죽을 때까지 머무는 완전 이상향
단순히 현실과 유리된 곳
허생전
현실적 경륜에서 시험 장소
어려움 없이 빈 섬에 들어감
무인공도
공동 생산과 예의 범절에 의한 가족을 바탕으로 하는 구체적 농경 사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한 준비 공간
구체적인 해외 교역의 대상
3)北伐책의 비판
-허생의 비판 의식이 집약적으로 드러난 곳이 이완과의 대화에서이다. 사실 孝宗이 송시열과 함께 북벌 계획을 수립했지만 그것은 실천에 옮겨지지 못했고 오히려 역기능만 초래했다. 북벌이라는 미명하에 국내의 비판 세력을 억압했던 측면이 있었던 것이 바로 北伐論이 일종의 허위의식 이었음을 말해 준다. 우리 나라 사람을 淸國에 보내어 그 나라의 내부 사정을 염탐하고, 허실을 간파하며, 또한 청의 지배에 불만을 품은 호걸들과 結交를 하는 것이 밖에서 공격하고 안에서 內應 해야만 도모하는 바가 이루어지는 법이다. 연암은 진정한 북벌이란 북학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고자 했는지도 모른다.
4)허생전의 인물상
①허생┌초기-무위도식하는 양반
└후기-經世致用의 도를 아는 양반(작가의 이상이 모아지는 인물)
▶한편 허생을 근대적 經濟思想을 지닌 重商主義者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허생 스스로가 나는 장사꾼이 아니다.고 하였으며, 자신의 장사하는 방법은 백성을 해치는 도리라 고백 하며 번 돈을 바다 속에 버리고 가난한 옛 집으로 돌아오는 등의 일련의 사건들은 사회사 상의 변질을 정확히 관찰하면서도 작가의 의식이 보수적임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②변승업: 새로운 시대를 주도할 계층(시민)
③이완: 허위의식에 찬 지배층
5)허생전의 한계
①영웅적 인물의 한계-비현실적
②허생의 신분 의식(양반 의식)-나를 한낱 장사치로 아시오
③민중들의 생활상이나 의지가 없다.-허생 중심
④결말 부분의 미묘함-모순된 현실에 직접적으로 대면하지 못하고 종적을 감추어 버리는 설 화적 모티브
문34] [봉산탈춤]과 [허생전]에 나타나는 현실 비판 의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임용 기출] 허생전에 대해 다음에 맞게 서술하시오.
1.허생전의 소설사적 시기와 작품이 지어진 시기의 구체적 배경을 밝힐 것
2.작중 주동 인물을 통해서 드러내려는 작품의 의도(또는 시대 의식)를 해석할 것
3.[박씨전]과 허생전간의 텍스트 상호성을 두 가지 측면에서 제시할 것
[양반전]
1)이 작품은 연암의 초기작 가운데 하나로 조선 후기 양반들의 경제적 무능과 허식적인 생활 태도를 폭로하고 비판한 한문 소설이다.
2)창작 동기
[방격각외전]에
-士는 天爵이니 사와 心이 합치면 志가 된다. 그志는 어떠하여야 할 것인가? 勢利를 도 모하지 않고 顯達하여도 곤궁하여도 사를 잃지 말아야 한다. 名節을 닦지 아니하고 단지 문 벌이나 판다면 장사치와 무엇이 다르랴? 이에 양반전을 쓴다. 고 저작 경위를 밝히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天爵을 팔고 산 정선 양반과 상인인 부자를 풍자한 것으로 당시의 허위 와 부패를 폭로 한 것이다.
3)양반전의 시대적 배경
-[양반전]의 배경이 되는 임란과 병란 후의 조선 사회는 신분 질서가 동요하기 시작했으며 상업의 발달과 농업 생산력의 발달 등으로 평민 부자들이 많이 나타났다. 국가에서는 부족 한 재정을 메우기 위해 돈 많은 평민들에게 돈을 받고 양반으로 상승시켜 주기도 하였다. 한편, 당대 지배 관료층은 사회를 개혁하려는 의지가 부족하고 공허한 명분에 얽매여 있었 으며 관료 사회의 부패 또한 심하였다.
4)양반전의 諷刺 대상과 주제
①풍자 대상: 이 작품에서 풍자하고자 한 주된 대상은 양반 계층임이 분명하다. 그가 비판하 고자 한 양반의 모습은
㉠첫 번째 문권: 여기서 풍자된 양반은 無爲徒食하며 공허한 관념과 겉치레에 얽매인 비생 산적 계층으로 드러나 있다.(양반의 형식주의 비판)
㉡두 번째 문권: 개인적 이익만을 취하며 부당한 특권을 남용하는 집단으로 드러나 있다.
:(양반의 비인간적인 收奪등이 매우 구체적이고 희화적으로 서술)
▶작자는 신분 질서가 문란해진 조선 후기를 바탕으로 해서, 양반이라는 특권 계층 자체를 부정한 것이 아니라 양반이 양반답지 못한 현실을 개탄하고 있다.
②주제-이와 같은 풍자적 비판을 통해서 작가가 말하고자 한 주제는 양반층의 공허한 관념, 非生産性과 부당한 특권 남용이 당시 사회의 커다란 병이요 문제라는 것으로 요약 할 수 있다.
[虎叱]
1)이 작품은 박지원이 지은 한문 단편으로 [熱河日記]의 [관내정사]에 실려 전한다. 道學者然 하는 北郭 先生과 東里子라는 수절 과부 사이의 추행을 통해 그 당시 일부 선비들의 위선 적인 내면 생활을 폭로, 풍자한 소설로서 특히 동물을 의인화하여 호랑이가 인간을 나무란 다는 것이 기발하다.
2)주제-만주족의 압제에 曲學阿世하는 중국 인사들의 鄙劣상을 풍자한 것이라는 데서 글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①북곽 선생으로 대표되는 儒者들의 위선을 비꼰 것
②동리자가 대변하고 있는 정절 부인의 가식적 행위를 폭로
특히 유자의 위선을 공격하면서 호랑이가 綱常의 윤리를 절대 당위로 조작한 북곽 선생을 꾸짖는 것은 유가 일반의 독선적 인간관을 풍자한 것이라 하겠다.
3)구성-음란한 곳의 대명사 된 鄭나라를 배경으로 함
시간의 변화
황혼

새벽
아침
장소의 변화


들판
들판
내용
황혼 무렵 음험한 계략이 꾸며짐
음란한 행위가 연출
삶과 죽음의 기로에서는 극한상황
위선적인 모습
-머리를 조아리고 목숨만 살려 주기를 빌다가 농 부가 와서 물으니 자신의 행동은 하늘을 공경하 고 땅을 조심하는 것이라고 변명함
4)형식
-전기체를 완전히 탈피하였으나 그 때문에 순정하지 못하다는 비판을 함께 받았다. 동음어를 교묘히 활용하고 민담과 전설을 삽입하면서 생략과 압축으로 완성된 이 작품은 강한 현실 비판을 풍자로 처리하면서도 소설적 기법들을 충실히 수행한 연암 문학의 매력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68페이지
  • 등록일2005.02.22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2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