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4고(노인문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의 4고(노인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노인문제란 무엇인가?
1.노인인구의 증가
2.사회적 여건의 변화
3.경제적인 어려움
4.여가 및 사회참여 여건의 부족
5.각종 노인성 질환

본론
우리나라 노인문제의 실태
1) 건강
병에 대한 조치와 의료 서비스
2)경제
노인 경제활동의 문제점
3)역할상실
역할상실과 여가문제
노년기 여가활동의 현황
노인여가시설의 현황
4)고독 및 소외문제
우울증 및 내향성
과거의 회상

결론
성공적인 노화란
노인의 4고의 해결대책
1)건강
2)경제
3)역할상실
4)소외

본문내용

여가선용을 위하여 교양강좌, 오락, 기타 노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사업을 실시하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노인복지회관, 경로당, 노인교실, 노인휴향소 기타 노인복지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을 하는 자에 대해서는 시설의 설치·운영에 필요한 적절한 보조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여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
문화·오락의 기회는 주로 노인복지회관·경로당·노인교실·노인휴양소에서 제공하고 있다. 현재 4,0691개소의 경로당에 1,337,157명의 노인이 이용하고 있으며, 583개소의 노인교실에 956,660명이, 6개소의 노인휴향소에 41,282명이 이용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1e:5). 그리고 정부는 경로당 운영비 월4.4만원과 난방연료비로 연간 25만원을 보조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1e:102).
우리 나라의 노인은 하루일과 중 4시간 20분을 일과 기사를 포함한 노동에, 1시간 3분을 이동에 사용하며, 여자노인은 남자노인에 비해 평균적으로 노동시간이 1시간 23분으로 더 길고 여가시간이 1시간 8분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들은 하루평균 45분 낮잠을 자며 여가활동시간인 하루 5시간 49분 중에서 TV시청이 3시간 19분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시니어저널,2000년 12월 11일).
)「노인복지론」박태룡저 p.112-113
사회적 협동
Kaplan. M은 노인은 사회적으로 유익한 봉사를 하고싶어 하고, 지역사회일원으로서 인정받기를 원하며, 여가시간을 만족스러운 방법으로 충족되기를 바라며, 정상적인 교우관계를 원하며, 정신적 만족을 원한다고 하여 사회적 활동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Bull, C. N.와 Aucoin. J. B.은 건강하고 사회적·경제적으로 지위가 높은 노인일수록 사회적 활동에 참가하는 비율이 높다고 하였다. Culter. S. J.는 사회활동에 참가하는 노인이 참가하지 않는 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높다고 하여 사회활동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노인은 가능한 사회활동에 참가함이 건강증진과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노후방지에 크게 이바지하며 지능저하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참여를 기피하는 경향은 노인 자신의 성격특성에도 기인되지만 노인을 위한 사회적 대비의 결함에도 있다고 하겠다. 노인은 노후생활의 고통중의 하나인 무위고를 들고 있다. 즉 할 일이 없어 죽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노인에게 가정과 사회에서의 참여를 유도함은 노인에게 보람과 즐거움을 주는 길이다.
정부는 노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하여 노인의 지역봉사활동기회를 넓히고 노인에게 적합한 직종의 개발과 그 보급을 위한 시책을 강구하여 근로능력이 있는 노인에게 일할 기회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노인의 지역봉사활동 및 취업의 활성화를 기하기 위하여 노인지역봉사기관, 노인취업알선기관 등 노인복지관련기관에 대하여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는 지원근거를 마련하고 또한 사회적 신망과 경험이 있는 노인으로서 지역봉사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지역봉사지도원으로 위촉하고 있다(노인복지법, 제23조와 제24조).
)「노인복지론」박태룡저 p.111
4)소외
가족관계의 유지
전통사회에서의 노인은 가부장으로서의 가정적 ·사회적 지위는 확고하였다. 따라서 재산권의 소유와 직업의 통솔뿐 아니라 소비생활 전반에 걸친 지식과 지혜의 소유자로서 크게 존경을 받아왔다. 그러나 사회의 급변과 가족제도의 변형으로 노인의 지위는 크게 흔들리게 되어 그들의 가족과 사회로부터 소외·배제·격리하는 경향마저 짙게 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은 사회문제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인문제는 가족기능의 강화로 보장될 수 있으며 건전한 가족관계의 유지로서 해결될 것으로 본다. 이에 Kaplan, M은 노인의 욕구를 여가선용에 두고 「suitable lining arrangments and family relationship」이라 하여 정상적인 가족관계가 유지되기를 강조하였고 우리나라 노인복지법에서도 국가와 국민은 경로효친의 미속양속에 따른 건전한 가족제도의 장점을 유지·발전시커 노인을 가족 내에서 보호함이 바람직함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정부는 경로효친사상의 앙양으로 효행자를 발굴하여 포상하고 '어버이 날', 과 '노인의 날', '경로의 달'을 법정화하여 다양한 행사를 추진하며, 노부모봉양수당(공무원)을 지급하고, 노부모봉양자에겐 소득세·상속세·양도세 등의 세제상의 혜택을 주고 있다. 또한 공영시설이용에 대한 경로우대제의 확대와 재가복지서비스를 확대·실시하고 있다.
한국노인문제연구소(1998년)에서 저소득노인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전체 조사대상 노인중 자녀와 같이 사는 비율은 32.5%, 노인단독 또는 노부부끼리만 사는 비율은 53.1%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60세 이상 노령층(1262명)을 대상으로 생활실태 및 의식구조를 조사한 바에 의하면 응답자의 71.6%가 자녀와 별거할 것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연령이 낮을수록 자녀와의 동겨를 원하지 않았고,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욱 별거를 희망했고, 교육수준별로는 고학력 노인일수록 그리고 생활수준별로는 경제적으로여력이 있는 노인일수록 별거지향적인 의식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노인주택으로서 3세대형 주택 건립과 자녀와 노인세대간의 근거리형 주택의 개발이 바람직하겠으며, 저속득층 노인을 위해서는 노인복지주택으로서의 영구임대주택이나 주택의 유지·보수·개량에 대한 비용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정부가 지급하는 방법을 고려해야겠다. 노인이 생활하기를 원하는 주택의 유형은 80.8%가 단독주택, 14.4%가 아파트이고 3.0%만이 노인복지시설을 희망하고 있다. 그리고 노인의 33.6%가 향후 노인전용주택이 공급된다면 이러한 시설에서 살고 싶어하였다(노인보건사회연구원,1998:428).
)「노인복지론」박태룡저 p.110-111
지금 까지 살펴본 바에 의하면 아직까지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산재해 있음은 분명하다. 또 그 기반조차 닦아지지 않아 앞으로 21세기 고령화 사회에 닥칠 장수의 소원은 부정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장수의 소원이 그들에게 축복이 되기 위해서는 사회전반의 노력과 제도적으로 도와주는 사회정책적 노력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키워드

노인,   4고,   실버,   노인문제,   노화
  • 가격2,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5.02.28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6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