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베네통의 발전과정
▶우리나라의 베네통사업
2.베네통의 성공요인
3.베네통의 물류시스템
① 신속공급체계 (Quick Response System)
②글로벌 물류시스템
③자동화된 물류센터
④표준화에 의한 재고관리
⑤자회사를 통한 복합운송체계 실현
4.결론
▶우리나라의 베네통사업
2.베네통의 성공요인
3.베네통의 물류시스템
① 신속공급체계 (Quick Response System)
②글로벌 물류시스템
③자동화된 물류센터
④표준화에 의한 재고관리
⑤자회사를 통한 복합운송체계 실현
4.결론
본문내용
인하는 작업에서 인력이 필요할 뿐이다.
위 그림은 우선 완성된 제품이 자동으로 이동되면서 포장된 후, 지하터널을 통해서 카스뜨레뜨 물류창고로 이동된다. 창고로 이동된 포장품들은 자동으로 저장공간을 할당받아 저장하게 된다. 이 모든 일은 자동화이고 사람이 하는 일은 관련 서류들을 확인하는 일과, 중앙통제소에서 모니터링 하는 것뿐이다.
④표준화에 의한 재고관리
베네통은 물류효율화를 위해 포장단위를 표준화하고 있다. 포장단위 표준화는 보관시 보관공간의 효율성 증대나, 수송적재율 제고 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베네통은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포장단위를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표준화하고 있다. 50킬로그램 이하의, 평균크기(40cmx65cmx50cm)의 박스이다. 그리고 접어서 보관하기 힘든 옷들을 위한 박스가 있는데, 이 박스는 위의 기본 포장박스 두 개를 엎어 놓은것(복층박스)이다. 세 번째 박스단위는 비교적 큰 박스로 크기는 (120cm x120cmx170cm)이다. 50kg 이하의 평균 크기 박스를 위한 창고는 24개 층의 저장소가 있고, 총 20만 5백 개의 박스를 저장할 수 있다. 8개의 트랜스 레이터, 2개의 트랜스 버스, 4개의 저장타워가 있다.
복층높이 박스를 위한 창고는 (복층높이 라는 것은 옷걸이에 걸어야 하는 상품을 말함.) 13개층에 3만 6천 2백개의 복층높이 박스를 저장한다. 3개의 트랜스레이터, 1개의 트랜스 버서, 2개의 저장타워가 있다.
크기가 120x120x170인 팔레트로 운반되는 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창고는 3천 2백개의 복층높이 박스를 저장할 수 있다.
⑤자회사를 통한 복합운송체계 실현
베네통의 물류시스템에서 다른 기업과 크게 차이나는 특징을 든다면, 자회사인 Benlog사의 활용을 들 수 있다. Benlog사는 주로 베네통의 제품을 취급하는데 베네통은 이곳을 통해 기존에 분산화 된 수송업무를 중앙에서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그동안 너무 느리고 비효율적이었던 제 3자를 이용한 운송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베네통은 Benlog사를 통해 북부 이태리는 물론 북유럽에 이르기까지 철도 등을 이용한 복합운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유럽 내에서 혹은 국내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이지만, 해외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물류공동화를 통해서 물류비용을 줄이는데 노력을 하고 있다.
4.결론
지금까지 베네통의 발전과정과 베네통의 물류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베네통은 혁신적인 사고를 마케팅, 생산, 물류에 접목시킴으로서 30년 만에 전 세계 5000여 개의 소매점을 가진 거대한 세계적인 그룹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기업은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조금씩 개선 발전해 나가는 것이다. 혁신은 이러한 기업의 생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며, 혁신이 죽은 기업은 살아있는 기업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베네통 역시, 지금의 방향에서 안주한다면 도태되고 말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베네통의 혁신전략들은 앞으로 다른 혁신 전략들로 진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위 그림은 우선 완성된 제품이 자동으로 이동되면서 포장된 후, 지하터널을 통해서 카스뜨레뜨 물류창고로 이동된다. 창고로 이동된 포장품들은 자동으로 저장공간을 할당받아 저장하게 된다. 이 모든 일은 자동화이고 사람이 하는 일은 관련 서류들을 확인하는 일과, 중앙통제소에서 모니터링 하는 것뿐이다.
④표준화에 의한 재고관리
베네통은 물류효율화를 위해 포장단위를 표준화하고 있다. 포장단위 표준화는 보관시 보관공간의 효율성 증대나, 수송적재율 제고 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베네통은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포장단위를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표준화하고 있다. 50킬로그램 이하의, 평균크기(40cmx65cmx50cm)의 박스이다. 그리고 접어서 보관하기 힘든 옷들을 위한 박스가 있는데, 이 박스는 위의 기본 포장박스 두 개를 엎어 놓은것(복층박스)이다. 세 번째 박스단위는 비교적 큰 박스로 크기는 (120cm x120cmx170cm)이다. 50kg 이하의 평균 크기 박스를 위한 창고는 24개 층의 저장소가 있고, 총 20만 5백 개의 박스를 저장할 수 있다. 8개의 트랜스 레이터, 2개의 트랜스 버스, 4개의 저장타워가 있다.
복층높이 박스를 위한 창고는 (복층높이 라는 것은 옷걸이에 걸어야 하는 상품을 말함.) 13개층에 3만 6천 2백개의 복층높이 박스를 저장한다. 3개의 트랜스레이터, 1개의 트랜스 버서, 2개의 저장타워가 있다.
크기가 120x120x170인 팔레트로 운반되는 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창고는 3천 2백개의 복층높이 박스를 저장할 수 있다.
⑤자회사를 통한 복합운송체계 실현
베네통의 물류시스템에서 다른 기업과 크게 차이나는 특징을 든다면, 자회사인 Benlog사의 활용을 들 수 있다. Benlog사는 주로 베네통의 제품을 취급하는데 베네통은 이곳을 통해 기존에 분산화 된 수송업무를 중앙에서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그동안 너무 느리고 비효율적이었던 제 3자를 이용한 운송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베네통은 Benlog사를 통해 북부 이태리는 물론 북유럽에 이르기까지 철도 등을 이용한 복합운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유럽 내에서 혹은 국내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이지만, 해외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물류공동화를 통해서 물류비용을 줄이는데 노력을 하고 있다.
4.결론
지금까지 베네통의 발전과정과 베네통의 물류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베네통은 혁신적인 사고를 마케팅, 생산, 물류에 접목시킴으로서 30년 만에 전 세계 5000여 개의 소매점을 가진 거대한 세계적인 그룹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기업은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조금씩 개선 발전해 나가는 것이다. 혁신은 이러한 기업의 생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며, 혁신이 죽은 기업은 살아있는 기업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베네통 역시, 지금의 방향에서 안주한다면 도태되고 말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베네통의 혁신전략들은 앞으로 다른 혁신 전략들로 진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공급 사슬 관리(SCM) 와 전사적 자원 관리 (ERP) 정의 및 사례
확보관리 전반에 관하여(인력계획, 기업중심주의와 직무중심주의, 모집관리, 인력의 내부공급...
[수요와 수요 법칙][수요와 필요 차이][공급과 공급 법칙][공급 결정요인][케인즈 총수요관리...
SCM 공급사슬내의 CPFR 과 VMI- 재고관리
서비스경영 서비스 공급 및 수요관리
[기술변화][경영환경]기술변화와 경영환경, e-SCM(공급사슬경영), 기술변화와 일반이윤율, 기...
적기공급생산(JIT, 적기생산방식)의 배경, 경영철학, 적기공급생산(JIT, 적기생산방식)의 기...
노동시장의 불완전성 - 불완전 경쟁모형 (수요독점, 노동에 대한 수요의 증가, 노동공급의 통...
VMI 공급자 재고 관리(Vendor Managed Inventory)
[아동건강교육] <영양공급 전문계획> 영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영양공급에 대한 전문계획과 실...
[실패사례] 에릭슨,제대로 된 SCM 구축의 실패,JIT 선행조건,SCM (공급망 관리.pptx
[화상환자 영양관리] 화상환자의 영양공급, 화상 환자의 단계별 식이요법 치료방법
[수술환자의 영양관리] 수술 전후의 영양관리, 수술 후 영양공급 방법, 수술부위에 따른 식이...
공급 사슬 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