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삼성 테스코 홈플러스 개요
ⅰ. 삼성 테스코 홈플러스 소개
Ⅱ. TESCO의 한국시장 진출
ⅰ. 진입 Process
Ⅲ .재고관리란?
ⅰ. 재고관리
Ⅳ. 재고관리 시스템
Ⅴ. 재고 줄이는 방법
Ⅵ.앞으로의 나아가야 할 방향
Ⅶ. 결론
ⅰ. 삼성 테스코 홈플러스 소개
Ⅱ. TESCO의 한국시장 진출
ⅰ. 진입 Process
Ⅲ .재고관리란?
ⅰ. 재고관리
Ⅳ. 재고관리 시스템
Ⅴ. 재고 줄이는 방법
Ⅵ.앞으로의 나아가야 할 방향
Ⅶ. 결론
본문내용
록 조정)
- 재고조정 결과가 Stock Ledger에 반영된다(Stock Ledger상 기말재고금액 변동 이익율 변동)
- 재조조정 또는 폐기 입력시 입력 사유를 SCS에 필히 등록해야 함(Reason code 별도 공지)
Ⅴ. 재고 줄이는 방법
재고를 줄이기 위해서 판매촉진을 위한 프로모션을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섹션 (Section) 프로모션, 복수 수량 (Multi-Unit) 프로모션, 연동 (Threshold) 프로모션, 믹스 매치 (Mix&Match) 프로모션, 긴급 프로모션 (Emergency Promotion) 등과 같은 방법이 있다.
첫째로, 섹션 (Section) 프로모션은 섹션에 있는 모든 상품을 행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식탁용품 섹션 20% 가격행사 혹은 글라스 클래스 30% 가격행사 같은걸 들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섹션, 클래스, 서브클래스 가운데서 선택이 가능하다.
둘째로, 복수 수량 (Multi-Unit) 프로모션은 동일 아이템을 구매 수량에 따라 할인해 주는 행사이다. 예를 들면, 후라이팬 2개 구입 시에 500원 할인해 준다거나 콜라1.5L를 3개 구입 시에 20% 할인해주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상품명+행사내용(예, 커피잔 2개 구입하면 1개 무료)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조건(행사내용)을 준 경우만 해당이 된다. 즉 2개 구입시 500원 할인이라는 조건일 경우 3개 이상을 사더라도 500원 만 할인되는 것이다. 3개 이상인 경우도 할인을 줄려면 추가 조건(행사내용)을 제시해 줘야한다.
셋째로, 연동 (Threshold) 프로모션은 지정된 섹션/클래스/서브클래스의 구매 액에 따라 할인해 주는 행사이다. 예를 들면, 식탁용품 섹션에서 50000원 이상 구매 시에 3000원 할인해주거나 조리기구 클래스와 냄비 클래스에서 80000원 이상 구입 시에 20% 할인(80000원 20%만 할인 혜택)해주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즉, 섹션/클래스/서브클래스명+행사내용 (예, 식탁용품 섹션 20% 할인)이라 할 수 있다. 이 방법 또한 복수 수량 프로모션처럼 조건을 주어졌을 경우만 해당이 된다. 즉 50000원 이상 구입 시에 10% 할인해 줄 경우에 60000만원을 구입하더라도 50000원의 10% (5000원)만 할인이 된다.
넷째로, 믹스 매치 (Mix&Match) 프로모션은 구매(Buy) 조건이 만족되면 판매(Get)상품을 구매할 경우 판매(Get)상품을 할인해 주는 행사이다. 예를 들면 테팔 후라이팬 32CM를 사면 나무주걱을 사는 고객에게 나무 주걱 가격의 500원 할인해준다거나 만년필, 볼펜, 연필 가운데 2개 이상을 사면 지우개 또는 필통 구매 고객에게 지우개 또는 필통가격의 20% 할인해준다는 사례를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단순히 행사내용(예, 지우개,연필 할인행사)내 걸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을 사용 시에 구매 조건을 배수로 적용해 줘야 한다. 즉 테팔 후라이팬 32CM를 사면 나무주걱을 사는 고객에게 나무 주걱 가격의 500원 할인인 경우는 후라이팬을 2개를 사고 나무주걱을 2개를 사면 나무주걱 각각 500원씩 할인 (총할인액 1000원)되고, 후라이팬을 1개를 사고 나무주걱을 10개를 사면 나무주걱 1개만 할인(총할인액 500원)되는 걸로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긴급 프로모션(Emergency Promotion)은 당일에 기 진행중인 프로모션 상품의 가격을 변경하는 경우와 당일에 새로운 프로모션을 등록하여 시행하는 경우 두 가지로 나뉘는데 앞의 경우는 아이템, 아이템리스트, 섹션 프로모션과 같은 단순 가격 변경 프로모션만 해당한다. 예를 들어 한국도자기 부부 커피 잔이 현재 9800원에 행사 중인데 경쟁사에 대한 긴급 가격 대응으로 8800원으로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는 경쟁사가 현재 코카콜라1.5.L을 880원에 행사할 때 이에 대한 대응으로 코카콜라1.5.L을 긴급으로 행사 등록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품을 할인 해줌으로써 재고가 줄어들게 된다.
ⅵ. 앞으로의 나아가야 할 방향
지금까지의 내용을 통해서 홈플러스가 리텍사의 재고관리시스템의 도입을 통해서 향상된 재고관리를 향상시켜왔음을 볼 수 있다.
삼성테스코의 제고관리시스템의 위치를 본다면 PMS의 첫 번째 단계를 완료했고 두 번째 단계를 시작하려는 상황까지 왔다. 이 단계는 디시젼 서포트 시스템단계이다. 여기서 디시젼 서포트 시스템이 무엇인지를 살펴본다면 가격책정과 판촉 및 발주에 대한 의사결정을 돕는 작업으로 과거에는 플래닝, 가격결정, 혹은 프로모션 카테고리 매니지먼트라고 불렸던 것이다. 아울러 계절성 상품을 매장마다 할당하거나 상품의 구색맞춤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을 돕게 되고, 또한 테스코 전반에 대한 상품 군 책정, 재정 계획 등에 대한 의사결정까지도 지원받게 된다. 그런데 아직 이와 같은 방식은 한국에서는 실행되지 않은 프로세스인만큼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외국의 경우를 살펴보자. 외국은 유통업계들은 ERP시스템을 바탕으로 정확한 마진과 재고파악을 통해서 과학적인 유통을 실현하고 있다. ERP시스템에 의한 트랜젝션의 정확한 파악은 마진과 재고의 정확한 관리로 매출을 증대시키며, 시스템에 의한 의사결정 지원으로 리스크를 줄인다. 또한 트랜젝션 데이터를 기초로 한 소비자의 성향 파악은 판촉활동의 근거로 활용되고 외부 제조업체와의 협력을 위한 데이터로도 활용된다.
홈플러스도 기존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외국의 것을 본받아서 계속적으로 개발을 해 나가야 한다고 본다.
ⅶ결론
재고관리가 무엇이며 삼성테스코의 홈플러스는 어떤 재고관리시스템을 통해서 상품을 처리했는지를 알 수 있었다. 특히 PMS라는 새로운 재고관리시스템을 살펴봄으로써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인 수요와 공급분석이 이루어져야지 치열한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위에서와 같은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고 그런 데이터베이스를 얻기 위한 방편으로 삼성테스코가 PMS라는 시스템을 도입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 재고조정 결과가 Stock Ledger에 반영된다(Stock Ledger상 기말재고금액 변동 이익율 변동)
- 재조조정 또는 폐기 입력시 입력 사유를 SCS에 필히 등록해야 함(Reason code 별도 공지)
Ⅴ. 재고 줄이는 방법
재고를 줄이기 위해서 판매촉진을 위한 프로모션을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섹션 (Section) 프로모션, 복수 수량 (Multi-Unit) 프로모션, 연동 (Threshold) 프로모션, 믹스 매치 (Mix&Match) 프로모션, 긴급 프로모션 (Emergency Promotion) 등과 같은 방법이 있다.
첫째로, 섹션 (Section) 프로모션은 섹션에 있는 모든 상품을 행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식탁용품 섹션 20% 가격행사 혹은 글라스 클래스 30% 가격행사 같은걸 들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섹션, 클래스, 서브클래스 가운데서 선택이 가능하다.
둘째로, 복수 수량 (Multi-Unit) 프로모션은 동일 아이템을 구매 수량에 따라 할인해 주는 행사이다. 예를 들면, 후라이팬 2개 구입 시에 500원 할인해 준다거나 콜라1.5L를 3개 구입 시에 20% 할인해주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상품명+행사내용(예, 커피잔 2개 구입하면 1개 무료)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조건(행사내용)을 준 경우만 해당이 된다. 즉 2개 구입시 500원 할인이라는 조건일 경우 3개 이상을 사더라도 500원 만 할인되는 것이다. 3개 이상인 경우도 할인을 줄려면 추가 조건(행사내용)을 제시해 줘야한다.
셋째로, 연동 (Threshold) 프로모션은 지정된 섹션/클래스/서브클래스의 구매 액에 따라 할인해 주는 행사이다. 예를 들면, 식탁용품 섹션에서 50000원 이상 구매 시에 3000원 할인해주거나 조리기구 클래스와 냄비 클래스에서 80000원 이상 구입 시에 20% 할인(80000원 20%만 할인 혜택)해주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즉, 섹션/클래스/서브클래스명+행사내용 (예, 식탁용품 섹션 20% 할인)이라 할 수 있다. 이 방법 또한 복수 수량 프로모션처럼 조건을 주어졌을 경우만 해당이 된다. 즉 50000원 이상 구입 시에 10% 할인해 줄 경우에 60000만원을 구입하더라도 50000원의 10% (5000원)만 할인이 된다.
넷째로, 믹스 매치 (Mix&Match) 프로모션은 구매(Buy) 조건이 만족되면 판매(Get)상품을 구매할 경우 판매(Get)상품을 할인해 주는 행사이다. 예를 들면 테팔 후라이팬 32CM를 사면 나무주걱을 사는 고객에게 나무 주걱 가격의 500원 할인해준다거나 만년필, 볼펜, 연필 가운데 2개 이상을 사면 지우개 또는 필통 구매 고객에게 지우개 또는 필통가격의 20% 할인해준다는 사례를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단순히 행사내용(예, 지우개,연필 할인행사)내 걸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을 사용 시에 구매 조건을 배수로 적용해 줘야 한다. 즉 테팔 후라이팬 32CM를 사면 나무주걱을 사는 고객에게 나무 주걱 가격의 500원 할인인 경우는 후라이팬을 2개를 사고 나무주걱을 2개를 사면 나무주걱 각각 500원씩 할인 (총할인액 1000원)되고, 후라이팬을 1개를 사고 나무주걱을 10개를 사면 나무주걱 1개만 할인(총할인액 500원)되는 걸로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긴급 프로모션(Emergency Promotion)은 당일에 기 진행중인 프로모션 상품의 가격을 변경하는 경우와 당일에 새로운 프로모션을 등록하여 시행하는 경우 두 가지로 나뉘는데 앞의 경우는 아이템, 아이템리스트, 섹션 프로모션과 같은 단순 가격 변경 프로모션만 해당한다. 예를 들어 한국도자기 부부 커피 잔이 현재 9800원에 행사 중인데 경쟁사에 대한 긴급 가격 대응으로 8800원으로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는 경쟁사가 현재 코카콜라1.5.L을 880원에 행사할 때 이에 대한 대응으로 코카콜라1.5.L을 긴급으로 행사 등록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품을 할인 해줌으로써 재고가 줄어들게 된다.
ⅵ. 앞으로의 나아가야 할 방향
지금까지의 내용을 통해서 홈플러스가 리텍사의 재고관리시스템의 도입을 통해서 향상된 재고관리를 향상시켜왔음을 볼 수 있다.
삼성테스코의 제고관리시스템의 위치를 본다면 PMS의 첫 번째 단계를 완료했고 두 번째 단계를 시작하려는 상황까지 왔다. 이 단계는 디시젼 서포트 시스템단계이다. 여기서 디시젼 서포트 시스템이 무엇인지를 살펴본다면 가격책정과 판촉 및 발주에 대한 의사결정을 돕는 작업으로 과거에는 플래닝, 가격결정, 혹은 프로모션 카테고리 매니지먼트라고 불렸던 것이다. 아울러 계절성 상품을 매장마다 할당하거나 상품의 구색맞춤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을 돕게 되고, 또한 테스코 전반에 대한 상품 군 책정, 재정 계획 등에 대한 의사결정까지도 지원받게 된다. 그런데 아직 이와 같은 방식은 한국에서는 실행되지 않은 프로세스인만큼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외국의 경우를 살펴보자. 외국은 유통업계들은 ERP시스템을 바탕으로 정확한 마진과 재고파악을 통해서 과학적인 유통을 실현하고 있다. ERP시스템에 의한 트랜젝션의 정확한 파악은 마진과 재고의 정확한 관리로 매출을 증대시키며, 시스템에 의한 의사결정 지원으로 리스크를 줄인다. 또한 트랜젝션 데이터를 기초로 한 소비자의 성향 파악은 판촉활동의 근거로 활용되고 외부 제조업체와의 협력을 위한 데이터로도 활용된다.
홈플러스도 기존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외국의 것을 본받아서 계속적으로 개발을 해 나가야 한다고 본다.
ⅶ결론
재고관리가 무엇이며 삼성테스코의 홈플러스는 어떤 재고관리시스템을 통해서 상품을 처리했는지를 알 수 있었다. 특히 PMS라는 새로운 재고관리시스템을 살펴봄으로써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인 수요와 공급분석이 이루어져야지 치열한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위에서와 같은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고 그런 데이터베이스를 얻기 위한 방편으로 삼성테스코가 PMS라는 시스템을 도입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추천자료
생산관리(3장)자재관리.hwp
물류관리기업사례분석-<메디테크>
[인적자원관리]동아제약 인사관리 사례분석
[생산관리] 생산관리 시험대비 총정리
[물류관리] 물류관리론
물류관리론 - 공급사슬관리(SCM)에 관한 주요 문제
[재무관리]재무관리와 현대사회(자본주의, 시장경제, 현대기업과 자본)의 관계
[원가계산, 원가관리시스템, 개별원가계산]원가계산의 정의와 내용, 원가계산과 원가관리시스...
[물적 유통][유통][물류][물적 유통 개념][물적 유통 환경][물적 유통과 물류관리시스템][물...
[유통기구][유통][유통기구 정의][유통기구 소매상][유통기구 도매상][유통기구 물류관리시스...
[물적 유통][유통][물류][물적 유통 정의][물적 유통 기원][물적 유통 발전][물적 유통 물류...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의 자동화, 정보화,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 경기국면, 생산관리,...
[생산관리]ERP(전사적자원관리)의 (1)구조, (2)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시스템의 선...
물류distribution관리와 물류시스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