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가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재가노인복지에 관한 이론적배경

Ⅲ. 재가복지서비스의 실태와 문제점

Ⅳ.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

Ⅴ.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프로그램도 자치구마다 다르게 시행되고 또한 타 기관과의 유사한 프로그램 중복으로 이용하는 노인들에게는 시간낭비를 초래하고 있으며, 다양하고 질 높은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공급되지 못하고 있어 재가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을 하나의 기관에서 종합적으로 실시하여 재가노인복지 욕구에 충족되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Ⅴ. 결론
현재 우리나라 사회구조는 과거 어른 중심의 전통적인 사회와는 달리 정부의 성장위주 정책과 더불어 산업화·도시화의 경향, 취업구조의 변화, 여권신장, 부양의식의 변화, 아동존중, 개인의 자유확대 및 평등, 핵가족화 등 사회 전반적으로 급속히 변화됨에 따라 전통적 부양의식의 감퇴로 도시지역이나 농어촌지역 모두 노인부부 또는 노인혼자 사는 단독 세대가 점차 증가일로에 있다.
이러한 급속한 사회변화와 함께 우리나라도 사회복지서비스의 발달과 더불어 재가노인복지의 실시를 필연적인 과정으로 받아 들여야 하는 단계에 들어섰다. 즉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연속적이며 조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가보호가 시설보호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는 이유만으로 재가보호를 선택하는 정책이어서는 점점 증가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욕구에 좋은 대처방안이 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복지선진국가들이 일찍이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여 노인문제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이에 따라 노인복지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국가적인 배려가 크게 있어 왔던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그동안 전통적 미풍양속이 경로효친 사상의 영향으로 노인의 문제는 가족의 문제로서 가정에서 치유되어 왔으며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지는 아니 하였다. 그러나 근년에 산업화, 도시화 및 핵가족화가 심화되고 의학의 발달 및 식생활의 개선에 따른 평균수명의연장 및 노인인구의 증가로 우리나라도 점차 고령화사회로 진입이 전망됨에 따라 가족의 노인부양 기능이 약화되고 노인의 역할이 상실되어 노인문제가 커다란 사회문제로 대두되게 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최근의 재가노인복지사업에 대한 관심과 고려는 바람직한 현상이라 하겠다. 재가노인복지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노인이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서 가족이나 이웃과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다.
따라서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의 경우 가정봉사원 서비스의 기본방향을 설정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해야 하는 점의 하나는 바로 서비스 대상의 선정문제라고 하겠다. 가정봉사원의 대상노인은 질병, 장애 등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의 영위에 지장을 받는 노인 중에서 가족에 의한 부양이 곤란하거나, 가족의 부양기능의 보완이 필요한 저소득 층의 노인을 우선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전체 노인에게 확대해서 시설을 설치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주간보호서비스를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단기보호사업은 홍보의 부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인식이 부족함에 따라 효과가 적은 편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홍보활동과 노력이 필요하며,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예산을 확보해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복지선진국인 스웨덴의 경우에는 재가보호에 있어 비공식적 부양제공자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1989년부터 가족부양제공자가 부모나 배우자의 부양제공을 위해 30일까지 유급휴가를 가질 수 있게 하였으며, 이에 따른 부양제공자 급여는 사회보험제도에서 상환해주는 제도를 채택해오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시설보호보다는 전통적인 가족보호를 선호하는 노인들의 의식을 감안하여 가족보호를 유지하고 촉진하기 위한 일종의 가족지원정책을 시급히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참고문헌 >
김영배. (2000) 「노인복지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김종호. (1999)「우리 나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노인복지법 제38조 2항.
문 숙. (2000)「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보건복지부. (1999) 노인복지사업지침.
서울특별시 중부노인종합복지관. (1990) 「가정봉사원 파견사업효과 연구」.
이가옥 외. (1991) 「가정봉사원제도의 정착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가옥 외. (1994) 「아시아지역의 노인복지정책 및 노인생활실태 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인숙. (1989) "지역사회 가정간호의 실행모형개발을 위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조유향·윤숙현. (1998) 「노인에 대한 보건의료의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한림대학교 사회의학연구소.
최성재. (1997) 「재가노인복지의 정부시책」. 홍익제.
최성재. "노인복지의 사회적 서비스 장기정책방향". 한국노인복지회(편)
최해경. (1995) "노인의 시설보호와 재가보호. "남세진(편), 「한국사회복지의 선택」. 나남.
한국노인복지회. (1990) "자원봉사자를 통한 가정봉사원 파견서비스 평가조사". 한국노인 복지회(편). 노인복지연구: 재가노인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서울: 홍익제.
Montgomery, Rhonda J.V. & Borgatta, Edgar F., (1989) "The Effects of Alternative Support Strategies on Family Caregiving,"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29(4).
Kemper, Peter et al., (1986) The Evaluation of the National Long Term Care Demonstration: Final Report,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Kane, R.L., & Kane, R.A., (1990) "Health Care for Older people: Organizational and Policy lssues, " in R. H. Binstock and LK. George(eds.),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NY.:Academy Press Inc.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3.02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8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