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서 론
1. 브랜드의 정의
2. 브랜드의 중요성
II. 본 론
1. 기업의 브랜드 전략의 수립의 단계와 그 중요성
1.1 기업철학과 장기적 비전수립 : 기업브랜드의 중요성
1.2 기업의 브랜드 포트폴리오 전략수립
2. 국제기업의 브랜드전략과 사례연구
2.1 네슬레의 브랜드 전략 사례연구
2.2 로만손의브랜드 전략 사례연구
3. 브랜드, 국력평가 기준이 되다
III. 결 론
참고문헌
1. 브랜드의 정의
2. 브랜드의 중요성
II. 본 론
1. 기업의 브랜드 전략의 수립의 단계와 그 중요성
1.1 기업철학과 장기적 비전수립 : 기업브랜드의 중요성
1.2 기업의 브랜드 포트폴리오 전략수립
2. 국제기업의 브랜드전략과 사례연구
2.1 네슬레의 브랜드 전략 사례연구
2.2 로만손의브랜드 전략 사례연구
3. 브랜드, 국력평가 기준이 되다
III.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외쳐댔던 ‘Korea’ 브랜드는 공허한 원점에 서게 될지도 모른다. ‘Korea'브랜드 경영 목표와 전략이 전문가 집단에 의해서 연구되어야 하고 전 국민적 사명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기업브랜드나 제품, 서비스 브랜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버버리 코트가 최초의 방수천(water repellent)이 였기 때문, 나이키 운동화가 최초의 공기창(air sole)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소니가 초기에 트랜지스터로 집중 선택했기 때문에 오늘날 위대한 글로벌 브랜드가 된 사례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III. 結 論
요즘 국내에서도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과거 한 사업군에서 독과점적 지위를 누리던 우리 기업시장도 개방되어 국내에서 다수의 경쟁자들 이 출현하고 다국적기업의 국내진출이 가속화되면서 강력한 브랜드파워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기업 환경이 복잡해지면서 기업에서 관리하는 브랜드의 수(數)도 시장에서의 세분화된 고객층과 경쟁자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최근에는 단순히 브랜드를 탄생시키고 인지도를 높이는 일련의 활동보다는 기업내의 다양한 브랜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시너지를 높이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기업브랜드, 대표브랜드, 개별브랜드, 하위브랜드 등 다양한 형태의 브랜드가 등장하고 있으며, 시장에서의 브랜드 역할에 따라 그 관계는 훨씬 복잡해지고 있다. 다수의 브랜드 간에 존재하고 있는 관계를 소비자에게 명확히 이해시키는 것은 전적으로 기업의 몫이 된 것이다.
사실 현재의 브랜드 위상을 진단하고 평가하여 미래를 위한 전략을 만드는 것도 필요하다. 그렇지만 단순히 브랜드를 진단하는 것으로 그칠 것 이 아니라 브랜드 체계(Hierarchy)를 확립하고 소비자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알릴 것이냐가 더 중요한 문제가 된다.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다국적기업들은 브랜드를 키우고 브랜드체계를 구축하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코카콜라, 소니, 마이크로소프트, P&G 등 세계적인 브랜드는 브랜드 전담조직을 설치하여 브랜드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형편이다.
나이키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제품을 생산하지 않고 동남아 등지로 아웃소싱을 하고 있지만 브랜드만은 본사 브랜드전담조직에서 전 세계적으로 브랜드 사용에 대한 동일한 지침을 통해 브랜드를 관리하고 있다. 소니 경우는 오래 전부터 브랜드 관리조직이 최고경영자와 바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전세계 브랜드관리를 총괄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현황은 이와는 사뭇 다르다. 대부분 기업에서 브랜드관리를 위한 전담조직이 없는 곳도 많지만, 있다고 하더라도 업무범위나 실제 활동에서는 문제점이 많이 지적된다.
대부분 기업이 브랜드관리조직을 홍보실이나 광고팀에 두고 대외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면서 부수적으로 브랜드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아니면 마케팅팀이나 상품기획팀에서 실제 제품이나 판매전략을 수립 하면서 브랜드를 동시에 관리하고 있는 기업도 상당수다. 그러나 기업 내 여러 사업본부에서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을 때 대부분 전체적으로 브랜드 체계를 고려하기보다는 해당 제품의 판매를 위한 임시방편적인 전략에 치중하여 브랜드가 관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효과적으로 브랜드를 관리하고 브랜드파워를 높여나가기 위해서는 우선 이러한 브랜드관리에 대한 현재의 관행들을 과감히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브랜드관리 전담조직을 별도로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각 제품의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않고 전반적인 브랜드전략을 고려하여 커뮤니케이션 비용도 할당 배분하고 브랜드의 오남용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조사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현재 브랜드 위치를 진단하고 평가함은 물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해 나가야 한다.
둘째, 브랜드관리 전담조직을 최고경영자 직속기구로 두어야 한다. 강력한 브랜드관리만이 강력한 브랜드를 만들 수 있다. 이제 브랜드관리의 총책임자는 기업의 최고경영자가 되어야 한다. 일관되지 못한 브랜드정책은 지금까지의 브랜드투자비용을 함몰비용(sunk cost)으로 만들어 버릴 수도 있다. 브랜드도 투자다. 투자는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중장기적인 브랜드관리는 최고경영자의 의지가 그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브랜드관리는 현재보다 더 정교함을 필요로 한다.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거나 신규사업에 진출하고자 할 때 브랜드확장의 문제도 발생하기도 한다. 그만큼 시장이 복잡해지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브랜드는 소비자의 머릿 속에 강한 이미지로 남을 때 강력한 브랜드가 된다. 루이뷔통이나 샤넬 등 세계적인 브랜드는 불황기에도 여전히 빛을 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브랜드는 경쟁 제품보다 더 높은 가격을 받아 이윤을 극대화하고 있기도 하다.
결국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브랜드 관리다. 브랜드관리를 잘 하기 위해서는 원칙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원칙이 흔들리면 브랜드는 크게 성장할 수 없다. 그 원칙을 만드는 시작은 브랜드 관리 전담 조직을 만드는 일이다.
하지만 우리 기업이 염두에 둘 점은 브랜드관리 전담조직이 있다고 모든 일이 다 풀리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그 조직에 브랜드관리에 관한한 권한을 주고 전사적으로 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계획하고 실행하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1) 유필화, 「현대마케팅론, 박영사」, 1990, pp1242~1250
(2) 「세계경제대전, 조선일보」, 1992.4.1
(3) 유동길, 「마케팅 입문, 한국경제신문사」, EM문고 001, 1986, pp73-76
(4) 한창훈, 「브랜드 자산 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2000.7, pp229-243
(5) 김종영, 「국제마케팅전략연구, 경대논문집」, 1982.5, pp82-86
(6) 한의영, 「국제마케팅론, 다산출판사」, 1998, pp434-437
(7) 안광호 외 2명, 「전략적 브랜드 관리, 학현사」, 1999
(8) 총체적 고객만족의 전문 정보 채널 10월호
(9)
/ - 한국네슬레공식홈페이지
(10)
/ - 로만손공식홈페이지
기업브랜드나 제품, 서비스 브랜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버버리 코트가 최초의 방수천(water repellent)이 였기 때문, 나이키 운동화가 최초의 공기창(air sole)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소니가 초기에 트랜지스터로 집중 선택했기 때문에 오늘날 위대한 글로벌 브랜드가 된 사례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III. 結 論
요즘 국내에서도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과거 한 사업군에서 독과점적 지위를 누리던 우리 기업시장도 개방되어 국내에서 다수의 경쟁자들 이 출현하고 다국적기업의 국내진출이 가속화되면서 강력한 브랜드파워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기업 환경이 복잡해지면서 기업에서 관리하는 브랜드의 수(數)도 시장에서의 세분화된 고객층과 경쟁자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최근에는 단순히 브랜드를 탄생시키고 인지도를 높이는 일련의 활동보다는 기업내의 다양한 브랜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시너지를 높이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기업브랜드, 대표브랜드, 개별브랜드, 하위브랜드 등 다양한 형태의 브랜드가 등장하고 있으며, 시장에서의 브랜드 역할에 따라 그 관계는 훨씬 복잡해지고 있다. 다수의 브랜드 간에 존재하고 있는 관계를 소비자에게 명확히 이해시키는 것은 전적으로 기업의 몫이 된 것이다.
사실 현재의 브랜드 위상을 진단하고 평가하여 미래를 위한 전략을 만드는 것도 필요하다. 그렇지만 단순히 브랜드를 진단하는 것으로 그칠 것 이 아니라 브랜드 체계(Hierarchy)를 확립하고 소비자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알릴 것이냐가 더 중요한 문제가 된다.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다국적기업들은 브랜드를 키우고 브랜드체계를 구축하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코카콜라, 소니, 마이크로소프트, P&G 등 세계적인 브랜드는 브랜드 전담조직을 설치하여 브랜드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형편이다.
나이키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제품을 생산하지 않고 동남아 등지로 아웃소싱을 하고 있지만 브랜드만은 본사 브랜드전담조직에서 전 세계적으로 브랜드 사용에 대한 동일한 지침을 통해 브랜드를 관리하고 있다. 소니 경우는 오래 전부터 브랜드 관리조직이 최고경영자와 바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전세계 브랜드관리를 총괄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현황은 이와는 사뭇 다르다. 대부분 기업에서 브랜드관리를 위한 전담조직이 없는 곳도 많지만, 있다고 하더라도 업무범위나 실제 활동에서는 문제점이 많이 지적된다.
대부분 기업이 브랜드관리조직을 홍보실이나 광고팀에 두고 대외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면서 부수적으로 브랜드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아니면 마케팅팀이나 상품기획팀에서 실제 제품이나 판매전략을 수립 하면서 브랜드를 동시에 관리하고 있는 기업도 상당수다. 그러나 기업 내 여러 사업본부에서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을 때 대부분 전체적으로 브랜드 체계를 고려하기보다는 해당 제품의 판매를 위한 임시방편적인 전략에 치중하여 브랜드가 관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효과적으로 브랜드를 관리하고 브랜드파워를 높여나가기 위해서는 우선 이러한 브랜드관리에 대한 현재의 관행들을 과감히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브랜드관리 전담조직을 별도로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각 제품의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않고 전반적인 브랜드전략을 고려하여 커뮤니케이션 비용도 할당 배분하고 브랜드의 오남용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조사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현재 브랜드 위치를 진단하고 평가함은 물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해 나가야 한다.
둘째, 브랜드관리 전담조직을 최고경영자 직속기구로 두어야 한다. 강력한 브랜드관리만이 강력한 브랜드를 만들 수 있다. 이제 브랜드관리의 총책임자는 기업의 최고경영자가 되어야 한다. 일관되지 못한 브랜드정책은 지금까지의 브랜드투자비용을 함몰비용(sunk cost)으로 만들어 버릴 수도 있다. 브랜드도 투자다. 투자는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중장기적인 브랜드관리는 최고경영자의 의지가 그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브랜드관리는 현재보다 더 정교함을 필요로 한다.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거나 신규사업에 진출하고자 할 때 브랜드확장의 문제도 발생하기도 한다. 그만큼 시장이 복잡해지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브랜드는 소비자의 머릿 속에 강한 이미지로 남을 때 강력한 브랜드가 된다. 루이뷔통이나 샤넬 등 세계적인 브랜드는 불황기에도 여전히 빛을 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브랜드는 경쟁 제품보다 더 높은 가격을 받아 이윤을 극대화하고 있기도 하다.
결국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브랜드 관리다. 브랜드관리를 잘 하기 위해서는 원칙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원칙이 흔들리면 브랜드는 크게 성장할 수 없다. 그 원칙을 만드는 시작은 브랜드 관리 전담 조직을 만드는 일이다.
하지만 우리 기업이 염두에 둘 점은 브랜드관리 전담조직이 있다고 모든 일이 다 풀리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그 조직에 브랜드관리에 관한한 권한을 주고 전사적으로 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계획하고 실행하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1) 유필화, 「현대마케팅론, 박영사」, 1990, pp1242~1250
(2) 「세계경제대전, 조선일보」, 1992.4.1
(3) 유동길, 「마케팅 입문, 한국경제신문사」, EM문고 001, 1986, pp73-76
(4) 한창훈, 「브랜드 자산 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2000.7, pp229-243
(5) 김종영, 「국제마케팅전략연구, 경대논문집」, 1982.5, pp82-86
(6) 한의영, 「국제마케팅론, 다산출판사」, 1998, pp434-437
(7) 안광호 외 2명, 「전략적 브랜드 관리, 학현사」, 1999
(8) 총체적 고객만족의 전문 정보 채널 10월호
(9)
/ - 한국네슬레공식홈페이지
(10)
/ - 로만손공식홈페이지
추천자료
[호텔마케팅전략분석] 경주교육문화회관을 중심으로-호텔마케팅, 호텔마케팅전략, 호텔마케팅...
싸이월드(CYWORLD)의 마케팅전략과 성공요인분석
제일모직 빈폴(Bean Pole)의 마케팅전략
강자와 싸워 이기는 아이리버(iriver)의 마케팅전략
[유통관리론]농협 '하나로마트' 마케팅전략 분석 및 유통 경쟁력강화를 위한 방안모색(A+리포트)
농심 신(辛)라면의 중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
[마케팅][광고][판매촉진][마케팅의 정의][마케팅의 종류][마케팅의 성공 전략][마케팅의 전...
중동시장마케팅전략,국제마케팅전략,중동문화마케팅,중동마케팅전략
오리온초코파이,오리온중국진출,초코파이중국진출,오이언,초코파이마케팅전략
감성마케팅, 감성마케팅사례, 감성마케팅성공전략, 스타벅스감성전략, 스타벅스감성마케팅, ...
패션의 왕국 LVMH - Louis Vuitton Moet Hennessy - 루이비통마케팅전략,분석
올레KT 마케팅 전략분석과 KT의 새로운도약위한 새로운 마케팅전략제안과 KT의 미래전망 - 거...
[중소기업경영론] 주위의 중소기업을 하나 선정, 그곳의 마케팅전략을 조사하고 평가하라, ...
커피믹스 시장 현황 & 네스카페 신선한모카의 마케팅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