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요 로 감 염 >
1.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2.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의 분류
3. 감염경로
4. 요로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5.인공도뇨시 감염관리
6.남성 여성 카테터 교환법,방광세척, 소변채취
7.요로감염의 예방
#참고 문헌 및 자료
1.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2.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의 분류
3. 감염경로
4. 요로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5.인공도뇨시 감염관리
6.남성 여성 카테터 교환법,방광세척, 소변채취
7.요로감염의 예방
#참고 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위 살이 접힌 부분 바로 아래에 있고, 요도구는 클라이토리스와 질 사이에 있다.
그림) 클라이토리스, 요도구, 음순, 질, 항문
28. 오른손으로 카테터를 집는다.
29. 카테터를 요도에 삽입한다. 30. 카테터가 2.5~5 cm 정도 삽입됐을 때 괄약근이 경련하여 삽입이 힘들 경우가 있다. 괄약근이 이완할 때까지 수초간 기다렸다가 재삽입한다. 무리하게 삽입하면 출혈이 발생한다. 카테터가 삽입되지 않으면 의사에게 알린다.
31. 10.2cm 정도 카테터를 삽입한다.
32. 왼손으로 카테터를 가만히 쥐고 있는다.
33. 오른손으로 주사기를 잡고 카테터 풍선 밸브에 물을 주입한다.
34. 물을 모두 주입한다. 항상 10cc를 준비하여 모두 주입한다. 5cc는 풍선으로 통하는 채널을 채우고 나머지 5cc는 풍선을 채우게 된다.
35. 풍선이 방광 경부에 닿을 때 까지 카테터를 잡아당긴다.
36. 베타딘 면봉으로 카테터 끝과 레그 백이나 드레이니지 백의 연결부위를 닦고 카테터와 백을 연결한다.
37. 사용한 도구를 버린다.
!! 주의 : 카테터 삽입 후 30분이 지나도 소변이 배출되지 않으면 잘못 삽입된 것이므로 빼내고 새 카테터를 삽입한다
다. 요로의 밀폐시스템 유지 및 간호
① 오염된 표면에 배액주머니 마개가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② 검사물을 얻거나 소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연결 부위에서 배액체계를 분리시키지 않는다.
③ 배액관이 분리 됐을 때 도뇨관이나 배액관의 끝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분리하기 전과 연결하기 전에 소독솜으로 닦는다.
④ 교차 감염을 막기 위해 소변 측정용기는 환자 개인마다 사용한다.
⑤ 소변 배액관이 꼬이거나 방광으로 소변이 역류되지 않도록 한다.
ⓐ 방광 높이 위로 배액 주머니를 올리지 않는다.
ⓑ 대상자를 침상이나 이동 침상으로 옮기려 할 때 배액 주머니를 올려야 할 필요가 있으면
배액관을 잠근다.
ⓒ 침대 옆에 매어 달기 위해 배액관에 큰 고리를 만들지 않는다.
ⓓ운동이나 기동을 시작하기 전에 배액관에 있는 모든 소변을 배액주머니 속으로 배액시키고 배액주머니 속의 소변도 비운다.
⑥ 방광 훈련을 제외하고는 배액관을 장시간 잠궈 놓거나 꼬이지 않도록 한다,
⑦ 적어도 매 8시간마다 배액주머니를 비워준다,
⑧ 의사와 협의 후 가능한 한 빨리 도뇨관을 제거하도록 한다.
라. 방광세척
①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인 방광의 세척은 출혈로 인한 폐쇄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 이외는 하지않도록 한다.
② 카테터의 막힘을 예방하거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지속적인 세척은 하지 않는다.
③ 카테터가 자주 막혀서 세척을 필요로 할 때에는 카테터와 소변백 모두를 바꾸도록 한다.
④ 세척용 도뇨관(3-way foley catheter)을 사용시에는 세척이 가능하다.
⑤ 일반적인 유치도뇨관(2-way foley catheter)의 경우 세척을 위하여 카테터와 소변백의 연결부위를 분리시키기 전에 10% 베타딘 솜을 이용하여 연결부위를 소독하도록 한다.
⑥ 멸균된 50 cc 주사기(또는 스포이드)와 멸균세척액을 사용하여 무균술을 준수하여 세척한다.
마. 소변검체 채취시 주의점
(1)적은 양의 검체(20cc이하)가 필요한 경우는 도뇨관 고무(latex) 부위를 알코올로 닦은 후 주사기를 사용하여 무균적으로 소변을 채취한 후 검사의뢰를하며 정규적인 배양검사는 필요없다. sampling port가 있는 경우는 sampling port에서 채취하도록 한다.
(2)많은 양의 소변(24시간 소변등)이 필요한 경우는 소변백의 소변을 무균적으로 받아 특수용기에 보관하였다 가 검사를 의뢰한다.
(3)소변 채취 후 실온에서 2시간 가량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균의 증식이 10"CFU/ml까지 증식되어 요로감염 이 있는 것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으므로 빠른 시간내 검사실로 보내거나 냉장보관해야 한다.
(4)정체 도뇨를 하는 환자에서 정규적인 요배양검사는 하지 않고, 감염이 의심될 경우만 배양검사를 한다.
(5)인공도뇨관을 잘라 배양검사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7.요로감염의 예방
*유치카테터는 필요 시에만 삽입하고 가능한 한 빨리 제거한다.
*유치도뇨관 삽입시 카테터부터 소변백 끝까지 전체가 폐쇄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카테터 삽입 시 무균술을 지키고 카테터 조작이 필요한 경우는 조작 전,후에 반드시 손을 씻는다.
*카테터의 세척은 도뇨관이 폐쇄될 우려가 있는 대상자만 선별적으로 실시하되, 감염예방의 목적으로 실시하지 않는다.
*방광으로 소변이 역류되는 것을 막기위해 소변백은 항상 방광위치보다 낮게 유지되어야 하나 바닥에 닿아서는 안된다.
*카테터는 움직임과 요도의 외상을 막기위해 잘 고정시켜야 한다.
*소변검사물 채취 시 적은 양(20cc)의 소변만 필요한 경우에는 카테터의 끝부분을 소독한 후 멸균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무균적으로 흡인하여 채취한다. 많은 양의 소변이 필요한 경우는 소변백에서 무균적으로 채취한다.
*소변백은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이름이 표시된 개인용 소변기를 이용하여 비워줘야 하며, 비우고 난 후에는 배뇨관을 소독제로 닦은 후 잠근다.
*평상시 대변을 앞쪽에서 뒤쪽으로 닦아줘야 한다. 뒤에서 앞으로 닦으면 대변의 수많은 균들이 요로감염을 더 일으킬 수 있다.
*오랜 시간 욕조에 들어앉아 있거나 거품욕을 삼가고, 소변을 참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또 어린 아이들에게는 소변을 볼 때 방광을 끝까지 비우는 완전 배뇨 습관을 길러줘야 한다.
*요로감염시 금욕을 하거나 성교 중 콘돔을 사용해야 한다. 급성 요도염의 경우 성교 전파성이 많으므로 불결한 성접촉을 피하는 것이 최선이며, 성 상대자의 치료 및 콘돔의 사용이 예방으로 추천된다.
#참고 문헌 및 자료
http://my.netian.com/~ynasoon/health2.html
http://Kaicn.org/hid-uti.html (대한 감염 관리 간호사회)
http://kmcor.org/hai.html(경희의료원)
http://familycare.pe.kr/study/infect/UTI.html
간호학회지 제25권 제1호
현문사 제3판 성인간호학 (상) 전시자외
그림) 클라이토리스, 요도구, 음순, 질, 항문
28. 오른손으로 카테터를 집는다.
29. 카테터를 요도에 삽입한다. 30. 카테터가 2.5~5 cm 정도 삽입됐을 때 괄약근이 경련하여 삽입이 힘들 경우가 있다. 괄약근이 이완할 때까지 수초간 기다렸다가 재삽입한다. 무리하게 삽입하면 출혈이 발생한다. 카테터가 삽입되지 않으면 의사에게 알린다.
31. 10.2cm 정도 카테터를 삽입한다.
32. 왼손으로 카테터를 가만히 쥐고 있는다.
33. 오른손으로 주사기를 잡고 카테터 풍선 밸브에 물을 주입한다.
34. 물을 모두 주입한다. 항상 10cc를 준비하여 모두 주입한다. 5cc는 풍선으로 통하는 채널을 채우고 나머지 5cc는 풍선을 채우게 된다.
35. 풍선이 방광 경부에 닿을 때 까지 카테터를 잡아당긴다.
36. 베타딘 면봉으로 카테터 끝과 레그 백이나 드레이니지 백의 연결부위를 닦고 카테터와 백을 연결한다.
37. 사용한 도구를 버린다.
!! 주의 : 카테터 삽입 후 30분이 지나도 소변이 배출되지 않으면 잘못 삽입된 것이므로 빼내고 새 카테터를 삽입한다
다. 요로의 밀폐시스템 유지 및 간호
① 오염된 표면에 배액주머니 마개가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② 검사물을 얻거나 소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연결 부위에서 배액체계를 분리시키지 않는다.
③ 배액관이 분리 됐을 때 도뇨관이나 배액관의 끝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분리하기 전과 연결하기 전에 소독솜으로 닦는다.
④ 교차 감염을 막기 위해 소변 측정용기는 환자 개인마다 사용한다.
⑤ 소변 배액관이 꼬이거나 방광으로 소변이 역류되지 않도록 한다.
ⓐ 방광 높이 위로 배액 주머니를 올리지 않는다.
ⓑ 대상자를 침상이나 이동 침상으로 옮기려 할 때 배액 주머니를 올려야 할 필요가 있으면
배액관을 잠근다.
ⓒ 침대 옆에 매어 달기 위해 배액관에 큰 고리를 만들지 않는다.
ⓓ운동이나 기동을 시작하기 전에 배액관에 있는 모든 소변을 배액주머니 속으로 배액시키고 배액주머니 속의 소변도 비운다.
⑥ 방광 훈련을 제외하고는 배액관을 장시간 잠궈 놓거나 꼬이지 않도록 한다,
⑦ 적어도 매 8시간마다 배액주머니를 비워준다,
⑧ 의사와 협의 후 가능한 한 빨리 도뇨관을 제거하도록 한다.
라. 방광세척
①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인 방광의 세척은 출혈로 인한 폐쇄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 이외는 하지않도록 한다.
② 카테터의 막힘을 예방하거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지속적인 세척은 하지 않는다.
③ 카테터가 자주 막혀서 세척을 필요로 할 때에는 카테터와 소변백 모두를 바꾸도록 한다.
④ 세척용 도뇨관(3-way foley catheter)을 사용시에는 세척이 가능하다.
⑤ 일반적인 유치도뇨관(2-way foley catheter)의 경우 세척을 위하여 카테터와 소변백의 연결부위를 분리시키기 전에 10% 베타딘 솜을 이용하여 연결부위를 소독하도록 한다.
⑥ 멸균된 50 cc 주사기(또는 스포이드)와 멸균세척액을 사용하여 무균술을 준수하여 세척한다.
마. 소변검체 채취시 주의점
(1)적은 양의 검체(20cc이하)가 필요한 경우는 도뇨관 고무(latex) 부위를 알코올로 닦은 후 주사기를 사용하여 무균적으로 소변을 채취한 후 검사의뢰를하며 정규적인 배양검사는 필요없다. sampling port가 있는 경우는 sampling port에서 채취하도록 한다.
(2)많은 양의 소변(24시간 소변등)이 필요한 경우는 소변백의 소변을 무균적으로 받아 특수용기에 보관하였다 가 검사를 의뢰한다.
(3)소변 채취 후 실온에서 2시간 가량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균의 증식이 10"CFU/ml까지 증식되어 요로감염 이 있는 것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으므로 빠른 시간내 검사실로 보내거나 냉장보관해야 한다.
(4)정체 도뇨를 하는 환자에서 정규적인 요배양검사는 하지 않고, 감염이 의심될 경우만 배양검사를 한다.
(5)인공도뇨관을 잘라 배양검사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7.요로감염의 예방
*유치카테터는 필요 시에만 삽입하고 가능한 한 빨리 제거한다.
*유치도뇨관 삽입시 카테터부터 소변백 끝까지 전체가 폐쇄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카테터 삽입 시 무균술을 지키고 카테터 조작이 필요한 경우는 조작 전,후에 반드시 손을 씻는다.
*카테터의 세척은 도뇨관이 폐쇄될 우려가 있는 대상자만 선별적으로 실시하되, 감염예방의 목적으로 실시하지 않는다.
*방광으로 소변이 역류되는 것을 막기위해 소변백은 항상 방광위치보다 낮게 유지되어야 하나 바닥에 닿아서는 안된다.
*카테터는 움직임과 요도의 외상을 막기위해 잘 고정시켜야 한다.
*소변검사물 채취 시 적은 양(20cc)의 소변만 필요한 경우에는 카테터의 끝부분을 소독한 후 멸균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무균적으로 흡인하여 채취한다. 많은 양의 소변이 필요한 경우는 소변백에서 무균적으로 채취한다.
*소변백은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이름이 표시된 개인용 소변기를 이용하여 비워줘야 하며, 비우고 난 후에는 배뇨관을 소독제로 닦은 후 잠근다.
*평상시 대변을 앞쪽에서 뒤쪽으로 닦아줘야 한다. 뒤에서 앞으로 닦으면 대변의 수많은 균들이 요로감염을 더 일으킬 수 있다.
*오랜 시간 욕조에 들어앉아 있거나 거품욕을 삼가고, 소변을 참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또 어린 아이들에게는 소변을 볼 때 방광을 끝까지 비우는 완전 배뇨 습관을 길러줘야 한다.
*요로감염시 금욕을 하거나 성교 중 콘돔을 사용해야 한다. 급성 요도염의 경우 성교 전파성이 많으므로 불결한 성접촉을 피하는 것이 최선이며, 성 상대자의 치료 및 콘돔의 사용이 예방으로 추천된다.
#참고 문헌 및 자료
http://my.netian.com/~ynasoon/health2.html
http://Kaicn.org/hid-uti.html (대한 감염 관리 간호사회)
http://kmcor.org/hai.html(경희의료원)
http://familycare.pe.kr/study/infect/UTI.html
간호학회지 제25권 제1호
현문사 제3판 성인간호학 (상) 전시자외
추천자료
간호관리학 공부의 필요성 임상에서 간호 관리의 예
폐기물관리법,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및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
[단체급식][학교급식]단체급식(학교급식)의 배경, 발전, 현황과 단체급식(학교급식)의 HACCP...
HI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감염 환자의 일반적 간호
전염성 질환 관리) 전염병의 개념과 역사 및 생성과정, 전염병 관리의 방법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의 정의와 실태,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의 감염경로...
두피(scalp)와 두피관리의 개요 및 두피관리방법 - 두피의 구조, 기능, 두피의 유형, 마사지
[법정][법정관리제도][노동시간단축][법정퇴직금][법정전염병][법정기념일]법정의 구조, 법정...
[바이러스]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의 개념, 분류, 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의 감염경로, ...
[질환][질병]질환(질병)과 만성폐쇄성폐질환, 질환(질병)과 감염성질환, 질환(질병)과 호흡기...
[신종新種플루] 신종플루 정의, 신종플루 감염 경로, 신종플루 증상, 신종플루 진단, 신종플...
[전염병관리] 전염병의 정의와 발생과정, 전염병관리방법(전염병예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