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범죄문제
Ⅲ. 범죄에 대한 기존대응의 한계
Ⅳ. 범죄에 대한 사회예방적 접근
1. 초기의 한 예
2. 두 번째 예
Ⅴ. 미래의 사회적 노력을 위한 제안
Ⅵ. 사회적 예방의 전망
Ⅶ. 결어
참고 문헌
Ⅱ. 범죄문제
Ⅲ. 범죄에 대한 기존대응의 한계
Ⅳ. 범죄에 대한 사회예방적 접근
1. 초기의 한 예
2. 두 번째 예
Ⅴ. 미래의 사회적 노력을 위한 제안
Ⅵ. 사회적 예방의 전망
Ⅶ. 결어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제로, 1960년대의 광범위한 사회적 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시도(종종 사회대개혁(Great Society Reform)으로 불린다)는 단지 몇 년 후에 대개 폐지되었는데, 이것은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다는 아무런 증거가 없었기 때문이다. 많은 평가자들이 깨닿지 못했던 것은 비판자들이 몇 세대에 걸쳐서 생겨난 문제를 단지 1-2년 만에 프로그램을 통해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는 것이다. 셋째, 몇몇 비판자들은 사회적 예방이 유토피아적인 생각이라고 거부한다(Gilling, 1996). 많은 사람들은, 범죄와 무질서가 현대사회의 한 통합적 부분이고, 단지 문제를 억제하는 것이 우리가 기대해야 할 모든 것이라고 믿는다. 넷째, 큰 사회적 변화가 범죄문제를 크게 개선하는지에 대해서 많은 모호함이 아직 남아있다. 이 불확실성은 범죄의 근본원인에 대한 일치된 견해의 부족에서 나타난다(Gilling, 1994). 이와 관련된 마지막 쟁점은 사회가 범죄자가 처벌될 필요가 있다고 믿는다는 것이다(Rosenbaum, 1991). 본질적으로, 범죄의 원인이 사회구조에 있는 것이 아니고 개인의 선택에 있다고 보는 사람들이 있다.
Ⅶ. 결어
사회적 예방에 대한 이 짧은 논의는 이 책의 대부분의 다른 논의에서도 거론되는 범죄를 사회가 어떻게 설명해야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보여준다. 그러나 또한 분명한 것은 사회예방적 접근의 많은 요소들은 몇몇 형태에서, 그리고 다른 범죄예방노력에서도 나타난다. 지역사회를 조직하는 것은 반-범죄와 반-약물 운동의 주요 목표이다. 학교와 교육프로그램들은 상충하는 해결책, 약물프로그램, 직업훈련, 그리고 많은 다른 노력들에서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데, 이들은 사회와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대부분의 범죄예방행위, 그리고 확실히 형사사법기관의 일차적 기능은 (사회적 예방 하에서 추구되는)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다. 필시, 이러한 접근은 가까운 미래에 덧없는 노력으로 남게 될 것이다.
참고 문헌
이명숙 (1995). 생활 법률 이해 활동,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 보고서 95-19.
이수성 (1984). 한국청소년의 법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법학, 25, 2, 68-94.
임희섭 (1974). 한국인의 법의식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법학, 15, 1, 33-55.
한국형사정책연구원(1996). 법의식과 비행과의 관계. 한국형사정책연구소 보고서.
김병진, 현대조사방법론, 삼영사, 1999.
김준호·노성호·오수정·장은숙, 청소년 범죄피해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1.
김준호·심영희·조정희, 범죄피해조사란 무엇인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1.
노성호·김성언·이동원·김지선, 청소년 범죄피해에 대한 조사연구 (II),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
<참고 사이트>
조심닷컴 - http://www.chosim.com
사이버테러대응센터 - http://www.ctrc.go.kr
대검찰청 인터넷범죄수사센터 - http://icic.sppo.go.kr
Ⅶ. 결어
사회적 예방에 대한 이 짧은 논의는 이 책의 대부분의 다른 논의에서도 거론되는 범죄를 사회가 어떻게 설명해야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보여준다. 그러나 또한 분명한 것은 사회예방적 접근의 많은 요소들은 몇몇 형태에서, 그리고 다른 범죄예방노력에서도 나타난다. 지역사회를 조직하는 것은 반-범죄와 반-약물 운동의 주요 목표이다. 학교와 교육프로그램들은 상충하는 해결책, 약물프로그램, 직업훈련, 그리고 많은 다른 노력들에서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데, 이들은 사회와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대부분의 범죄예방행위, 그리고 확실히 형사사법기관의 일차적 기능은 (사회적 예방 하에서 추구되는)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다. 필시, 이러한 접근은 가까운 미래에 덧없는 노력으로 남게 될 것이다.
참고 문헌
이명숙 (1995). 생활 법률 이해 활동,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 보고서 95-19.
이수성 (1984). 한국청소년의 법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법학, 25, 2, 68-94.
임희섭 (1974). 한국인의 법의식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법학, 15, 1, 33-55.
한국형사정책연구원(1996). 법의식과 비행과의 관계. 한국형사정책연구소 보고서.
김병진, 현대조사방법론, 삼영사, 1999.
김준호·노성호·오수정·장은숙, 청소년 범죄피해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1.
김준호·심영희·조정희, 범죄피해조사란 무엇인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1.
노성호·김성언·이동원·김지선, 청소년 범죄피해에 대한 조사연구 (II),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
<참고 사이트>
조심닷컴 - http://www.chosim.com
사이버테러대응센터 - http://www.ctrc.go.kr
대검찰청 인터넷범죄수사센터 - http://icic.sppo.go.kr
추천자료
경찰관리론-경찰관리의 시기적 흐름
지방자치경찰제- 미국행정이론의 영향을 받은
[청소년문제 대책, 청소년문제] 청소년문제의 원인과 책임 및 청소년문제의 실태와 대책방안 ...
경찰 수사론의 현실화
성범죄 예방대책
청소년 성범죄자 신상공개 찬반론과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및 향후대책
비교경찰론(일본경찰제도)-최근개혁사례
범죄와 대책
경찰 수사론의 현실화
경찰수사론
[지역사회경찰활동론] 지역 중심 경찰활동의 개념과 적용원리
여성복지론 - 성폭력의 실태와 대책(성폭력의 개념, 성폭력 범죄의 실태와 성폭력 피해의 후...
[★발표자료★][증오범죄 Hate Crimes] 증오범죄에 대한 모든 것 (사례, 개념, 증오범죄 대책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