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Elektrocardiogram (EKG) 란?
2. Recording the Elektrocardiogram
3. 정상 심전도 해석
1) 심박수와 규칙성
2) P파의 형태
3) PR간격
4) QRS군의 형태
5) ST분절의 형태
6) T파의 형태
7) U파의 형태
2. Recording the Elektrocardiogram
3. 정상 심전도 해석
1) 심박수와 규칙성
2) P파의 형태
3) PR간격
4) QRS군의 형태
5) ST분절의 형태
6) T파의 형태
7) U파의 형태
본문내용
여자보다 남자에서조금 길다.
③ 최대 높이 : QRS군의 높이는 넓은 정상범위를 갖고 있고, 나이에 따라 변하는데, 30세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후로 감소한다.
④ 축 : 전두면에서 6개의 사지 유도를 바탕으로 횡행면에선 6개의 전흉부 유도를 이용해360°의 6축 체계를 제공 할 수 있다.
그림
∴
5) ST분절의 형태
심실 근육의 수축 또는 탈분극 상태를 나타낸다. QRS군과 만나는 점 (J point)에서 상부로 약 90°의 각도를 이루고 T파까지는 거의 수평을 유 지한다.
lead I, II, V3-V6에서는 항상 상향이고 aVR에 서는 항상 하향이다.
Normal ST segment elevation은 주로 V1- V3 에서 나타나며 대부분 concave upward 양상이 다. 이것은 early repolarization이라고 불린다.
6) T파의 형태
① 형 태 : 정상적으로 P파와 모양과 축이 비슷하다. V1에서 이상성이고, aVR에서는 음성 편향이며 그 외 다른 유도에서는 양성편향이다.
② 지속시간 : 자체로는 구하지 않고 QT 간격에 포함한다.
③ 최대높이 : 정상적으로 aVL 과 Ⅲ에서는 0.3mV 이하, V1과 V6에서는 0.5mV이하이다.
④ 축 : QRS군과 연관해서 생각해야 한다.
* 정상 T파 * 비정상 T파
7) U파의 형태
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거나 T파 뒤에 작고 둥근 파로 나타나며, T파와 같은 방향이고 높이는 T파의 10%이며 V2 V3에서 저명하다. U파는 느린 심박수일때 커지고, 빠른 심박수에서는 T파와 U피 모두 크기가 감소하며 뒤의 P파에 묻혀 같이 나온다.
③ 최대 높이 : QRS군의 높이는 넓은 정상범위를 갖고 있고, 나이에 따라 변하는데, 30세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후로 감소한다.
④ 축 : 전두면에서 6개의 사지 유도를 바탕으로 횡행면에선 6개의 전흉부 유도를 이용해360°의 6축 체계를 제공 할 수 있다.
그림
∴
5) ST분절의 형태
심실 근육의 수축 또는 탈분극 상태를 나타낸다. QRS군과 만나는 점 (J point)에서 상부로 약 90°의 각도를 이루고 T파까지는 거의 수평을 유 지한다.
lead I, II, V3-V6에서는 항상 상향이고 aVR에 서는 항상 하향이다.
Normal ST segment elevation은 주로 V1- V3 에서 나타나며 대부분 concave upward 양상이 다. 이것은 early repolarization이라고 불린다.
6) T파의 형태
① 형 태 : 정상적으로 P파와 모양과 축이 비슷하다. V1에서 이상성이고, aVR에서는 음성 편향이며 그 외 다른 유도에서는 양성편향이다.
② 지속시간 : 자체로는 구하지 않고 QT 간격에 포함한다.
③ 최대높이 : 정상적으로 aVL 과 Ⅲ에서는 0.3mV 이하, V1과 V6에서는 0.5mV이하이다.
④ 축 : QRS군과 연관해서 생각해야 한다.
* 정상 T파 * 비정상 T파
7) U파의 형태
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거나 T파 뒤에 작고 둥근 파로 나타나며, T파와 같은 방향이고 높이는 T파의 10%이며 V2 V3에서 저명하다. U파는 느린 심박수일때 커지고, 빠른 심박수에서는 T파와 U피 모두 크기가 감소하며 뒤의 P파에 묻혀 같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