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ꊱ 중국의 역사 ; 정치사를 넘어 입체적인 역사인식을 위하여
ꊲ 주제별로 엮은 중국 사회경제사
○ 개인․가족․사회 그리고 민간신앙
○ 인구․농업․수공업․상업 그리고 근대 공업
○ 근대 전기 새로운 사회계층의 등장과 지속되는 사회적 행동양식
ꊳ 쟁점 중심의 중국 근대사
○ 중국은 20세기 초에 ꡐ궁핍화 과정ꡑ을 겪고 있었나?
○ 중국의 산업혁명은 자체적으로 성공할 수 있었나?
○ 중국의 더딘 근대화는 제국주의의 침략 때문인가?
ꊴ 이 책의 구성: 지속과 변화가 공존하는 거대한 대륙, 중국
○ 제1장 인구: 증가와 이주
○ 제2장 개인과 사회
○ 제3장 민간신앙: 신, 귀 그리고 조상
○ 제4장 농업: 개관
○ 제5장 20세기 초의 농업: ꡐ농민의 궁핍화ꡑ 문제
○ 제6장 명청시대의 상업: 교역의 수단과 지리적 조건
○ 제7장 명청시대의 수공업 : 실패한 산업혁명인가?
○ 제8장 서구의 충격 이후의 상업과 수공업
○ 제9장 근대 전기의 새로운 사회계층
○ 제10장 사회의 어두운 면: 비밀결사, 비적, 계투
ꊵ 저자 및 역자 소개
ꊲ 주제별로 엮은 중국 사회경제사
○ 개인․가족․사회 그리고 민간신앙
○ 인구․농업․수공업․상업 그리고 근대 공업
○ 근대 전기 새로운 사회계층의 등장과 지속되는 사회적 행동양식
ꊳ 쟁점 중심의 중국 근대사
○ 중국은 20세기 초에 ꡐ궁핍화 과정ꡑ을 겪고 있었나?
○ 중국의 산업혁명은 자체적으로 성공할 수 있었나?
○ 중국의 더딘 근대화는 제국주의의 침략 때문인가?
ꊴ 이 책의 구성: 지속과 변화가 공존하는 거대한 대륙, 중국
○ 제1장 인구: 증가와 이주
○ 제2장 개인과 사회
○ 제3장 민간신앙: 신, 귀 그리고 조상
○ 제4장 농업: 개관
○ 제5장 20세기 초의 농업: ꡐ농민의 궁핍화ꡑ 문제
○ 제6장 명청시대의 상업: 교역의 수단과 지리적 조건
○ 제7장 명청시대의 수공업 : 실패한 산업혁명인가?
○ 제8장 서구의 충격 이후의 상업과 수공업
○ 제9장 근대 전기의 새로운 사회계층
○ 제10장 사회의 어두운 면: 비밀결사, 비적, 계투
ꊵ 저자 및 역자 소개
본문내용
놓았다. 20세기 초에 중국은 반외세운동의 정점에 달해 외국 상품 보이콧운동과 국산품애용운동을 펼치는 등 서구 열강에 강력하게 대응한다.
그러나 권력을 잡은 국민정부는 산업 전반에 간섭했으며 이는 관료자본주의라는 형태로 나타나 상업과 수공업의 발전을 저해한다.
근대 전기 중국의 발전은 제국주의의 침략에 의해 더뎌진 것은 확실하나 실질적인 발전은 존재했다.
발전을 저해한 근본적인 원인은 서구 제국주의의 영향보다는 미발달한 산업구조와 정부의 간섭, 전통적 가치관에 의한 근대 산업화 과정의 느린 흡수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 제9장 근대 전기의 새로운 사회계층
근대 전기 중국이 경험한 경제 변화는 사회 곳곳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명청시대 사회 기본 엘리트는 상층신사와 하층신사에게 집중되어 있었으나
16세기 이후 상업의 발전으로 부를 축적한 새로운 상인층과 서구문화를 접한 지식인계층,
그리고 근대 전기 군벌할거시대에 대두되기 시작한 군인계층이 가세하게 된다.
또한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한 도시에서는 프롤레타리아트가 계급의식으로 무장하며 서서히 성장했다.
근대 전기에 나타난 일련의 새로운 사회계층은 이전 시기 전통적 사회이념에 도전하며 가족주의를 해체하고 개인주의를 강화했으며 여성의 해방운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도시에 한정된 자그마한 변화였다.
○ 제10장 사회의 어두운 면: 비밀결사, 비적, 계투
중국 사회에는 비밀결사와 같은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음(陰)의 세계가 존재한다. 무생노모(無生老母)를 모시는 백련교와 같은 종교단체, 삼합회(三合會), 가로회(哥老會), 태평천국(太平天國), 그외 촌락의 자위를 위해 생겨난 홍창회(紅槍會) 등과 비적, 병비, 종족간의 계투(械鬪) 등은 대부분이 명청시대에도 존재했지만 근대 전기에 정치와 사회의 혼란을 틈타 중국 내에 엄청나게 만연하게 된다.
대부분의 비적은 정치적 이슈를 내걸고 있었으나 실상 그들은 민중의 약탈을 통한 경제적 이익을 목적으로 했다.
근대 전기에 발생한 태평천국회민염군의 반란과 그외의 만연한 집단적인 폭력은 심각한 빈곤상황 때문이기보다는 대부분이 정치적 혼란에 기인한다.
저자 및 역자 소개
로이드 E. 이스트만(Lloyd E. Eastman)
1929년에 태어나 1963년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오하이오주립대와 일리노이대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중국 현대사를 연구하는 잡지 Republican China를 창간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The Abortive Revolution: China under Nationalist Rule, 1927-1937(Harvard Univ. Press, 1974)과 Seeds of Distruction: Nationalist China in War and Revolution, 1937-1949(Stanford Univ. Press, 1984, 민두기 역, 『蔣介石은 왜 敗하였는가: 현대 중국의 전쟁과 혁명, 1937~1949』, 지식산업사 1986)가 있으며, 편저로 Chiang Kai-Shek's Secret Past: the Memoir of his Second Wife(Westview Press, 1994)가 있다.
이승휘(李昇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에서 중국 현대사를 전공했으며,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세종대학교 역사학과 전임강사를 거쳐 현재 동덕여대 인문학부에서 강의 중이다. 「國民革命期 上海商工階層의 政治的 動向」(박사학위 논문), 「1920年代 初 陳獨秀의 革命論」 외 중국 현대사 관련 논문이 다수 있다.
참고문헌
○ 로이드 E. 이스트만 지음 / 이승휘 옮김 돌베개 1999년
그러나 권력을 잡은 국민정부는 산업 전반에 간섭했으며 이는 관료자본주의라는 형태로 나타나 상업과 수공업의 발전을 저해한다.
근대 전기 중국의 발전은 제국주의의 침략에 의해 더뎌진 것은 확실하나 실질적인 발전은 존재했다.
발전을 저해한 근본적인 원인은 서구 제국주의의 영향보다는 미발달한 산업구조와 정부의 간섭, 전통적 가치관에 의한 근대 산업화 과정의 느린 흡수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 제9장 근대 전기의 새로운 사회계층
근대 전기 중국이 경험한 경제 변화는 사회 곳곳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명청시대 사회 기본 엘리트는 상층신사와 하층신사에게 집중되어 있었으나
16세기 이후 상업의 발전으로 부를 축적한 새로운 상인층과 서구문화를 접한 지식인계층,
그리고 근대 전기 군벌할거시대에 대두되기 시작한 군인계층이 가세하게 된다.
또한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한 도시에서는 프롤레타리아트가 계급의식으로 무장하며 서서히 성장했다.
근대 전기에 나타난 일련의 새로운 사회계층은 이전 시기 전통적 사회이념에 도전하며 가족주의를 해체하고 개인주의를 강화했으며 여성의 해방운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도시에 한정된 자그마한 변화였다.
○ 제10장 사회의 어두운 면: 비밀결사, 비적, 계투
중국 사회에는 비밀결사와 같은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음(陰)의 세계가 존재한다. 무생노모(無生老母)를 모시는 백련교와 같은 종교단체, 삼합회(三合會), 가로회(哥老會), 태평천국(太平天國), 그외 촌락의 자위를 위해 생겨난 홍창회(紅槍會) 등과 비적, 병비, 종족간의 계투(械鬪) 등은 대부분이 명청시대에도 존재했지만 근대 전기에 정치와 사회의 혼란을 틈타 중국 내에 엄청나게 만연하게 된다.
대부분의 비적은 정치적 이슈를 내걸고 있었으나 실상 그들은 민중의 약탈을 통한 경제적 이익을 목적으로 했다.
근대 전기에 발생한 태평천국회민염군의 반란과 그외의 만연한 집단적인 폭력은 심각한 빈곤상황 때문이기보다는 대부분이 정치적 혼란에 기인한다.
저자 및 역자 소개
로이드 E. 이스트만(Lloyd E. Eastman)
1929년에 태어나 1963년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오하이오주립대와 일리노이대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중국 현대사를 연구하는 잡지 Republican China를 창간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The Abortive Revolution: China under Nationalist Rule, 1927-1937(Harvard Univ. Press, 1974)과 Seeds of Distruction: Nationalist China in War and Revolution, 1937-1949(Stanford Univ. Press, 1984, 민두기 역, 『蔣介石은 왜 敗하였는가: 현대 중국의 전쟁과 혁명, 1937~1949』, 지식산업사 1986)가 있으며, 편저로 Chiang Kai-Shek's Secret Past: the Memoir of his Second Wife(Westview Press, 1994)가 있다.
이승휘(李昇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에서 중국 현대사를 전공했으며,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세종대학교 역사학과 전임강사를 거쳐 현재 동덕여대 인문학부에서 강의 중이다. 「國民革命期 上海商工階層의 政治的 動向」(박사학위 논문), 「1920年代 初 陳獨秀의 革命論」 외 중국 현대사 관련 논문이 다수 있다.
참고문헌
○ 로이드 E. 이스트만 지음 / 이승휘 옮김 돌베개 1999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