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충렬전」의 줄거리
2. 작품 속에 드러난 대립
(1) 정한담 對 유충렬
(2) 금산사 옥관 도사 對 백룡사(백룡사 노승)
2. 작품 속에 드러난 대립
(1) 정한담 對 유충렬
(2) 금산사 옥관 도사 對 백룡사(백룡사 노승)
본문내용
룡사라는 공간을 축으로 하여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백룡사라고 하는 공간이 작품 속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는 사실에 대한 하나의 방증이다. 그럼 「유충렬전」의 특징인 대립을 중심으로 백룡사 이전과 백룡사 이후의 양상을 살펴 보자.
백룡사 이전의 대립은 바로 충렬의 일방적 고난을 가져온다. 이 때의 대립은 사실상 대립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러나 백룡사 이후의 대립은 팽팽하다. 서로 한 치의 양보도 없다. 정한담은 정한담대로, 충렬은 충렬대로 자신의 능력을 한껏 발휘한다. 그리고 이때의 대립은 백룡사 이전의 대립에서 충렬에게 천상 도움이 계속 되었던 것과는 그 양상이 다르다. 철저한 지성적 대립이다. 철저히 지상적 원리에 의해 이루어진 대립으로 천상 존재의 지상 대립이 완성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백룡사는 아무런 준거 없이 구분된 선악에 대한 대가로써 이루어진 지상에서의 고난과 기득권이 끝나는 곳이며, 동시에 이들 천상존재의 지상적 원리에 의거한 지상 대립을 가능하게 한 공간이다.
이렇게 이루어진 대립은 지상적 원리에 충실한 충렬의 승리로 끝난다. 이는 곧 대립의 해소인데, 이는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작게는 역모를 꿈꾸며 지상의 질서를 뒤엎으려던 한담을 제거함으로써 지상의 질서를 회복한 것이요. 크게는 천상 대립으로 천상의 질서를 문란케 한 인물인 익성를 제거하므로써 천상의 질서를 회복하였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백룡사는 작품 전체에서 큰 전환점이 되는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할 수 있는 중요한 장소이며 작품 속에서 승리의 주인공인 유충렬에게는 더없이 중요한 기능을 한다.
백룡사 이전의 대립은 바로 충렬의 일방적 고난을 가져온다. 이 때의 대립은 사실상 대립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러나 백룡사 이후의 대립은 팽팽하다. 서로 한 치의 양보도 없다. 정한담은 정한담대로, 충렬은 충렬대로 자신의 능력을 한껏 발휘한다. 그리고 이때의 대립은 백룡사 이전의 대립에서 충렬에게 천상 도움이 계속 되었던 것과는 그 양상이 다르다. 철저한 지성적 대립이다. 철저히 지상적 원리에 의해 이루어진 대립으로 천상 존재의 지상 대립이 완성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백룡사는 아무런 준거 없이 구분된 선악에 대한 대가로써 이루어진 지상에서의 고난과 기득권이 끝나는 곳이며, 동시에 이들 천상존재의 지상적 원리에 의거한 지상 대립을 가능하게 한 공간이다.
이렇게 이루어진 대립은 지상적 원리에 충실한 충렬의 승리로 끝난다. 이는 곧 대립의 해소인데, 이는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작게는 역모를 꿈꾸며 지상의 질서를 뒤엎으려던 한담을 제거함으로써 지상의 질서를 회복한 것이요. 크게는 천상 대립으로 천상의 질서를 문란케 한 인물인 익성를 제거하므로써 천상의 질서를 회복하였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백룡사는 작품 전체에서 큰 전환점이 되는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할 수 있는 중요한 장소이며 작품 속에서 승리의 주인공인 유충렬에게는 더없이 중요한 기능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