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교합기란?
○ Classification of Articulator(교합기의 분류)
1. 비조절성 교합기(Non-adjustable articulator)
2.반조절성 교합기(Semi-adjustable Articulator)
○ Classification of Articulator(교합기의 분류)
1. 비조절성 교합기(Non-adjustable articulator)
2.반조절성 교합기(Semi-adjustable Articulator)
본문내용
는 간편법으로, 측방과로를 종래의 공식
L=H/8+12를 적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Panahoby
:이것은 그전의 평균 교합기인 Dentalhoby를 Arcon형의 반조절성으로 대폭 개량하여 1981년 말에 재동작 시킨 것이다.
조절기구는 시상과로외에 ISS와 PSS를 조정할 수 있다. 교합기 하궁에 있는 과두구는 Dentalhoby 와 동일하고 수평으로 고정해 있기 때문에 후방 관찰이 용이하지만 ISS 기구를 부여하면 centric 고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게다가 측방운동을 하면 과두구와 유도판의 상벽사이에 생기는 간격을 방지하기 위해 과두구를 전하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스프링에 의해 당겨지도록 하여 과두구를 고정장치내에 centric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고안된 것이다.
이것을 지금까지 없었던 획기적인 centric 재현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 밖에 이 교합기에는 condylar rod를 뒤집으면 Fascia형으로도 Car piece 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전용의 markⅡ 안궁이 있다.
●Box type의 과로지도 기구
:box type의 과로지도기구의 경우는 상자모양의 과로지도부 중에 과두구가 안정이 되고 상자의 천장 부분을 상하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측방과로 경사각을 조절한다. 그러나, 후벽이 평탄하게 되어있는 교합기에서는 작업측 과두구는 후벽을 따라 수평으로 접촉활주하는 운동만 재현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중에는 Proarch Ⅳ와 같이 Bennett 운동 재현기구를 갖고 있는 교합기도 있다.
box type의 과로지도부를 가진 교합기는 사람의 악 관절와 형상과 비슷하기 때문에 과로조절 법이 이해하기가 쉽고 상하궁의 분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하궁의 연결이 불충분하므로 조작시에 box가 과두구에서 떠오른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나 LL-85는 O-ring에 의해, Dental Hoby는 판 용수철 구조의 centric latch에 의해 상하궁을 강고하게 연결하고, 편심운동 중에 condylar nausing이 떠오르는 것을 방지 하도록 되어있다.
●Slot type의 과로지도 기구
:slot type의 과로지도 기구는 가늘고 긴 궤도 모양의 과로 속을 과두구가 활주하는 것으로 slotdml 경사를 변경 함으로써 시상과로경사를 조절한다. 측방운동시 비 작업측의 측방과로는 slot을 안쪽으로 회전시켜 조절한다. 이때, 작업측의 과두구는 centric stop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 또, 반대로 centric stop을 강하게 누르고 있는 것 등, 증례에 따라 다르지만, 작업측의 과로는 제로 기준 위 이외에는 재현되지 않는다. 작업측의 과로구 위치를 제로 기준위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과두간 거리 조절기구가 유효하다.
slot type의 과로지도 기구를 가진 교합기는 상하궁을 분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술자가 교합기를 손으로 들고 가공작업을 할 때에는 불편하지만, 반면에 과두구가 과로 지도부에서 떠오르지 않는다고 하는 이접이 있어, Crown bridge 보다도 의치보철에 적합하다.
L=H/8+12를 적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Panahoby
:이것은 그전의 평균 교합기인 Dentalhoby를 Arcon형의 반조절성으로 대폭 개량하여 1981년 말에 재동작 시킨 것이다.
조절기구는 시상과로외에 ISS와 PSS를 조정할 수 있다. 교합기 하궁에 있는 과두구는 Dentalhoby 와 동일하고 수평으로 고정해 있기 때문에 후방 관찰이 용이하지만 ISS 기구를 부여하면 centric 고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게다가 측방운동을 하면 과두구와 유도판의 상벽사이에 생기는 간격을 방지하기 위해 과두구를 전하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스프링에 의해 당겨지도록 하여 과두구를 고정장치내에 centric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고안된 것이다.
이것을 지금까지 없었던 획기적인 centric 재현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 밖에 이 교합기에는 condylar rod를 뒤집으면 Fascia형으로도 Car piece 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전용의 markⅡ 안궁이 있다.
●Box type의 과로지도 기구
:box type의 과로지도기구의 경우는 상자모양의 과로지도부 중에 과두구가 안정이 되고 상자의 천장 부분을 상하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측방과로 경사각을 조절한다. 그러나, 후벽이 평탄하게 되어있는 교합기에서는 작업측 과두구는 후벽을 따라 수평으로 접촉활주하는 운동만 재현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중에는 Proarch Ⅳ와 같이 Bennett 운동 재현기구를 갖고 있는 교합기도 있다.
box type의 과로지도부를 가진 교합기는 사람의 악 관절와 형상과 비슷하기 때문에 과로조절 법이 이해하기가 쉽고 상하궁의 분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하궁의 연결이 불충분하므로 조작시에 box가 과두구에서 떠오른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나 LL-85는 O-ring에 의해, Dental Hoby는 판 용수철 구조의 centric latch에 의해 상하궁을 강고하게 연결하고, 편심운동 중에 condylar nausing이 떠오르는 것을 방지 하도록 되어있다.
●Slot type의 과로지도 기구
:slot type의 과로지도 기구는 가늘고 긴 궤도 모양의 과로 속을 과두구가 활주하는 것으로 slotdml 경사를 변경 함으로써 시상과로경사를 조절한다. 측방운동시 비 작업측의 측방과로는 slot을 안쪽으로 회전시켜 조절한다. 이때, 작업측의 과두구는 centric stop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 또, 반대로 centric stop을 강하게 누르고 있는 것 등, 증례에 따라 다르지만, 작업측의 과로는 제로 기준 위 이외에는 재현되지 않는다. 작업측의 과로구 위치를 제로 기준위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과두간 거리 조절기구가 유효하다.
slot type의 과로지도 기구를 가진 교합기는 상하궁을 분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술자가 교합기를 손으로 들고 가공작업을 할 때에는 불편하지만, 반면에 과두구가 과로 지도부에서 떠오르지 않는다고 하는 이접이 있어, Crown bridge 보다도 의치보철에 적합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