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일본어의 종조사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Ⅱ. 현대일본어에 나타난 종조사의 남녀 성별에 따른 차이
1. 여성선호 종조사
2. 남성선호 종조사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상대에게 하는 일방적인 지시, 경고, 판단 등을 강압하거나 주장하는 식의 강한 어감을 느낄 수 있는 ぞ さ な か よ ね い와 같은 종조사는 주로 남성이 선호하는 종조사이다. 특히 멸시나 힐난의 의미를 내포하는 ぜ와 같은 종조사는 남성만이 사용하는 남성전용종조사이다.
또 직접적이고 강압적으로 표현하는 남성적인 종조사에 비해 가벼운 단정,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도가 낮은 부드러운 표현에 사용되는 わ の もの こと와 같은 종조사는 주로 여성이 선호하는 단순종조사이다. 특히 주장도가 낮은 かしら와 같은 종조사는 여성만이 사용하는 여성전용 종조사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단순종조사는 그 사용범위가 일반 교재에 보이는 性의 구분과 조금은 혼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Ⅲ. 結 論
지금까지 초급일본어 과정에 있는 학습자들이 오용하기 쉬운 性別에 따른 단순 종조사를 실제 회화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례를 비교분석한 결과 7종의(ぞ さ な か よ ね い)에서 다음과 같은 상이점이 발견되었는데 이를 정리해보면 <표3>과 같다.
<표3> 性別에 따른 종조사의 이론과 실제상의 차이점
單純助動詞
複合助動詞





こと

よね
이론상
남성전용
남성전용
남성전용
여성전용
여성전용
여성전용
남성전용
여성전용
젊은여성
나이많은
중년여성,
나이든
親子의
젊은
나이든
상하관계,
이나
여성,
직장동료
남성의
경우 혹은
남녀간,
여성이
형제간,
어린아이
친숙한
및 부부,
경우
젊은
부부간,
의문의
친구간에
의 경우에
부부,
오랜기간
손아래
남자동료,
상사와
의미로
동의 및
다짐이나
母子간의
친숙한
사람에게
부부,
부하직원
い를 사용
감동의
강한
경우에
남녀친구
친밀함을
형제사이
간에 주의
의미로
주장의
여성도
또는 여자
나타내거
에서
및 다짐의
남성이
실제상
의미로
さ를 사용
어린아이
나 부부
단정의
의미로
よね를
ぞ를 사용
의 경우에
혹은
의미로
남성이
사용
명령,
친구사이
남성이
こと를
감정의
에서
の를 사용
사용
여운을
부탁,
나타내는
단정의
의미로
의미로
な를 사용
わ를 사용
상기한 <표3>에서 알 수 있듯이 종조사에서 나타나는 性의 개념이 회화 상의 주체인 男女를 판단하는 역할을 할 만큼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현행의 일본어 초급교과서 및 문법서에 언급되어 있는 단순한 性의 분류만으로 초급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실제 회화 상에서 초급이 아닌 중급, 고급으로 레벨이 점점 올라갈수록 단순종조사의 쓰임이 다양화됨을 알 수 있는데 초급교과서 및 문법서에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등이 너무나 미약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본어 초급단계의 학습자가 실제 회화를 해 나가는데 있어 종조사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性別에 따른 종조사의 정확한 분류가 이루어져야하며 다음에서 제시하는바와 같이 이를 초급교재에 구체적으로 언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1. 단순종조사
1)여성전용 단순종조사
의문 또는 확인, 희망, 동의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장도가 낮은 かしら는 남성은 사용하지 않는 여성전용의 단순종조사이다.
2)남성전용 단순종조사
강한 주장이나 상대에 대한 경멸, 멸시, 힐난의 의미를 나타내는 ぜ는 여성은 사용하지 않는 남성전용의 단순종조사이다.
3)여성선호 단순종조사
가벼운 단정 및 부드러운 주장, 영탄의 의미를 나타내는 わ の もの こと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선호하는 단순종조사이다.
4)남성선호 단순종조사
자기 자신에 대한 다짐이나 확인, 상대에게 하는 일방적인 지시, 경고, 판단 등 강압하거나 주장하는 식의 강한 어감을 가지고 있는 ぞ さ な か よ ね い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선호하는 단순종조사이다.
이상을 요약정리하면 <표4>와 같다.
<표4> 性別에 따른 단순종조사의 의미 분류
여성전용
남성전용
여성선호
남성선호
かしら(희망, 의문)
ぜ(주장, 경멸)
わ(감동, 영탄, 단언)
の(단언, 명령, 의문)
もの(반발, 단정, 주장)
こと(의문, 주의, 단정)
ぞ(주장, 다짐)
さ(단언, 반문)
な(금지, 명령, 희망,감동)
か(의문, 반어, 영탄)
よ(주장, 명령)
ね(감동, 의문, 동의)
い(의문, 반발, 경멸)
이상 성별에 따른 종조사의 의미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여성이 사용하는 종조사는 상대와의 협조를 중시하며 자신의 주장이나 단정을 약화시키고 부드럽고 소극적인 뉘앙스를 나타내는데 비해 남성이 사용하는 종조사는 일방적인 자신의 주장이나 단정 등을 강화시키는 뉘앙스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는 여성이 원래 남성보다 정중한 언어표현을 해야 한다는 식의 '여성다움'을 유지하려는 사회적 언어규범에서 기인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여성의 의식변화와 사회진출의 증가 그리고 유니섹스化되어가는 사회분위기 등으로 인하여 언어도 이러한 영향을 받아 남녀에 따른 종조사의 분류기준이 점점 희박해져 감을 느낄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제 현대 회화 상에 나타나는 성별에 따른 종조사의 차이분석이라고는 하지만 자료와 용례가 한정되어 있어서 종조사 분석이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범위를 현대에만 한정하지 않고 通時的으로 성별에 따른 종조사의 분류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현대와 비교하여 보고 앞으로의 성별에 따른 종조사의 분류가 어떻게 변화되어 나갈 것 인가를 전망해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또 남녀에 따른 악센트나 억양에 의한 종조사의 뉘앙스 분류를 시도해 보는 것과 같은 좀 더 본질적이고 세부적인 성별에 따른 종조사 연구는 今後 의 과제로 남기고 싶다.
參考 文獻
日本語敎育學會 「日本語敎育」 96號, 1998.3
國語學會 「國語學辭典」, 東京出版社 1955
川成美香 「日本の女性語 世界の女性語」 「言語生活」 387號
井出詳子 「女のことば 男のことば大學生の場合は」 「月刊ことば」, 1980
川石容子 「まじり合う男女の言葉」 「言語生活」, 1987, no 429
金榮八 「日本語敎育における `ね'と `よ'の硏究」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朴延根 「現代日本語における終助詞の一考察」,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金天淑 「日本語の<女性語>に關する考察」,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3.28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96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