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게임중독에 빠진 학생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중독의 개념
인터넷 중독으로서의 게임
컴퓨터게임 중독
1. 개념 및 증상
2. 게임 중독의 원인
3. 게임 중독의 문제점
4. 대처방안
중독의 개념
인터넷 중독으로서의 게임
컴퓨터게임 중독
1. 개념 및 증상
2. 게임 중독의 원인
3. 게임 중독의 문제점
4. 대처방안
본문내용
식은 어떻게 변해 가고 있을까? 혹시 게임속의 주인공처럼 누군가에게 양심의 거리낌 없이 폭력을 휘두르고 있지는 않은가?
② 지나친 승부욕
스타크래프트 사용자중에는 게임의 점수를 조작하는 경우(어뷰즈)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이 불리하면 강제로 접속을 끊는 등 비신사적으로 승부욕에 매달리는 청소년이 늘고 있다. 이렇게 지나치게 자신의 승부를 의식하는 행위들은 경쟁심을 부추겨 비도덕적인 행동마저도 서슴지 않고 하게 만들고 있다.
③ 현실과 가상의 혼동
리니지바람에 나라등 네트워크 게임들이 인기를 누리면서 게이머들이 가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는 일들이 나타나고 있다. 가상의 공간에서 게임에 진 게이머들이 자신을 이긴 상대를 찾아와 폭행하거나 게임 아이템을 강탈하는 사건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현실에서 만족을 느낄 수 없는 사람일수록 게임에 빠져들 가능성이 더 많다고 한다.게임에서는 불가능한 일이 없으니까 오히려 현실보다도 게임 속 세상을 좋아하게 되고, 급기야는 게임 속 세상을 현실로 착각하게 만든다.
<참고>
리셋증후군(Reset syndrome)
컴퓨터가 말을 듣지 않을 때 얼른 리셋버튼을 누르면 시스템이 다시 살아나는 것처럼, 자기 맘에 안들면 지금까지 벌여 놓은 일이나 인간관계 등을 쉽게 다시 시작하려는 현상을 '리셋(reset)증후군'이라고 한다. '리셋증후군'은 아이들 사이에 참을성 없는 행동과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자기위주의 행동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심지어 책임감 없는 행동으로까지 연장되고 있다.
4. 대처방안
①하루 중 컴퓨터를 켜고 끄는 시간을 일정하게 정하고 꼭 지키도록 노력하라.
뚜렷한 목적이 없는 웹 서핑을 하지 말아야 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다른 일을 다 끝마친 후에 컴퓨터를 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한 시간만 채팅하고 리포트를 쓰고 시험공부를 하겠다는 생각은 이 역시 중독증상의 하나일 뿐이다.
②혼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을 피해라.
남에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은밀성이 사이버 중독증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보다 공개된 장소로 컴퓨터의 위치를 옮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③오락과 휴식의 도구로서의 컴퓨터 사용을 줄여라.
컴퓨터 사용은 신체적, 정신적 긴장을 유발하므로 또 하나의 스트레스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과감하게 불필요한 게임 CD는 정리하고 게임 파일을 삭제하는 것이 좋다.
④신체적 활동을 하는 시간을 늘려라.
땀을 흘리는 적절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모니터 앞에서 식사를 절대 하지 않으며, 바쁘더라도 컴퓨터를 끈 채로 끼니를 해결해야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⑤사이버 공간이 아닌 현실 공간에서의 대인관계를 늘려라.
PC 게임방을 가더라고 동료, 연인과 같이 가고 혼자서는 절대 가지 않는다는 원칙을 만드는 것도 좋다.
⑥대안활동을 찾아라.
단순히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만을 줄이는 데 목적을 두게되면 남는 시간에 할 일이 없어서 다시 인터넷을 하게 된다. 인터넷 사용을 조절하기 원하신다면 인터넷말고 자신에게 즐거움을 주는 대안활동을 찾아서 즐기는 것도 좋다. 한두 가지 말고 가능한 한 여러 개가 좋다.
<참고>
가정에서 대처 방법
1) 게임에 빠지게되는 이유 및 동기를 확인한다.
2) 게임사용으로 인해 얻는 것과 잃는 것을 파악한다.
3) 자녀와 함께 문제를 해결한다는 인식을 갖도록 한다.
4) 컴퓨터를 방에서 공동의 공간으로 옮긴다.
5) 다른 가족의 협조를 구한다.
6)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정한다.7) 대안행동을 찾는다.
8) 함께 보내는 시간을 증가시킨다.
9) 게임이외의 다른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를 찾아본다.
10) 용돈을 조절한다.
11) 시간계획표를 짠다.
② 지나친 승부욕
스타크래프트 사용자중에는 게임의 점수를 조작하는 경우(어뷰즈)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이 불리하면 강제로 접속을 끊는 등 비신사적으로 승부욕에 매달리는 청소년이 늘고 있다. 이렇게 지나치게 자신의 승부를 의식하는 행위들은 경쟁심을 부추겨 비도덕적인 행동마저도 서슴지 않고 하게 만들고 있다.
③ 현실과 가상의 혼동
리니지바람에 나라등 네트워크 게임들이 인기를 누리면서 게이머들이 가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는 일들이 나타나고 있다. 가상의 공간에서 게임에 진 게이머들이 자신을 이긴 상대를 찾아와 폭행하거나 게임 아이템을 강탈하는 사건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현실에서 만족을 느낄 수 없는 사람일수록 게임에 빠져들 가능성이 더 많다고 한다.게임에서는 불가능한 일이 없으니까 오히려 현실보다도 게임 속 세상을 좋아하게 되고, 급기야는 게임 속 세상을 현실로 착각하게 만든다.
<참고>
리셋증후군(Reset syndrome)
컴퓨터가 말을 듣지 않을 때 얼른 리셋버튼을 누르면 시스템이 다시 살아나는 것처럼, 자기 맘에 안들면 지금까지 벌여 놓은 일이나 인간관계 등을 쉽게 다시 시작하려는 현상을 '리셋(reset)증후군'이라고 한다. '리셋증후군'은 아이들 사이에 참을성 없는 행동과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자기위주의 행동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심지어 책임감 없는 행동으로까지 연장되고 있다.
4. 대처방안
①하루 중 컴퓨터를 켜고 끄는 시간을 일정하게 정하고 꼭 지키도록 노력하라.
뚜렷한 목적이 없는 웹 서핑을 하지 말아야 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다른 일을 다 끝마친 후에 컴퓨터를 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한 시간만 채팅하고 리포트를 쓰고 시험공부를 하겠다는 생각은 이 역시 중독증상의 하나일 뿐이다.
②혼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을 피해라.
남에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은밀성이 사이버 중독증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보다 공개된 장소로 컴퓨터의 위치를 옮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③오락과 휴식의 도구로서의 컴퓨터 사용을 줄여라.
컴퓨터 사용은 신체적, 정신적 긴장을 유발하므로 또 하나의 스트레스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과감하게 불필요한 게임 CD는 정리하고 게임 파일을 삭제하는 것이 좋다.
④신체적 활동을 하는 시간을 늘려라.
땀을 흘리는 적절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모니터 앞에서 식사를 절대 하지 않으며, 바쁘더라도 컴퓨터를 끈 채로 끼니를 해결해야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⑤사이버 공간이 아닌 현실 공간에서의 대인관계를 늘려라.
PC 게임방을 가더라고 동료, 연인과 같이 가고 혼자서는 절대 가지 않는다는 원칙을 만드는 것도 좋다.
⑥대안활동을 찾아라.
단순히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만을 줄이는 데 목적을 두게되면 남는 시간에 할 일이 없어서 다시 인터넷을 하게 된다. 인터넷 사용을 조절하기 원하신다면 인터넷말고 자신에게 즐거움을 주는 대안활동을 찾아서 즐기는 것도 좋다. 한두 가지 말고 가능한 한 여러 개가 좋다.
<참고>
가정에서 대처 방법
1) 게임에 빠지게되는 이유 및 동기를 확인한다.
2) 게임사용으로 인해 얻는 것과 잃는 것을 파악한다.
3) 자녀와 함께 문제를 해결한다는 인식을 갖도록 한다.
4) 컴퓨터를 방에서 공동의 공간으로 옮긴다.
5) 다른 가족의 협조를 구한다.
6)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정한다.7) 대안행동을 찾는다.
8) 함께 보내는 시간을 증가시킨다.
9) 게임이외의 다른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를 찾아본다.
10) 용돈을 조절한다.
11) 시간계획표를 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