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화의 시 <네거리의 순이(順伊)>를 읽고
2. 임화의 시 <우리 오빠와 화로>를 읽고.
3. 임화의 시 <너 어느 곳에 있느냐>를 읽고.
2. 임화의 시 <우리 오빠와 화로>를 읽고.
3. 임화의 시 <너 어느 곳에 있느냐>를 읽고.
본문내용
가미된 시의 자기연민은 결국 시인을 죽음으로 이끈다. 공산주의 국가인 북한에서 자기연민은 곧 ‘헌신의 사상’을 좀먹는 사회악이었다. 내 상식으론 도저히 이게 죽음으로까지 이어질 큰 죄인지는 모르겠으나 아무튼 당시 북한의 관념에서는 그랬나보다. 그래서 이 사실을 듣고 난 이후에 든 느낌은 ‘어이없다’였다. 고통스러워하는 자신에 대한 연민이 죄가 될 수 있다니. 그 사회를 지배하는 이데올로기의 힘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시인이 그토록 찾던 ‘너’는 결국 사회가 발포한 총알이 되어 시인의 가슴을 꿰뚫었다. 시에서 느껴졌던 감정보다 시인의 죽음에서 느껴지는 허무함이 훨씬 더 클 줄이야.
감상이란 본래 시 자체만을 보고 느껴야 한다지만 쓸데없는 자료로 인해 오히려 사족만 더 붙은 건 아닐는지 모르겠다.
감상이란 본래 시 자체만을 보고 느껴야 한다지만 쓸데없는 자료로 인해 오히려 사족만 더 붙은 건 아닐는지 모르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