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도 사회 문화적으로 부도덕하고 타락한 도시일 뿐만 아니라 헬라철학과 신비주의 등의 이단 사상들이 만연한 곳이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세워진 고린도 교회는 바울이 고린도를 떠났을 때 여러 가지 윤리적 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나타난 이러한 문제들을 다룰 때 결코 임시적이며 상황적인 윤리를 통하여 가르치려고 하지 않았다. 그는 이들의 문제에 대하여 지속적이며 일관성 있게 그의 신학에 근거하여 교훈하고 있다.
바울의 윤리적 명령은 신학적이라기보다는 실천적이다. 따라서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의 삶 자체를 아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삶의 실제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 특별히 고린도전서 8장에서 예를 들었듯이 바울의 윤리는 신앙 안에서 개인의 자유가 공동체(형제, 지체)의 질서와 본질을 무너뜨려서는 안 됨을 말한다. 왜냐하면 연약한 자들을 책임지는 것이 윤리의 실제이며 이를 통해 공동체 윤리가 세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공동체 윤리는 그 공동체가 속해있는 사회에서도 의무와 책임이 주어진다.
온전한 삶으로 그리스도를 고백하는 그리스도인들만이 천국을 실제로 유업으로 받게 될 것이다. 이제 모든 그리스도인은 바울이 계승하여 삶으로 가르친,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시고 가르쳐주신 복음윤리적 전통을 계승하여 예수신앙을 삶으로 고백해야 할 것이다. 임낙형, 138.
『참고문헌』
문시영,「기독교 윤리 이야기」, 서울 : 도서출판 한들, 1997.
박창영, “고린도전서 5장에서 10장에 나타난 바울의 윤리 원칙” (아세아신학대학교
대학원 신약신학 석사 논문) 1995.
임낙형,「복음주의 기독교 윤리학1」, 안양 : 도서출판 잠언, 2001.
Allen Verhey, 김경진 역,「신약 성경윤리」, 서울 : 도서출판 솔로몬, 1997.
Cornelius Van Til, 위거찬 역,「기독교 윤리」, 서울 : 도서출판 엠마오, 1989.
Roger. H. Croook, 최봉기 역,「기독교 윤리학 개론」, 서울 : 요단출판사, 1997.
Thomas R. Schreiner, 배용덕 역,「바울과 율법」, 서울 :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7.
Victor Furnish, 이희숙 역,「바울의 네 가지 윤리적 교훈」, 서울 : 종로서적, 1994.
William Barclay, 강형길 역,「바클레이의 기독교 윤리」, 서울 : 보이스사, 1991.
http://www.edu-kbs.or.kr/pass/1-2/morall.htm
바울의 윤리적 명령은 신학적이라기보다는 실천적이다. 따라서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의 삶 자체를 아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삶의 실제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 특별히 고린도전서 8장에서 예를 들었듯이 바울의 윤리는 신앙 안에서 개인의 자유가 공동체(형제, 지체)의 질서와 본질을 무너뜨려서는 안 됨을 말한다. 왜냐하면 연약한 자들을 책임지는 것이 윤리의 실제이며 이를 통해 공동체 윤리가 세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공동체 윤리는 그 공동체가 속해있는 사회에서도 의무와 책임이 주어진다.
온전한 삶으로 그리스도를 고백하는 그리스도인들만이 천국을 실제로 유업으로 받게 될 것이다. 이제 모든 그리스도인은 바울이 계승하여 삶으로 가르친,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시고 가르쳐주신 복음윤리적 전통을 계승하여 예수신앙을 삶으로 고백해야 할 것이다. 임낙형, 138.
『참고문헌』
문시영,「기독교 윤리 이야기」, 서울 : 도서출판 한들, 1997.
박창영, “고린도전서 5장에서 10장에 나타난 바울의 윤리 원칙” (아세아신학대학교
대학원 신약신학 석사 논문) 1995.
임낙형,「복음주의 기독교 윤리학1」, 안양 : 도서출판 잠언, 2001.
Allen Verhey, 김경진 역,「신약 성경윤리」, 서울 : 도서출판 솔로몬, 1997.
Cornelius Van Til, 위거찬 역,「기독교 윤리」, 서울 : 도서출판 엠마오, 1989.
Roger. H. Croook, 최봉기 역,「기독교 윤리학 개론」, 서울 : 요단출판사, 1997.
Thomas R. Schreiner, 배용덕 역,「바울과 율법」, 서울 :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7.
Victor Furnish, 이희숙 역,「바울의 네 가지 윤리적 교훈」, 서울 : 종로서적, 1994.
William Barclay, 강형길 역,「바클레이의 기독교 윤리」, 서울 : 보이스사, 1991.
http://www.edu-kbs.or.kr/pass/1-2/morall.htm
추천자료
서양 고대 그리스, 로마인의 생활
개혁신앙과 교회
[가정학과(식품영양학) - 식생활과문화]42-E 세계의 여러 종교가 음식문화에 미친 영향을 자...
[전통][한국전통][한국전통음악][한국 전통조형물][한국전통문양][전통산후관습][전통신앙][...
골로새서3:1-17으로 본 신자의 새 생활의 원리
[종교][무용성][종교체험][신앙]종교의 정의, 종교의 특성, 종교의 목적, 종교의 기능, 종교...
(합격 자기소개서) 특별한 생활신조 예문 11가지
[문학][문학 예술성][문학과 음악][문학과 신앙][문학과 비유][문학과 연행문학][문학과 선우...
일본열도의 시작 [일본열도의 형성][구석기 시대][구석기 시대 생활모습][죠몬 문화 탄생]
[사회복지개론] 서구사회에서 사회복지의 발전과정 - 공동체생활 단계 & 영국의 사회복지...
누가가 본 예수님의 기도 생활
[기독교윤리 과제 직업윤리] ‘직업 윤리’ {하나님께서 주신 소명, 일에 대한 성경적 관점, 직...
[관광문화론 觀光文化論] 제주도의 문화 (濟州島 文化) - 제주도의 주거, 제주인의 삶의 특징...
KCU 이슬람문화와 예술 중간과제 우리 생활 곳곳에 들어와 있는 이슬람 요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