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성분비의 법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목

날짜

목적

이론

결과

discussion

본문내용

수도 있고, 그 순간의 무게를 확인하는것도 역시 100% 신뢰할수 없다 또한 저울에서 측정한 시료를 염산과 반응시키기 위하여 옮겨가는 과정에서 시료가 줄어들 수도 있고, 염산과의 반응 중에 염산이 염화수소의 형태로 바로 공기 중으로 승화하여 질량이 줄 수도 있다.
따라서 무게를 잴 때 저울에 뚜껑을 덮어 최대한 공기의 영향을 줄여야겠다. 그리고 저울이 작은 진동에도 반응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분위기에서 실험을 하는 것도 좋은 데이터를 얻기 위한 좋은 방법 중에 하나라고 생각된다.
실험 B: 탄산염 0.1g에서 발생하는 이산화 탄소의 부피의 이론상 수치는
V= wRT/P*M
=0.1×0.082×287/105.99×0.978≒0.0227L
로 첫 번째 실험과는 거의 비슷하고, 두 번째 실험과는 약간의 오차가 생겼다.
이 실험에서 오차가 생긴 이유는 몇가지를 들 수 있다. 물에 를 포화시켜야 하는데 완전히 포화되지 않았을 경우 물에 가 녹아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시료를 넣는 순간과 플라스크의 마개를 닫는 순간의 시간차가 가장 큰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험 A에서 보듯, 시약이 들어가자마자 많은 양이 반응해버린다. 다시 실험을 하게 된다면, 시약을 조교님 말씀대로, 뚜껑 근처에 걸쳐놓고 시작과 동시에 반응시키는 방법등을 사용해서 염산과 시약이 접촉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춰서 실험해 보고 싶다
몇가지 유의할 점도 있다. 이 실험에서는 삼각플라스크를 막았을 때, 고무마개가 플라스크안으로 들어간 부피만큼의 공기 때문에, 압력의 차이가 생겨서 물의 높이가 달라지는데 이 값을 미리 측정하여 보정해야한다. 그런데 이번 실험에서는 우리가 굳이 물의 증기압을 생각하지 않고 계산했는데도 오차가 크게 나지는 않았다. 물의 증기압이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인지, 아니면 조교님이 써주신“743mmHg”압력 이 물의 증기압을 고려한 상태인건지는 잘 모르겠다.
또한, 이상기체의 방정식은 이상기체에만 적용되는, 말 그대로 이상적인 상태에서 성립하는 방정식이다. 그런데 우리는 1기압, 14도(섭씨)상에서 실험했으므로 이론적인 계산과는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참고로 이상기체는 기체 분자 운동론의 가정을 정확히 만족시키면서, 이상기체의 상태 방정식을 완전히 만족시키는 가상적인 기체이다. 실제기체가 온도가 높고 압력이 낮을수록, 분자간의 인력이 작을수록, 분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이상기체에 가깝게 행동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3.27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3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