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염색법 (Natural dyeing)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연 염색법 (Natural dyein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여러가지 천연 염색법 ●
◆ 천연염료의 종류
1. 식물염료
2. 동물염료
3. 광물성 염료

● 색조에 따른 천연염색의 분류 ●

● 화학구조에 따른 천연염색 ●

● 천연염색이 은은한 색을 내는 이유 ●

● 실패하지 않는 염색을 하려면.. ●

● Na2S2O4의 물리적 ․ 화학적 성질 ●

● 매염제 ●

● 양잿물의 종류와 성분 ●

본문내용

고 1주일 정도 방치한 후
③ 윗물을 여과포로 걸러내어 쓴다.
◈ 철장(鐵漿)액 만드는 법 : 식초에 녹슨 철을 넣고 끓인 후 곧 바로 또는 1주일 정도 방치하여 얻어진 액을 걸러 병에 옮겨 보관하였다가 철매염제로 사용한다.
① 법랑그릇에 고철 500g을 넣고 물 500cc와 식초 500cc를 붓는다.
② 끓여서 액량이 후 500cc 정도가 되도록 한다.
③ 얻어진 액을 병에 붓고 마개를 막아 보관한다.
◈ 초산구리 만드는 법 : 전화선을 태운 후 남는 구리선에 물과 식초를 동량으로 넣어 끓인 후 1주일 정도 방치하면 청색의 액을 얻을 수 있으며, 필요시 구리 매염제로 사용.
합성매염제의 종류
합성매염제의 종류
1) 철매염제
철매염은 염색된 섬유를 전반적으로 짙은 갈색, 흑색, 회색 등 어두운 색조를 띤다.
황산제일철(iron sulfate ; FeS047H2O), 염화제일철(Ferric chloride ; FeCl2 H2O), 목초산철(iron acetate;(CH3COO3)Fe)이 있다 항산제일철과 염화제일철은 분말로 섬유 중량의 3%정도를 더운물에 녹여 사용한다. 매염제에서 떨어져 나온 산이 섬유를 상하게 하거나 변퇴색의 원인이 될 수 있음으로 헹구기에 주의한다. 목초산철은 황갈색의 액체로서, 제조한지 반년 이상 지나면 검게 침전이 생기고 매염효과가 떨어지므로 신선한 것이 좋고. 섬유 중량의 2-3%를 물에 풀에서 사용한다. 양모의 경우 철매염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2) 구리매염제
구리매염은 염색된 섬유에 녹색을 띠게 하고 일광견뢰도를 높여 준다. 시판되는 매염제로는 초산동(copper acetate;(CH3COO)2CuH2O), 황산동(copper sulphate)이 있으나, 황산동은 독극물이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초산동은 녹황색 가루로서 섬유 중량의 3%를 더운 물에 녹여 사용한다.
3) 알루미늄매염제
알루미늄매염제는 전통적으로 널리 이용되어 온 안전한 매염제로서 전반적으로 색상을 밝게해준다.시판되는알루미늄매염제로는 초산알루미늄(aluminum acetate;Al(CH2COO)3)과 염화알루미늄(AlCl36H2O)이 있다. 초산알루미늄은 흰색 가루로서 침염할 때에는 섬유 중량의 4-5%를 따뜻한 물에 잘 녹여 사용한다. 30도 이상되면 흰 침전이 생기므로 가열해서는 안된다. 침전이 생겼을 때에는 윗물만 사용한다. 염화알루미늄은 무색 결정으로 따뜻한 물에 녹여 사용하는데, 산이 남기 때문에 선매염이나 지치의 염색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보통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는 명반(potassium aluminium sulphate ;KAl(SO4)2 l2H2O)과 소명반(K2SO4, Al2(SO4)3)이 있다. 명반은 봉숭아 물 들일 때 사용되는 것으로 약국에셔 구할 수 있으며, 소명반은 명반 대용으로 쓰이는 황산계 화합물로 생명반, 카리명반이라고도 한다. 이들은 물에 잘 녹지 않으므로 소량의 물에 넣어 투명해지도록 끓인 다음 적량의 물을 추가해 사용한다. 실크의 경우 섬유 무게에 대해 명반은 8-10%, 소명반은 3-4%를 사용한다. 염색 후 산이 남아 변색할 수 있으므로 행구기를 철저히 한다.
4) 주석매염제
주석매염은 섬유의 색을 선명하고 밝게 하며 견뢰도를 높인다. 시판되는 것으로는 석산나트륨(Na2Sn053H2O)이.있는데,물에 잘 녹는 흰색 가루로 강한 알칼리성이므로 섬유에 손상을 주기 쉽다.특히 양모에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구연산을 넣어 중화시킨다.섬유중량 1~3%의 석산나트륨과 구연산을 각각 그릇에 넣어 별도로 녹인 다음 섞어서 사용하는데, 열을 가하면 흐려지므로 끓이는 일이 없도록 한다.
5) 크롬매염제
서구에서 양모의 선매염에 주로 쓰였다. 밝고 선명한 색을 낼 수 있지만 식물염색에 사용되는 매염제중 가장 독성이 강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인체에 홈입되면 0.5g으로도 콩팥이 망가지고 혼수상태에 빠져서 경련이 오며, 6-8g이 넘으면 죽게 된다. 흡입하거나 살갖에 닿으면 즉시 의사에게 보인다.
6) 알칼리매염제
알칼리매염제로서 많이 쓰이는 것은 생석회나 소석회(수산화칼숨)와 같은 석회매염제이다. l리터의 물에 10g 정도의 비율로 잘 섞어서 녹인 다음, 표면에 생긴 막은 버리고 반드시 윗물만 사용한 다. 석회수 윗물 500cc를 물 1리터에 넣으면 대략 pH l1 정도가 된다. 면이나 마를 갈색조로 염색할 때는 철매염한 다음 석회매염한다. 실크에 사용하면 섬유를 상하게 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소석회는 쪽물올 만들 때에도 꼭 필요한 데, 오래된 것은 효과가 떨어지므로 되도록 신선한 것이 좋다. 식물안료를 만들 때나 매염 잔액의 처리에도 사용된다. 목회(나무를 태운 재)도 알칼리매염제로 쓰일 수 있다.나무의 가지와 잎올 완전히 태워 만든 흰재 500g올 40도~60도 정도의 물 20리터에 잘 저어 섞어서 2~3일 방치한 다음 윗물을 따라내어 모은다.위의 과정올 2~3회 반복 하여 목회즙올 만든다.목회즙 역시 pH 11 정도로서 매염이나 비단의 정련 또 는 쪽물내기에 이용된다. 짚회(볏짚이나 보리짚올 태운 재)는 비단의 정련이나 홍화염색에 사용된다. 만드는 법은 목회와 비슷하나 흰재가 되기 전인 검은 재 상태에서 만든다는 점 이 다르다.짚회는 곱기 때문에 2~3일 정도에 침전되지 않으므로,2~3일 지 난 다음 결이 고운 비단 체 등으로 걸러서 다른 용기에 넣어서 일주일 간 방치하여 윗물만을 걸러 사용한다.
염색조제
염색이나 매염과정에 보조적으로 쓰여서 염색을 돕는 물질을 조제라 한다.
1) 주석영(pottasium hydrogen tartrate)
: 양모를 염색할 때, 주로 알루미늄매염제의 흡수를 도와준다.매염제의 금속염과 결합하 여 섬유에의 흡착력올 높여주며,색을 밝게 해주고 모를 유연하게 해주며 젖산 (lactic acid)도 마찬가지 용도로 쓰인다.
2) 수산(oxalic acid)
: 수영이나 대황에 들어 있는 유독물로 주석매염제의 흡착올 돕는 역할을 한다.
3) 탄닌산(tannic acid)
: 식물의 수피에 많은 물질로 면의 염색에 쓰인다. 보통 염료는 면에 잘 흡착되지 않기

키워드

천연,   염색,   염색법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4.02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