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의 시대별 변화 모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거의 시대별 변화 모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원시 주거의 모습>

<고대 주거의 모습>

<근세 주거의 모습>-조선시대

<현대 주거의 모습> - 조선말~ 현재

본문내용

.
③한옥의 낮과 밤
*권위를 지키기 위해 가족의 사생활이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꺼려서 담을 가지게 되었다.
*여성과 남성의 차등과 내외사상: 안채의 안방은 주인마님, 건넌방은 장자부에 의해, 사랑채의 경 우는 큰사랑은 주인어른 작은 사랑방은 장자가 점유하게 된다.
④한옥의 허와 실: 5실 5허를 가짐- 집은 너무 호화스럽지 않게 사는 것을 추구
⑤한옥의 따뜻함과 시원함
*온돌을 사용하여 아궁이에 불을 때서 방바닥 밑의 구들장을 데워 난방을 함
*마루사용: 연결 공간이나 수장 공간으로 이용 할 뿐만아니라, 여름을 시원하게 보내기 위한 생활 공간의 목적으로 쓰임
⑥한옥의 강함과 약함
*관념적인 구조: 안방>안마당>중문>사랑방>사랑마당>행랑마당>대문
*물리적인 구조: 바깥담>행랑채>중간담>사랑채>안채>안방
<현대 주거의 모습> - 조선말~ 현재
1) 조선말~1945년
(1)배경:
*실학의 영향으로 수평적이고 실용적인 윤리를 강조가 됨-> 신분구조의 와해, 문호개방
*신분제의 해체는 가사규제를 없애므로 인해 경제력 있는 중인계급을 중심으로 주택건축의 변화가 오게 되었음(솟을 대문을 달거나 사당을 목욕간으로 개축)
(2)개화기
*다층주택이 소개되어 주거지를 높고 건조한 곳에 두고 정원에 초목을 재배할 것과 거실을 남향 으로 배치할 것을 권장하였다.(온돌의 영향으로 크고 높은 집을 짓지 못했음)
*일조에 유리한 처마 높이와 길이 과밀 침실의 문제, 실내에서 맨발로 갈 수 있는 변소의 편리성 등 가사 노동을 경감시키고 침실을 전용할 것과 식당에 단란 기능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3)1910년: 한일 절충식, 한 일양 절충식으로 일시적인 과도기 현상이 나타남
(4)1920년: 신문화 운동의 일환으로 주생활 개선과 주택개량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주로 상류층 의 겉치레를 모방)
(5)1930년: 주택난이 심화되어지고, 주택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개량한옥이 많이 나타남,
2)1945년~ 현재
(1)1950년대
*초기에는 흙, 석회, 시멘트 혼합으로 제조한 흙벽돌 주택이었으나 1957년 이후부터는 제한 적으 로나마 시멘트가 생산되어 시멘트 블록으로 지어졌다.
*1957년 행촌동 아파트, 종암아파트(58), 개명아파트(59)등에서부터 아파트 시작
(2)1960년대: 시멘트의 국내생산이 본격화 되면서 목조한식 주택이 물러나고 시멘트 벽돌, 시멘트 블록, 철근콘크리트 등이 주택에 사용
(3)1970년대
*좌식--> 입식, 근대화를 표방하는 새마을 운동의 영향으로 농민들은 자유형 주택을 선호하고 도 시 주택을 선호하게 되었다.
*아파트 형식이 정착되는 단계로 침식의 분리가 일반화 되었고 가사작업이 능률적으로 되었으며, 가족의 단란한 공간으로서의 거실과 각 침실의 독립성이 강조되었다.
(4)1980년대: 단독주택의 공급이 현저히 줄어들고 연립주택건설에 주력하게 되었다.
(5)1990년대
*아파트가 일반화 되어지면서 생활공간에 대한 기존생각들이 바뀌어 부엌, 거실과 화장실의 중요성 이 강조되었다.
*여러 형태의 아파트 출현: 로비형 지상층, 필로티형지상층

키워드

주거,   시대별,   변화,   모습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4.02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0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